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Student-Centeredness of the Modality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Discourse language Cod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1, 2009년, pp.116 - 136  

맹승호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 과학 수업은 그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주체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내용, 구조, 기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교수법적 실천 양태의 차이를 명료화하고, 수업의 사회적 상황을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수업의 이러한 특징은 과학 수업의 언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도입하여 광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에 대하여 수업 담화 언어 코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사례의 수업 담화 장면 별로 담화의 맥락 및 담화 참여자에 대한 권력 관계를 나타내는 범주구분의 정도와, 담화 주체간의 위계적 관계 및 담화 주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다른 범주구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담화 언어 코드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물 단원의 수업 담화 사례는 6가지 유형의 담화 언어 코드가 형성되어, 수업 담화의 측면에서 학생 중심 수업과 교사 중심 수업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부이고 있었다. 담화 언어 코드이 변화 경향에 따라 과학수업 양태의 변화 양상은 '통제된 학생 중심성 유도 수업'에서 '지위적인 학생 중심성 허용 수업'으로, 그리고 '통제된 학생 참여 허용 수업'을 거쳐, '통제된 학생 중심성 촉진 수업'과 '학생 중심성 강화 수업'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의 담화 주도가 보장되는 약한 담화적 통제와 담화 주체간의 약한 위계적 관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언어 코드에 대한 교사의 자각이 구성주의 수업, 학생 중심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과 맞물려 강화될 수 있다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수업의 실행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tent,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uring the practice of school science classes, it needs to articulate the difference of the modality of pedagogical practice in order to understand science teaching in detail. These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고창규 (2000). 초등학교 1학년 수업의 참여구조에 관한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3(1), 1-23 

  2.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3. 이옥희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이혜정, 양일호, 서형두, 정재구 (2005).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초등과학교육 24(2), 123-129 

  5.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박영신, 오필석(2006). 과학 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 과학 교사와 경력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6.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7. 조영달 (1999). 한국 중학교 경제 수업의 참여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 미시기술적 연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9, 193-225 

  8. Anderson, K. T., Zuiker, S. J., Taasoovshirazi, G., & Hickey, D. T. (2007). Classroom discourse as a tool to enhance formative assessment and practise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4), 1721-1744 

  9. Ash, D. (2008). Thematic continuities: Talking and thinking about adaptation in a socially complex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1-30 

  10. Bernstein, B. (1990). Class, codes and control (Vol.4): The structuring of pedagogic discourse. London: Routledge 

  11. Bernstein, B. (2000).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Rev. ed.).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2. Bloor, T., &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A Hallidayan approa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Bloor, T., &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A Hallidayan approa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4. Botelho, A., & Morais, A. M. (2006). Students-exhibits interactional at a science cen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10), 987-1018 

  15. Buty, C., & Mortimer, E. F. (2008). Dialogic/Authoritative discourse and modelling in a high schoool teaching sequence on op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2), 1635-1660 

  16. Childs, A., & McNicholl, J. (200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3), 1629-1653 

  17. Daniels, H. (2001). Bernstein and activity theory. In A. Morais, I. Neves, B. Davies, & H. Daniels (Eds.), Towards a sociology of pedagogy: The contribution of Basil Bernstein to research (pp. 99-112). New York: peter Lang 

  18. Erduran, S., Simon, S., & Osborne, J. (2004). TAPping into argumentation: deb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 pattern for studying science discourse 

  19. Richardson, V. (2003). Constructivist pedagogy. Teachers College Record, 105(9), 1623-1640 

  20. Rowell, P. M., & Ebbers, M. (2004). Shaping school science; Competing discourse in an inquiry-based elementary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8), 915-934 

  21. Schuh, K. L. (2004). Learner-centered principles in teacher-centered practi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8), 833-846 

  22. Scott, P. H., Mortimer, E. F., & Aguiar, O. G. (2006).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ive and dialogic discours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Science Education, 90(4), 605-631 

  23. Tsatsaroni, A., Ravanis, K., & Falaga, A. (2003). Studying the recontextualisation of science in preschool classrooms: Drawing on Bernstein' s insights into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 385-417 

  24. Vygotsky, L. S. (1987).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ss: Harcard unicersity Press 

  25. Vygotsky, L. S. (1981). The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s. In J. V. Wertsch (Ed. & Trans.), The concept of activity in Soviet psychology (pp. 144-188). Armonk, NY: M. E. Sharpe 

  26. Yore, L. D., Florence, M. K., Pearson, T. W., & Weaver, A. J. (2006). Written discourse in scientific communities: A conversation with two scientists abut their views of science, use of language, role of writing in doing science, and compatibility between their epistemic views and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109-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