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e-briefing Team-bas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271 - 279  

김현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부담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면서 불안과 소극적인 실습참여는 실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72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팀 기반 학습을 사전브리핑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중요한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확대 적용 및 사전브리핑 단계를 표준화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mulation practice training is used in nursing education as an education metho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to the clinical field, but responds to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negatively affects practice satisfaction. This study applied a team-based learning utilizing a pre-briefing inequality con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기존의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한 대조군 간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전브리핑 과정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경우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가 향상되었고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추후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그러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는 교수자에 의한 디브리핑을 대신하여 디브리핑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16,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사전 교육의 전 과정을 사전브리핑이라 하고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는 동료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면서 학습이 촉진되고 혼자가 아니라고 느끼게 되어 술기시험에 대한 불안감이 감소되고 자신감이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동료학습을 하더라도 사전에 필요한 지식과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튜터가 튜티를 조언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지 못할 경우 오히려 불안감이 증가하고 동료역할의 충동으로 자기효능감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24].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팀 기반학습을 위해 조별 리더를 선발하고 사전 훈련을 통해 팀내 촉진자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전브리핑의 과정을 통해 시나리오 상황을 팀원이 함께 이해하고 팀원 간 협력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가도록 함으로써 자신감이 향상된 결과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선행연구[17]처럼 이전 실습경험이 없는 다양한 임상상황을 하나의 시나리오에 재현시 난이도가 높아져 전문교사가 아닌 유사한 그룹의 구성원간의 동료학습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두 번째 가설인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세 번째 가설은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것이다.
  • 첫 번째 가설인 ‘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하여 팀 기반 학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간호학생이 간호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간호실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갖춘 전문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교육과정은 이론수업과 실습교육으로 구분된다. 이 중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술기를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장교육으로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복잡하고 불확실한 실무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1].
현재 임상실습의 문제점은? 이 중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술기를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장교육으로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복잡하고 불확실한 실무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1]. 그러나 현 임상실습은 간호교육기관의 양적팽창으로 인한 실습할 수 있는 기관 확보의 어려움과 대상자의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미숙한 실무능력을 보이는 실습학생들을 거부하는 등 직접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어 관찰위주의 실습을 하는 실정이다[2,3]. 이렇듯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임상실습 경험은 학생들의 실습 불안을 야기할 뿐 아니라 두려움과 자신감 저하로 충분한 임상수행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이론과 현장의 갭을 줄이지 못한 채 신규 간호사가 되어 간호사의 현실적인 역할을 충격으로 받아들이게 된다[4].
간호교육의 임상실습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간호학생이 간호사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간호실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갖춘 전문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교육과정은 이론수업과 실습교육으로 구분된다. 이 중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술기를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장교육으로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복잡하고 불확실한 실무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1]. 그러나 현 임상실습은 간호교육기관의 양적팽창으로 인한 실습할 수 있는 기관 확보의 어려움과 대상자의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미숙한 실무능력을 보이는 실습학생들을 거부하는 등 직접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어 관찰위주의 실습을 하는 실정이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H. Oremann, J. D. Gagne & B. C. Phillips, (2018). Teaching in nursing and role of educator.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 E. J. Kim, Y. J. Kim & S. M. Moon. (2017).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meaning, response, and effective methods for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1), 51-59. DOI : 10.7739/jkafn.2017.24.1.51 

  3. S. J. Shin, E. B. Yang, E. H. Hwang, K. H. Kim, Y. J. Kim & D. Y. Jung.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DOI : 10.17496/kmer.2017.19.2.76 

  4. Y. Alshahrani, L. Cusack & P. Rasmussen. (201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ir first clinical placement: Descriptive survey study. Nurse Education Today, 69, Oct, 104-108. DOI : 10.1016/j.nedt.2018.07.005. 

  5. J. H. Kim, I. H. Park & S. J. Shin. (2013).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3), 307-319. DOI : 10.5977/jkasne.2013.19.3.307 

  6. Y. A. Kim & S. H. Yoon. (2018).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10), 125-140. DOI : 10.7465/jkdi.2018.29.1.125 

  7. J. A. Lee, J. E. Jieun & S. Y. Kim. (2019).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a meta-synthesis and meta-ethnography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3), 300-311. DOI : 10.5977/jkasne.2019.25.3.300 

  8. I. H. Park & S. J. Shin. (2015). The effects of video-based peer assist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pre and post operative car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1), 73-82. DOI : 10.7475/kjan.2015.27.1.73 

  9. L. Z. Slater, K. D. Bryant, & V. Ng. (2016). Nursing student perceptions of standardized patient use in health assessment.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2(9), 368-376. DOI : 10.1016/j.ecns.2016.04.007 

  10. M. Y. Kim, S. H. Park & J. S. Won. (2016).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11-418. DOI : 10.7739/jkafn.2016.23.4.411 

  11. K. Page-Cutrara. (2015). Pr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A concept analysi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1(7), 335-340. DOI : 10.1016/j.ecns.2015.05.001. 

  12. K. K. Sim, M. S. Son & E. S. Ji. (2017). The effectiveness of child nursing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anxiety,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299-308. DOI : 10.5762/KAIS.2017.18.10.299 

  13. E. H. Choi. (2019). Effects on simulation education of pre-briefing using nursing process with video.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1-11. DOI : 10.17333/JKSSN.2019.7.1.1 

  14. S. J. Park. (2017). Design and application of nursing simulation using goal-based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2), 224-235. DOI : 10.5977/jkasne.2017.23.2.224 

  15. M. Y. Kim & S. H. Park. (2018). Effects of pr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6(2), 27-34. DOI : 10.17333/JKSSN.2018.6.2.27 

  16. E. Ko. (2019). Effects of structured team debriefing using mind mapping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2), 11-25. DOI :10.17333/JKSSN.2019.7.2.11 

  17. S. H. Lee. (2018). Effect of practical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team-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4(2), 150-162. DOI : 10.4069/kjwhn.218.24.2.150 

  18. J. J. Zigmont, L. J. Kappus & S. N. Sudikoff. (2011). The 3D model of debriefing: defusing, discovering, and deepening. Seminars in Perinatology, 35(2), 52-58. DOI : 10.1053/j.semperi.2011.01.003. 

  19.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8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DOI: 10.2466/pr0.1982.51.2.663 

  20. H. Y. Hong. (1995).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 University, Seoul. 

  21. T. Levett-Jones, M. McCoy, S. Lapkin, D. Noble, K. Hoffman, J. Dempsey, C. Arthur, & J. Roche. (2011).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experience scale. Nurse Education Today, 31(7), 705-710. DOI : 10.1016/j.nedt.2011.01.004. 

  22. M. Y. Kim, S. H. Park & J. S. Won. (2016).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11-418. DOI : 10.7739/jkafn.2016.23.4.411 

  23. Y. A. Park & E. J. Kim. (2019). Nursing students' peer feedback types and emotional response, quality of feedback, and self-efficacy for learning from peer feedback in skill trai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2), 186-196. DOI : 10.5977/jkasne.2019.25.2.186 

  24. I. H. Park, J. M. Hong, & S. J. Shin. (2016). Strategies of peer-assisted learning and their effectiveness in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8(2), 106-113. DOI : 10.17496/kmer.2016.18.2.106 

  25. S. J. Park. (2017). Design and application of nursing simulation using goal-based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2), 224-235. DOI : 10.5977/jkasne.2017.23.2.224 

  26. H. Y. Kang, E. Y. Choi & H, R. Kim. (2013).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5-15. DOI : 10.5977/jkasne.2013.19.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