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래나무 추출물의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Juglans mandshurica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1, 2010년, pp.18 - 24  

이계원 (건양대학교 제약공학과) ,  이주연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 ,  조영호 (건양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래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멜라닌 생성 및 티로시나제 합성 억제효과를 측정하고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의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가래나무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소거하였고, $SC_{50}$값은 각각 $20\;{\mu}g/mL$$25\;{\mu}g/mL$ 이었다. B16/BL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멜라닌 생성 및 티로시나제 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티로시나제 단백질의 합성도 감소시켰다. 또한, 임상시험을 통하여 가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이 대조 제품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피부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래나무 추출물은 색소침착 방지와 개선에 효과있는 새로운 미백 원료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glans mandshurica belongs to the family Juglandaceae is known to contain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nti-inflammation, astringent, and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type 1 (HIV-1). Melanogenesis refers to the biosynthesis of melanin pigment in melanocy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래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 활성,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티로시나제 합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고,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의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i, W. N., Y. F. Zeng, and D. Y. Zhang (2007) Mating patterns and pollen dispersal in a heterodichogamous tree, Juglans mandshurica (Juglandaceae). New Phytologist 176: 699-707. 

  2. Min, B. S., H. K. Lee, S. M. Lee, Y. H. Kim, K. H. Bae, T. Otake, N. Nakamura, and M. Hattori (2002)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type 1 activity of constituents from Juglans mandshurica. Arch. Pharm. Res. 25: 441-445. 

  3. Joe, Y. K., J. K. Son, S. H. Park, I. J. Lee, and D. C. Moon (1996) New naphthalenyl glucosides from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 J. Nat. Prot. 59: 159-160. 

  4. Kim, S. H., K. S. Lee, J. K. Son, G. H. Je, J. S. Lee, C. H. Lee, and C. J. Cheong (1998)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J. Nat. Prod. 61: 643-645. 

  5. Son, J. K. (1995)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 new tetralone glucoside from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Arch. Pharm. Res. 18: 203-205. 

  6. Hearing, V. J. (1999)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 Dermatol. Sym. Proc. 4: 24-28. 

  7. Hill, H. Z., W. Li, P. Xin, and D. L. Mitchell (1997) Melanin: A two edged sword? Pigment Cell Res. 10: 158-161. 

  8. Kubo, M and H. Matsuda (1995) Development studies of cuticle and medicinal drugs from natural sources on melanin biosynthesis. Fragrance J. 8: 48-55. 

  9. Hori, I., K. Nihei, and I. Kubo (2004) Structural criteria for depigmenting mechanism of arbutin. Phytother. Res. 18: 475-479. 

  10. Canabas, J., S. Chazarra, and F. Garcia-Carmona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11. Ikeda, T. and T. Tsutsumi (1990) Function and skin depigmental activity of crude drugs. Fragrance J. 18: 59-66. 

  12. Elsner, P. and H. I. Maibach (2000) Cosmeceuticals: Drugs vs. Cosmetics. pp. 123-145.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13. Jang, D. I., B. G. Lee, C. O. Jeon, N. S. Jo, J. H. Park, S. Y. Cho, H. Lee, and J. S. Koh (1997)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paper mulberry. Cosme. & Toilet. 112: 59-62. 

  14. Lee, S. H., J. S. Park, S. Y. Kim, J. J. Kim, and S. R. Chung (1997) The screening of the inhibitory compounds on tyrosinase activity for the natural product. Yakhak Haeji 41: 456-461. 

  15.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Furuno, K., T. Akasako, and N. Sugihara (2002) The contribution of the pyrogallol moiety to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Biol. Pharm. Bull. 25: 19-23. 

  17.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ods 65: 55-63. 

  18. Martinez-Esparza, M., C. Jimenez-Cervantes, F. Solano, J. A. Lozano, and J. C. Garcia-Borron (1998) Mechanisms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Eur. J. Biochem. 255: 139-146. 

  19. Fuller, B. B., D. S. Iman, and J. B. Lunsford (1988) Comparison of tyrosinase levels in amelanotic and melanotic melanoma cell cultures by a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adsorbent assay and by immunotitration analysis. J. Cell. Physiol. 134: 149-154. 

  20. Kuppusamy, P. and J. L. Zweier (1989) Characterization of free radical generation by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64: 9880-9884. 

  21. 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363. 

  22. Masaki, H.,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23. Englaro, W., R. Rezzonico, M. Durand-Clement, D. Lallemand, J. P. Ortonne, and R. Ballotti (1995)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and AP-1 are activated during cAMP-induc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J. Biol. Chem. 270: 24315-24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