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레게의 칸토르 비판 - 수학적 실천과 수학의 적용
Frege's Critiques of Cantor - Mathematical Practices and Applications of Mathematics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2 no.3, 2009년, pp.1 - 30  

박준용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레게의 논리주의는 흔히 19 세기 후반의 산수화 운동을 잇는 수론 내의 발전사례로 간주된다. 그러나 실수 해석학 내의 그의 실제 작업을 고려해 볼 때 이런 견해를 받아들이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그의 논리주의는 당대의 수학적 실천과는 유리된 철학적 프로그램에 불과했다고 간혹 주장되곤 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이두 견해가 근거 없는 편견에 의존하고 있고, 그런 편견은 당대의 수학적 실천의 맥락 내에서 프레게 논리주의가 갖는 이론적 지위를 오해한 데서 비롯한 것임을 보일것이다. 첫째로 나는 칸토르의 실수 정의와 이에 대한 프레게의 비판을 검토할 것이다. 이에 근거해서 나는 프레게의 목표는 양의 비율을 순수 논리적으로 정의하는 것이었음을 보일 것이다. 둘째로 나는 프레게 논리주의의 수학적 배경을 고찰할 것이다. 이를 기초로 나는 실수 해석학에 대한 그의 견해는 예상외로 정교하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프레게는 바이어슈트라스나 칸토르와는 달리 보편적 적용 가능성을 갖는 실수 해석학에 도달하려 하는 반면, 전통적 견해를 고수하는 대부분의 수학자들과 달리 실수 해석학을 확립할 때 기하학적 고찰에 결코 의지하지 않으려 한다. 셋째로 나는 프레게가 이 두 측면 - 기하학으로부터 독립성 및 보편적 적용가능성 - 을 논리학 자체의 특징으로 간주하였고, 논리주의에 따라 그것을 산수학 자체의 특징으로 간주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나는 실수가 양의 비율이라는 그의 견해는 수들의 본성이 다양한 맥락에서 수들이 하는 공통된 역할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그의 방법론적 원칙으로부터 유래하였다는 것, 그리고 그는 그런 식의 정의 없이는 수의 보편적 적용 가능성도 적합하게 설명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ge's logicism has been frequently regarded as a development in number theory which succeeded to the so called arithmetization of analysis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it is not easy for us to accept this opinion if we carefully examine his actual works on real analysis. So it has been often arg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집합론 내 실수 정의의 표준이 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칸토르의 실수 정의 방법은 데데킨트의 실수 정의 방법과 함께 오늘날 집합론 내에서 실수 정의의 표준이 되었다. 오늘날 표준적 집합론에서는 정수들을 [차를 구성하는] 자연수 순서쌍의 동치 집합으로 정의하며, 유리수들을 [분수를 구성하는] 정수 순서쌍의 동치 집합으로 정의한다.
칸토르의 실수 이론은 언제, 어떤 논문에서 처음 등장하였는가? 칸토르의 실수 이론은 “삼각 함수열 정리의 확장에 관하여”라는 1872년의 논문7) 에서 처음 등장하며, 1883년 “보편 다양성 이론의 기초”라는 글8)에서 그 이론을 다시 제시한다. 프레게는 후자의 글을 중심으로 칸토르의 실수 정의를 검토하며, 필요한 곳에서 전자의 글을 검토한다.
근본열 표현의 3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하시오. 그런 근본열은 정의에 의해 엄밀하게 연역할 수 있는 다음 세 경우를 표현한다: 열 (av)의 원소들은 v 값이 충분히 클 때 주어진 어느 수보다도 절대 값이 더 작거나, 특정 v에서 시작할 때 결정적으로 명시할 수 있는 유리수 ρ보다 더 크거나, 특정 v에서 시작할 때 결정적으로 명시할 수 있는 음의 유리수 -ρ보다 더 작다. 첫째 경우 나는 b가 영과 동일하다고 하고, 둘째 경우 b가 영보다 더 큰 것 혹은 양수라고 하고, 셋째 경우 b가 영보다 더 작은 것 혹은 음수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박준용, "프레게 논리주의에서 논리적 진리와 분석적 진리," 철학(2007년 여름), 159-193., 2007a. 

  2. 박준용, "프레게 제한," 논리연구 10-2: 51-113, 2007b. 

  3. B. Bolzano, The Mathematical Works of Bernard Bolzano. (Oxford, New York), 2004. 

  4. Boniface, J.. “The Concept of Number from Gauss to Kronecker”, The Shaping of Arithmetic after C.F. Gauss's Disquisitiones Arithmeticae, (eds.) Goldstein, C.; Schappacher, N.; Schwermer, J. (Springer)., 315-342, 2006. 

  5. Cantor, G., “Uber die Ausdehnung eines Satzes aus der Theorie der trigonometrischen Reihen,” Mathematische Annalen, vol. V(1872), pp. 123-32. 

