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1, 2009년, pp.26 - 36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엄옥봉 (상계백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 A convenience sample of 221 registered nurses were obtained from one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의 함양은 물론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성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5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I 대학병원의 외래 및 수술실을 제외한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22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의 함양은 물론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사고란?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인지적 기술을 사용하여 목적이 있는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은 평소에 습관적으로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성향이 있어야만 향상될 수 있다(Choi, 2004; Hwang, 1998). 비판적 사고는 크게 성향(disposition)과 기술(skill)로 개념화되는데,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은 개인적 또는 전문적 업무에 있어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인 성향이다(Facione, Facione, & Giancarlo, 1996; Yang & Jung, 2004).
비판적 사고는 크게 무엇으로 개념화되는가?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인지적 기술을 사용하여 목적이 있는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기술은 평소에 습관적으로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성향이 있어야만 향상될 수 있다(Choi, 2004; Hwang, 1998). 비판적 사고는 크게 성향(disposition)과 기술(skill)로 개념화되는데, 특히 비판적 사고성향은 개인적 또는 전문적 업무에 있어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인 성향이다(Facione, Facione, & Giancarlo, 1996; Yang & Jung, 2004). 간호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견해는 비판적 사고를 문제해결이나 간호과정으로 보는 견해와 문제해결 능력 이상의 것으로 보는 견해 그리고 간호행위에 대한 비판적 반성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Hwang, 1998).
간호수행능력 측정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간호수행능력 측정도구는 Schwirian(1978)이 개발한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6-D Scale)을 Hwang(1998)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6가지의 하부영역으로, 지도력 5문항, 위기간호 7문항, 교육/협력 11문항, 계획/평가 7문항, 대인관계/의사소통 12문항, 전문적 발전 10문항 등 총 52문항의 4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매우 잘 못한다’ 1점에서 ‘매우 잘 한다’ 4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ams, A., & Bond, S. (2000). Hospital nurses' job satisfacti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3), 536-543. 

  2. Brooks, K. L., & Shepherd, J. M.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in nursing and general critical thinking abilities of senior nursing students in four types of nursing program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9(9), 391-399. 

  3. Choi, H. J. (2004).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12-721. 

  4. Facione, P. A., Facione, N. C., & Giancarlo, C. F. (1996).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test manual(1st ed, Rev). California: California Academic Press. 

  5. Golbasi, Z., Kelleci, M., & Dogan, S. (2008). Relationships between coping strateg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in a sample of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In Press, Corrected Proff, Available online 13 August 2008. 

  6. Hwang, J. W.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ah womans University, Seoul. 

  7. Jun, H. Y., Cho, Y. I., Ko, J. E., Kim, S. V., Park, C. B., & Hwang, J. Y. (2003). A study of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hospital nurse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1(2), 49-64. 

  8. Kacel, B., Miller, M., & Norris, D. (2005). Measurement of nurse practitioner job satisfaction in a midwestern state. Journal of the American of Nurse Practitioner, 17(1), 27-32. 

  9. Kawashima, A., & Petrini, M. A. (2004). Study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Japan. Nurse Education Today, 24(4), 286-292. 

  10. Kim, J. Y.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1. Kim, S. M. (2003).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eceptors and gener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 Ju. 

  12. Kim, Y. O. (2006). Perceiv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RNs in the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o, K. J. (2002).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14. Lee, H. S. (2001). A study of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5. Lim, E. J.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Maynard, C. A. (1996).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5(1), 12-18. 

  17. Miller, M. A. (1992). Outcomes evaluatio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0, 417-424. 

  18. Park, S. M., & Kwon, I. G. (2007).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63-871. 

  19. Profetto-McGrath, J., Hesketh, K. L., Lang, S., & Estabrooks, C. A. (2003).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and research utilization among nurs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5(3), 322-327. 

  20. Profetto-McGrath, J. (2005). Critical think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1(6), 364-371. 

  21.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7-351. 

  22. Shin, K. R., Ha, J. Y., & Kim, K. H. (2005).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382-389. 

  23. Simpson, E., & Courtney, M. (2002).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2), 89-98. 

  24.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sse, A. M.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2), 114-120. 

  25. Woo, H. S.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receptor nurses and gener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Yang, S. A., & Jung, D. Y. (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1), 15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