$\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종의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진균 활성
Biologic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Herbal Plant Extracts against Candida Specie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7 no.1, 2009년, pp.42 - 48  

김재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이용섭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임융호 (건국대학교 생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질염을 일으키는 칸디다증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성분을 한약재에서 조사하였다. 한약재에 ethanol을 이용하여 phenol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물의 phenol 함량을 출정하였다. Ethanol농도에 따른 phenol성 물질의 용출량은 시료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40% ethanol 농도에서 가장 높은 용출량은 어성초, 지모, 금은화 등이며, 60% ethanol에서 가장 높은 용출량은 포공영, 작약 등이다. 황련은 80% ethanol 농도에서는 낮은 용출량을 보이나 다른 농도에서는 비슷한 용출량을 보이고 있고, 연교는 80% ethanol에서 높은 용출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ethanol 농도별 추출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포공영은 80% ethanol 추출물 이상에서 전자공여 능을 보이며, 황련, 지모, 금은화는 100%의 ethanol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C. albicans는 황련 추출물 $200{\mu}g/mL$농도로 주입하였을 때 3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C. tropicalis는 포공영 추출물$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mm, 어성초 추출물을 $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mm, 작약 추출물을 $200{\mu}g/mL$ 주입시 3 mm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황련 추출물은 50, 100, 150, $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 3, 6, 9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을 이용한 C. glabrata, C. parapsilesis, C. utils 3개 종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황련 추출물에서 항균성분은 TLC와 HPLC 분석을 통하여 berberin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candidial activity of seven herbal extracts, Taraxacum Platycarpum, Houttuyniae Herba, Lonicerae Flos, Anemarrhena Rhizome, Forsythia Fruit, Paeoniae Ratix, and Coptidis Rhizoma, were determined against five different Candida sp. by agar diffusion assay.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ic co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약제 성분을 추출하고 각각의 추출물에서 항균특성을 조사하여 천연 항진균 성분을 분리하고자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질염을 일으키는 칸디다증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성분을 한약재에서 조사하였다. 한약재에 ethanol 이용하여 phenol분을 추출하고, 추출물의 phenol 함량을 츸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B. J., J. T. Kee, C. E. Lee, J. H. Kim,J. B. Son, J. H. Kwak, J. Y. Lee, T. S. Park, H. J. Bae, M. J. Jang, and C. H. Jo. 2005. A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ptidis Rhizoma and application for cosmetics ingredients. Kor. J. Herbology 20: 83-92 

  2. Bae,J. H., M. S. Kim, and E. H. Kang. 2005, Antimicrobiil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food-bome patho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42-647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edical. Nature 26: 1199-1200 

  4. Brand-Williams, W., M. 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 25-30 

  5. Bravo, L. 1998. Polyphenols: Chemistt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ition Reviews 56: 317 

  6. Dural, B. and K. Shetty.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rn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7. Hakkinen, S. H. and A. R. Torronen. 2000. Content of flavonols and selected phenolic acids in strawberries and Vaccinium species: Influence of cultivar, cultivation site and techniqu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3: 517-924 

  8. Hattori, T, K. Furuta. T. Nagao, T. Nagarnatsu, T. Ito, and Y. Suzuki. 1992. Studies on the antinephritic effect of plant cornponents (4): Reduction of protein excretion by berberine and Coptisine in rats with origina1-type anti-GMB nephritis. Jpn. J. Pharmacol. 59: 156-169 

  9. Hollman, P. C. H., M. G. L. Hertog, and K. B. Katan. 1996. Analysis and health effects of flavonoids. Food Chemistry, 57: 43-96 

  10. Hong, S. H. and S. S. Roh. 2005. Effects of herba1 extracts on the inflanunatory reactions which use the rnakeup preparation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19: 1419-1426 

  11. Kirn, K. Y., D. O. Chung, and H. J. Chung. 1997. Chemical corn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00-406 

  12. Kitagawa, I, O. M. Sankawa, M. Tomoda, and I. Nishioka. 1982. Pharrnacology. Tokyo, Japan, 2nd Ed., pp. 234-236 

  13. Kong, J. M., L. S. Chia, N. K. Goh, T. F. Chia, and R. Brouillard. 2003. Ana1ysis and biologica1 activities of anthocyanins. Phytochemistry, 64: 923-933 

  14. Kuo, C. L., C. W. Chi, and T. Y. Liu. 2004. The anti-inflarnrnatory potentia1 of berberine in vitro and in vivo. Cancer Lett. 203: 127-137 

  15. Larsen, B. and G R. Motif. 2001. Understanding the bacteria1 flora of the ferna1e genita1 tract. Clin. lnfect Dis. 32: 69-77 

  16. Lee, J. H., S. I. Jeong, I. S. You, and S. K. Kim. 2001.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gainst cadmium induced cytotoxicity (V). Kor. J. Pharmacogn 32: 61-67 

  17. Lee, J. S., B. S. Min, and K. W. Bae. 1996. Effects of Forsythiae fructus on L1210 and HL-60 cells. Yakhak Hoeji 40: 462-467 

  18. Liu, B., W. Li, Y. Chang, Y. Dong, and L. Ni. 2006. Extraction of berberine from rhizome of Coptis cmnensis Franch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J Pharm Biomed Anal. 41: 1056-1060 

  19. Monagas, M., B. Bartolome, and C. Gomez-Cordoves. 2005. Updated knowledge about the presence of phenolic compounds in wine.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 85-118 

  20. Reichart, P. A., L. P. Samaranayake. Y. H. Sarnaranayake, M. Grote, E. Pow, and B. Cheung. 2002. High ora1 prevalence of Candida krusei in leprosy patients in northem Thailand. J. Clin. Microbiol. 40: 4479-4485 

  21. Robbins, R. J. 2003. Phenolic acids in foods: An overview of anaIyticaI methodology. J. Agric. Food Chem. 51: 2866-887 

  22. Ruan, W., M.Lai, and J. Zhou. 2006. Anticancer effects of Chinese herbaI medicine, science or myth? J. Zhejiang Univ Sci B. 7: 1006-1014 

  23. Seneviratne, C. J., R. W. K. Wong, and L. P. Sarnaranayake. 2007. Potent anti-microbiaI activity of traditionaI chinese medicine herbs against Candida species. Mycoses 51: 30-34 

  24. Song, J. H., M. J. Kirn, H. D. Kwon, and I. H. Park. 2003. AntirnicrobiaI activity of fractionaI extracts frorn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ean Sco. Food Sci. Nutri. 32: 1053-1058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 Lead environrnental heaIth criteria 3. Geneva, WHO. p. 160 

  26. Zhanel, G G , J. A. Karlowsky, S. A. Zelenitsky, M. A. Turik, and D. J. Hoban. 1998. Susceptibilities of Candida species isolated from the lower gastrointestinaI tracts of high-risk patients to the new sernisynthetic echinocandin LY303366 and other antifungaI agent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2: 2446-24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