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a Multimedia Learning DM Diet Education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Analysis of Its Effects on Clinical Competency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2, 2009년, pp.249 - 258  

현경선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강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김원옥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박선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이지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석소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media learn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diet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educati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DM diet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작위 대조군 사후설계에서는표본수가 적으면 무작위 할당의 경우에도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이 균일하지 못하다. 그러나 표본수가 커지면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이 균일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수를 크게 잡았다. 두 집단의 배정은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 할당을 하였으며, 실험군에 52명, 대조군에 56명이 배정되었다.
  • 본 도구는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교과서 관련내용을 토대로 당뇨환자간호 전공자가 포함된 연구팀에서 개발하였다.이 설문지 내용은 동영상학습자료와 연관된 1,600 Kcal 당뇨식이에서 허용되는 6군의 단위 6문항, 단위별 목측량 12문항, 교환단위의 활용 6문항, 일반적 원칙 8문항, 지방제한 음식 10문항, 저혈당 예방을 위한 간식 2문항, 외식 시 음식선택 6문항,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당뇨식이교육에 관하여 표준화환자를 활용한동영상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 학습자료를 활용한 학습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환자가 아닌 훈련된 평가자가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표준화환자가 임상수행능력을 평가할 때 응시 학생들의 호의적인 태도에 따라서 표준화환자의 점수 판정에 오류가 발생되기도 하고(Heine, Garman, Wallace, Bar-tos, & Richards, 2003), 평가대상학생과 표준화환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도(Basco, Lan-caster, Gilbert, Carey, & Blue, 2008) 보고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에 대한 동영상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동영상학습이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당뇨식이 지식,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의 이론과 실무가 연계된 임상수행능력을 준비시키기 위한 교육-학습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하여 당뇨식이 동영상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 동영상학습의 효과를 기술, 지식, 태도 측면에서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당뇨식이 지식,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교육자인 간호사는 3년간 내과병동 근무경력과 3년간 조교경력이 있는 석사학위 소지자이다. 표준화환자의 역할 또는 교육자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된 당뇨식이교육 시나리오를 충분히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팀과 교육자 및 표준화환자와의 모임을 3회 갖고, 각각의 역할에 대한 연기연습을 하게 하였으며, 촬영 전 연구팀이 점검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을 한 실험군은 동영상 학습을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을 한 실험군은 동영상 학습을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을한 실험군은 동영상 학습을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당뇨식이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4가설: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을한 실험군은 동영상 학습을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학습만족도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환자관리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당뇨환자관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당뇨식이이며, 당뇨식이는 제1형과 제2형 당뇨인 모두에서 꼭 이행해야만 하는 자가간호 중 하나이다. 당뇨인이 당뇨식이를 정확하게 철저히 이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간호사는 당뇨식이 이행정도를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을 재교육함으로써 당뇨인이 당뇨식이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하는 교육에 따르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표준화환자를 활용하는 교육은 학습집단의 크기가 적어야 하므로 학습자가 많은 경우에는 많은 표준화환자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용하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이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표준화환자와 면대면하여 학습하면 상호작용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복하여학습하기는 어려운 문제도 있다. 표준화환자와의 상호작용을비디오테이프에 녹화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적용한 결과 골관절염 환자에 대한 사정능력이 향상되었고(Bellamy et al.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쉬운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표준화환자란 실제 환자가 아닌 사람으로서 환자역할을 할수 있도록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제 환자 대신 표준화환자를 활용하는 것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표준화환자를 활용하는 교육은 학습집단의 크기가 적어야 하므로 학습자가 많은 경우에는 많은 표준화환자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 364-371 

  2. Barrows, H. S. (1993). An overview of the uses of standardized patients for teaching and evaluating clinical skills. Academic Medicine: Journal of the Association American Medical Colleges, 68, 443-451 

  3. Basco, W. T. Jr., Lancaster, C. J., Gilbert, G. E., Carey, M. E., & Blue, A. V. (2008). Medical school application interview score has limited predictive validity for performance on a fourth year clinical practice examination. Advances in Health Science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3, 151-162 

