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1, 2009년, pp.54 - 67  

고미례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  임재항 (부산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교사들이 가진 교과교육학 지식은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행에 영향을 주며 그와 동시에 교수 활동과 그에 대한 반성 또한 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전제 하에 신임 과학교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참고문헌을 조사하여 수업분석준거를 설정하였으며, 2명의 신임 과학교사들의 수업 20 차시를 관찰 및 녹화하였으며 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보고서 그리고 수업지도 계획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교수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교사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들을 실제 수업에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연구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경험을 쌓음으로써 교과교육학 지식에 많은 영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계기는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반성적 보고서 작성과 단지간의 심도 있는 연수 참여, 그리고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반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 등이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 양상은 각 지식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변화하기보다는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t with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is study was grounded on the idea that teacher thinking and classroom behavior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a reciprocal way. Teachers' PCK influences teaching practices, w...

주제어

참고문헌 (56)

  1.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마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2. 곽영순 (2003). 질적연구로서 과학수업 비평-수업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 김인식, 최호성, 최병옥(2000). 수업설계의 원리와 모형적용. 서울:교육과학사 

  4. 남정희, 최준환, 고문숙, 김재홍, 강순민, 임재항, 공영태 (2004). 형성평가를 이용한 교수-학습 전략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개념 이해. 학습동기, 메타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49(3), 311-320 

  5. 박성혜 (2003a).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6. 박성혜 (2003b).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7. 박승재, 강순희, 김영수, 김익균, 김찬종, 김희백, 박종윤, 송진웅, 이원식, 정병훈, 허명(1993). 중등 과학교사 관계 사항에 대한 실태 분석과 질적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서 

  8. 박윤배 (1992). 현직 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교육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7 

  9. 신경림 역, Strauss A.,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10. 신경림 역, Strauss A.,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11. 안유민, 김찬종, 최승언 (2006).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과학내용의 전개 방식과 내용 이해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91-702 

  12. 이선경, 오필석, 김찬종 (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식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13. 임청환 (2003a).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35-249 

  14. 임청환 (2003b).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15. Ball, D., & McDiarmid, G., (1990). The subject matter preparation of teachers. In W. Houston, M Haberman, & J. Sikula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437-449 

  16. Baxter J. A. & Lederman N. G. (1999).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edagogical Knowledge In J. Gress-Newsome & N.G. Ledreman (Eds.), Examin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p. 147-161). Dordrecht/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 Carlsen, W. S. (1987). Why do you ask? The effects of science teacher subject-matter Knowledge on teacher questioning and classroom discourse.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3 181) 

  18. Carlsen W. S. (1999). Domains of Teacher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G Ledreman (Eds.), Examin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p. 133-144). Dordrecht/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Carpenter, T., Fennema, E., Peterson, P., Chiang, P., & Loef, M. (1989). Using Knowledge of children's mathematics thinking in classroom teaching: An Experimental stud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6, 499-531 

  20.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c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 263-272 

  21. Clark, C., & Peterson. P. (1989). Teachers' thought process. In Wittrock, M.(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p. 256-596, New York; Macmillan 

  22. Clemont, C. P., Krajcik, J. S., & Borko, H, (1993). The Influence of an intensive in- service workshop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growth among novice chemical demonstrat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 21-43 

  23. Clemont, C. P., Borko, H., & Krajcik, J. S. (1994). Comparative stud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xperienced and novice chemical demonstrators. Journal of Reserch in Science Teaching 34(4), 419-441 

  24. Darling-Hammond, L. (2006). Constructing 21st-century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3), 300-314 

  25. Dewey (1993). How we think. Boston : D. C. Health and company 

  26. De Jong O., Van Driel J. H., Verloop N. (2005).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of using particle models in teaching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947-964 

  27. De Jong O., Veal W. R., Van Driel J. H., (2002).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8. De Jong O. & van der Valk (2007). Science teachers' PCK and teaching practice: learning to scaffold students' open-inquiry learning. Contributions from Science Education, 107-118, Springer 

  29. Doyle, W. (1990). Theme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W. Houston, M. Haverman, & J. Sikula Eda.),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p. 3-24), NY: Macmillan. 

  30. Feiman-Nemser, S. (2001). Helping novices learn to Skill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2), 75-95 

  31. Loughran, J.J., Milroy, P., Berry, A., Gunstone, R., & Mulhall, P. (2001). Document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PaP-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281-307 

  32. Loughran, J.J., Mulhall, P.,&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n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370-391 

  33. Loughran, J.J., Mulhall, P., & Berry, A. (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otterdam: Sense Publishers 

  34.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 3-11 

  35. Meyer H. (2004). Novice and expert teachers' conceptions of learners' prior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8, 970-983 

  36.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G. Ledreman (Eds.), Examin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p. 95-132). Dordrecht/Boston: Kluwer Academic Pubilshers 

  37. Mcdiarmid, G. W., Ball, D. B& Anderson, C. W., (1989). Why staying one chapter ahead doesn't really work: Subject-specific pedagogy. im M. C. Renolds(Ed)., Knowledge for beginning teacher, New York, Pegamon, 193-205 

  38. Mulholland J., & Wallace J. (2005). Growing the tree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Teaching, 42 767-790 

  39. Resnick, L. B. (1987). Education and learning to think. Wachington, D. C.: Natonal Academy Press 

  40. Rovegno, I.(1992). Learning to teach in a filed-based methods course;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1), 69-82 

  41. Schon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eink in action. NY: Basic books 

  42. Schon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Jossey-base publishers, San Francisco, CA 

  43.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4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45. Shulman, L. S. (1996). Just in case : Reflections on learning from experience. In K. T. J. Colbert, P. Desberg, & K. Trimble(Eds.), The case for education: Contemporary approaches for using case methods(pp. 197-217). Boston: Allyn & Bacon 

  46. Smith, D. C., & Neale, D. (1989). The constuc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primary science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 1-20 

  47. Smith, D. C. and Neale, D. C. (1991) The construc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in prim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1), 1-20 

  48.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49. Tuan, H., Chang, H., Wang, K., & Treagust, D. (200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gs' perceptions of teachers' knowledge. International Jouranal of Science Education, 22(4), 385-398 

  50. Turner-Bisset, R. (1999). The Knowledge bases of the expert teacher.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 39-55 

  51. Turner-Bisset, R. (2001). Expert teaching: Knowledge and teaching to lead the progession, London: Fulton 

  52.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ment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673-695 

  53. Wertsch, J. V. (1985). Vygotsky and the social formation of mind. Cambridge, M. 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Wilson, W. M., Shulman, L. S.,& Richert, E. R., (1988). '150 different ways; fo Knowing: Representations of Knowledge in teaching in(de) J. Calderhead Exploring Teachers' thinking. New York, Taylor and Francis 

  55. Wilson, S., & Wineburg, S.(1988). Peering at history through different lessons: The role of disciplinary perspectives in teaching history. Teachers College Record, 89, 525-539 

  56. Yager, R., (1992). Viewpoint: What we did not learn from the 60s about science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8), 905-9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