  6. Cantor, G., Grundlagen einer allgemeinen Mannichfaltigkeitslehre, Leipzig, 1883. (translated as Foundations of General Theory of Manifolds by W. Ewald) in Ewald, 878-920, 1996. 

  7. Cantor, G., “Bemerkung mit Bezug auf den Aufsatz: Zur Weierstrass'- Cantor'sehen Theorie der Irrationalzahlen,” Mathematische Annalen, Bd. xxxvi, p. 154, 1889. 

  8. Dedekind, R. Continuity and Irrational Numbers, 1872. (translated by W. Ewald) in Ewald, 765-779, 1996. 

  9. Dedekind, R., “Aus Briefen an R. Lipschitz,” Gesammelte mathematische Werke, Dritter Band, 464-482, 1876. 

  10. Du Bois-Reymond, P., Allgemeine Funtionenlehre. (Tuebingen), 1882. 

  11. Ewald, W., From Kant to Hilbert: A Source Book i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Press), 1996. 

  12. Dummett, M., 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 Havard University Press, 1991. 

  13. Ehrlich, P.(ed.), Real Numbers: Generalization of Reals, and Theories of Continua.(Kluwer), 1994. 

  14. Enderton, H.B., Set Theory. (Academic Press), 1977. 

  15. Epple, M., “The End of the Science of Quantities: Foundations of Analysis, 1860-1910,” A History of Analysis, (ed.) H.N. Jahnk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3. 

  16. Frege, G., “Rechnungsmethoden, die sich auf eine Erweiterung des Groessenbegriffes Gruenden,” Frege[1967], 50-84, 1874. 

  17. Frege, G., Die Grundlagen der Arithmetik.(Breslau). 산수의 기초, 1884. 

  18. Frege, G., Grundgesetze der Arithmetik I.(Jena). 산수의 근본 법칙 제1권, 1893. 

  19. Frege, G., Grundgesetze der Arithmetik II.(Jena). 산수의 근본 법칙 제2권, 1903. 

  20. Frege, G., Kleine Schriften.(Hildesheim), 1967. 

  21. Frege, G., Wissenschaftlicher Briefswechsel.(Hamburg), 1976. 

  22. Gandon, S., “Which Arithmetization for Which Logicism? - Russell on Relations and Quantities in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History and Philosophy of Logic 29: 1-30, 2008. 

  23. Hale, B., “Reals by abstraction,” Philosophia Mathematica 8: 100-123, 2000. 

  24. Hankel, H., Theorie der Complexen Zahlensystem. (Leopold Voss, Leibzig), 1867. 

  25. Heath, T. L., The Thirteen Books of Euclid's Elements, Vol II, Book III-IX, Translated from the text of Heiberg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1956. 

  26. Holder, O., “The Axioms of Quantity and the Theory of Measurement,” (translated by J. Michell)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40(1996): 235-252 and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41(1997): 345-356, 1901. 

  27. Huntington, E., “A Complete Set of Postulates for the Theory of Absolute Continuous Magnitud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 264-279, 1902. 

  28. Illigens, E., "Zur Weierstrass'-Cantor'schen Theorie der Irrationalzahlen," Mathematische Annalen, Vol. xxxiii, 1889, pp. 155-60, 1889. 

  29. Kitcher, P., "Frege, Dedekind, and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Frege Synthesized, (eds.) L. Haaparanta and J. Hintikka, 299-343, 1986. 

  30. Klein, K., "The Arithmetizing of Mathematics", 1895, (translated by W. Ewald) in Ewald, 965-971, 1996. 

  31. Lutzen, J., "The Foundation of Analysis in 19C Century," A History of Analysis, (ed.) H.N. Jahnk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3. 

  32. Michell, J., Measurement in Psychology. (Cambridge), 1999. 

  33. Petrie, B. and Schappacher, N., "On Arithmetization," The Shaping of Arithmetic after C.F. Gauss's Disquisitiones Arithmeticae, (eds.) Goldstein, C. Schappacher, N. Schwermer, J. (Springer)., 343-374, 2007. 

  34. Russell, B., Principles of Mathematics. Routledge, 1903. 

  35. Simons, P., "Frege's Theory of Real Numbers," History and Philosophy of Logic 8: 25-44, 1987. 

  36. Stein, H., "Eudoxos and Dedekind: On the Ancient Greek Theory of Ratios and Its Relation to Modern Mathematics," Synthese 84: 163-211, 1990. 

  37. Stolz, O., Vorlesung uber allgemeine Arithmetik (Leibzig, Teubner), 1885. 

  38. Tappenden, J., "The Riemannian Background to Frege's Philosophy," The Architecture of Modern Mathematics (eds.) J. Ferreoros and J.J. Gray. (Oxford)., 97-132, 2006. 

  39. Whitehead, A.N. and Russell, B., Principia Mathematica, Volume III. (Cambridge), 1913. 

  40. Wilson, M., "Frege's Mathematical Setting," http://philsci-archive.pitt.edu/archive/00003374/, 200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