  4. Bearnson, C. S., & Wiker, K. M. (2005). Human patient simulators: A new face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at Brigham Young Universit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 421-415 

  5. Bellamy, N., Anjema, C., Alikhan, N., Chhina, T., Dhanoa, D., Edelist, D., et al. (1999).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videotape programme on interobserver reliability in outcome assessment for osteoarthritis. Inflammopharmacology, 7, 143-154 

  6. Bennett, A. J., Arnold, L. M., & Welge, J. A. (2006).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during a psychiatry clerkship. Academic Psychiatry, 30, 185-190 

  7. Carter, M. B., Wesley, G., & Larson, G. M. (2006). Lecture versus standardized patient interaction in the surgical clerkship: A randomized prospective cross-over study. American Journal of Surgery, 191, 262-267 

  8. Chipman, J. G., Beilman, G. J., Schmitz, C. C., & Seatter, S. C. (2007).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n OSCE for difficult conversations in surgical intensive care.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64, 79-87 

  9.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222-231 

  10. Choi, J. Y., Jang K. S., Choi, S. H., & Hong, M. S.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83-91 

  11. Foley, M. E., Nespoli, G., & Conde, E. (1997). Us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standardized physicians to improve patient-care quality: Results of a pilot study.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8, 198-204 

  12. Heine, N., Garman, K., Wallace, P., Bartos, R., & Richards, A. (2003). An analysis of standardized patient checklist errors and their effect on student scores. Medical Education, 37, 99-104 

  13. Hwang, K., Lee, Y. M., & Baik, S. H. (2001).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 as a model of Korean medical licensure examin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3, 277-287 

  14. Im, H., & Kim, S. S. (2005). A study of investigating error sources and reliability for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8, 27-46 

  15. Im, Y., & Lee, O. (2008).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yber learner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6, 177-200 

  16. Iramaneerat, C., & Yudkowsky, R. (2007). Rater errors in a clinical skills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Evaluation & the Health Professions, 30, 266-283 

  17. Kim, H. S., Yi, Y. J., & Yang, I. S. (2005).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in school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206-213 

  18. Kim, J. J., Lee, K. J., Choi, K. Y., & Lee, D. W. (2004). Analysis of the evaluation for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one medical school.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6, 51-61 

  19. Lee, B. G. (2000). Recent world trend in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patient program in Korea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2, 377-392 

  20. Lee, J. D., Triola, M., Gillespie, C., Gourevitch, M. N., Hanley, K., Truncali, A., et al. (2008). Working with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s: A controlled trial of the impact of a rich media web module on medical student performanc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 1006-1009 

  21. McLaughlin, K., Gregor, L., Jones, A., & Coderre, S. (2006). Can standardized patients replace physicians as OSCE examiners? BMC Medical Education, 6, 12 

  22. Park, W. B., Lee, S. A., Kim, E. A., Gwack, J., Yoo, K. Y., Shin, J. S., et al.(2007). Evaluation using simulated students for reliability of multiple standardized-patients scoring in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s. Medical Teacher, 29, 978-980 

  23. Reteguiz, J. A. (2006).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tandardized patient test performance in the medicine clerkship.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 415-418 

  24. Seong, K. Y. (2008). Effects of practice nursing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5. Triola, M., Feldman, H., Kalet, A. L., Zabar, S., Kachur, E. K., Gillespie, C., et al. (2006). A randomized trial of teaching clinical skills using virtual and live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 424-429 

  26. Wang, W. D., Yang, P. C., Chen, C. Y., Lue, B. H., & Yang, P. M. (2004) Using senior residents as standardized patients for evaluating basic clinical skills of medical students.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03, 519-525 

  27. Wolman, B. B. (1989).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2nd ed.).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8. Yang, J. J. (2006). Effects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mechanical ventilator practice on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8, 231-239 

  29. Yi, Y. J., Lim, N. Y., Lee, E. H., Han, H. J., Kim, J. H., Son, H. M., et al. (2007). Evaluation on the practicu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nursing assessment to articular diseas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4, 137-148 

  30. Yoo, M. S. (2000).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1.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