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벤조피렌 유발 간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Benzo(α)pyrene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5, 2009년, pp.569 - 573  

박선희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은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종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기술연구센터)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작용을 확인하고자, B($\alpha$)P 투여로 간 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B($\alpha$)P 투여로 인해 혈청 ALT와 AST의 활성,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감소하였다. 반면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전 처리로 인해 ALT와 AST의 활성,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그리고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자유기로 인해 야기되는 간장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 on liver damage in benzo($\alpha$)pyrene (B($\alpha$)P)-treated mice. Hovenia dulcis Thumb leaves methanol extract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ce daily for 5 success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4)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헛개나무의 열매에서 분리한 무엇이 알코올 분해 및 간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 또한 헛개나무는 민간요법으로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제거와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및 대장염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헛개나무 열매의 알코올 분해능과 간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가 그 효능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헛개나무의 열매에서 분리한 (+)-dihydromyricetin이 알코올 분해 및 간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에서 분리한 3- methyl-4-hydroxybenzoic acid와 3-methyl-4-hydroxycinnamic acid는 항산화 및 항균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에서 분리한 hovenodulinol 은 쥐의 알코올 분해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7,8).
헛개나무는 무엇인가? 또한 생체 내 자유 라디칼의 유해성에 대해서 많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해주는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식품과 천연물에서 찾으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6). 한편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mb)는 갈매나무 과의 교목으로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10~17 m이고 수피는 흑 회색이며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모양이다.
헛개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mb)는 갈매나무 과의 교목으로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10~17 m이고 수피는 흑 회색이며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모양이다. 열매와 줄기는 단맛과 향을 내어 식용, 과주 및 약용으로 주독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또한 헛개나무는 민간요법으로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제거와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및 대장염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헛개나무 열매의 알코올 분해능과 간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가 그 효능을 뒷받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ada T, Inoue T, Morita K, Namiki M. 1986. Dietary desmutagens. In Genetic toxicology of the diet. Knudsen I, ed. Alan R Liss Inc., New York. p 245 

  2. Micozzi MS, Tangrea JA. 1989. General introduction; Relation for the nutritional prevention of cancer. In 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Moon TE, Micozzi MS,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3 

  3. Goodman GE, Yen YP, Cox TC, Crowlny J. 1987. Effect of verapamil on in vitro cytotoxin and vinblastine in human tumor cell. Cancer Res 4: 2295-2304 

  4. Kim HJ, Lee IS, Lee KR. 1999. Antimutagenic & anticancer effects of Ramaia botrytis rick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21-1325 

  5. Zhang Y, Talalay P, Cho CG, Posner GH. 1992. An anticarcinogenic protective enzyme from brocoli. Pro Natl Acad Sci 89: 2399-2404 

  6. Dragsted LO, Strube M, Larsen JC. 1993. Cancer protective factors in fruits and vegetables, biochemical and biological background. Pharmacol Toxicol 72: 116-135 

  7. An SW, Kim YG, Kim MG, Lee BI, Lee SH, Kwon HI, Hwang B, Lee H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and Alnus japonica Steud. J Korean Medical Corp Sci 7: 263-268 

  8. Kim MG, Chung YT, Lee JH, Park YS, Shin MK, Kim DH, Lee HY.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from Korea and China. J Medical Corp Sci 8: 225-233 

  9. Park SH, Chang EY. 2007.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71-1376 

  10. Ohkawa H, Ohishi N, Yak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1.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 Arch Biochem Biophy 82: 70-72 

  12.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13. Marklund S, Marklund CT.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4. Aebi H. 1974. Catal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ergmeyer HU, ed. Academic Press, New York, USA. Vol 2, p 673-698 

  15. Paglia ED, Valentine WN. 1967.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J Lab Clin Med 70: 158-169 

  16. Habig WH, Pabst MJ, Jakoby WB. 1974.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reaction. J Biol Chem 249: 7130-7139 

  17. Omura T, Sato R. 1964. The carbon monooxide binding pigment of liver microsomes. 1. Evidence for its hemoprotein nature. J Biol Chem 239: 2370-2378 

  18. Lowry OH, Rosebrough NH,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9. Cheigh HS. 1994. Lipid peroxidation and its nutritional significance. J Korean Soc Food Nutr 23: 867-871 

  20. Gelboin HV. 1990. Benzo(a)pyrene metabolism, activation and carcinogenesis: Role and regulation of mixed-function oxidase and related enzymes. Physiological Reviews 60: 1107-1166 

  21. Chang JS, Kim HJ, Bae JT, Park SH, Lee SE, Kim OM, Lee KR. 1998. Inhibition effects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methanol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and liver damage in benzo(a)pyrene-treat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12-717 

  22. Kim MJ, Cho SY, Park EM, Yoon SH. 1993. Effect of old antler extracts on the B(a)p induced hepa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412-417 

  23. Cohen GM, Freedman RB. 1982. Roles and functions of glutathione. Biochem Soc Trans 10: 78-85 

  24. Vos RM, van Bladeren PJ. 1990. Glutathione S-transferase in relation to their role in the biotransformation of xenobiotics. Chem Biol Interact 75: 241-265 

  25. Astrom A, Meijer J, Depierre JW. 1983.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somal cytochrome P-450 species induced in rat liver by 2-acetylaminofluorence. Cancer Res 43: 342-348 

  26. Kitahara A, Satoh K, Nishimura K, Ishikawa T, Ito N. 1984. Changes in molecular forms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during chemical hepatocarcinogenesis. Cancer Res 44: 2698-2703 

  27. Bae JT, Chang JS, Park JH, Park SH, Lee KR. 2001. Preventive effect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 on the liver damage in B(a)p treat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20-324 

  28. Surh IO, Jeong CS, Jung KH. 2000. Mechanism and effect of Corydalis ternata on the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J Fd Hyg Safety 15: 226-234 

  29. Bompart GJ, Prevot DS, Bascands JL. 1990. Rapid automated analysis of glutathione reductase, peroxidase and S-transferase activity. application to cisplatin induced toxicity. Clin Biochem 23: 501-504 

  30. McCord JM,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31. Steven LT, Richard AS. 1989. Food toxicology. In A perspective on the relative risk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177-194 

  32. Jung HK, Park PS, Huh NC, Lee MY. 1998.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skei Koidz green juice on the liver damage in $CCl_4$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Sci Nutr 27: 531-5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