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상팔경(瀟湘八景),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A Study on the Meaning and Coherence of Sosangpalkyung as a Text of Traditional Scener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1, 2009년, pp.110 - 119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상팔경은 중국에서 태동하여 오랫동안 동아시아의 시와 그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과 일본에서 전통 경관의 원형을 이끄는 문화현상으로 자리하였다. 지금까지 팔경 등 '경(景)'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정작 국내 팔경문화의 원류가 되는 소상팔경의 형식과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조경학적 연구 성과는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 텍스트'로서의 소상팔경가와 소상팔경도에 담겨진 정형적 모습은 무엇이며 소상팔경이라는 문화현상 속에는 과연 어떠한 인식체계와 사유방식(思惟方式)의 결속구조가 엮여져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팔(八)'의 상징성을 정리하고 경관 어휘소의 분절 및 해체를 통해 '소상팔경' 각 경의 표층구조와 상관관계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아이콘과 코드로 풀이하는 한편 텍스트 '소상팔경가'와 '소상팔경도'의 결속구조와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소상팔경은 음양관과 팔괘(八卦)를 기본으로, 인생과 자연의 순환 및 변환 원리를 문자와 그림 텍스트로 정리한 언어기호이며, 문장의 문법적 구조와 형식은 단어의 상징성을 강조한 함축언어를 유사성과 대비성의 원리로서 전개 대응시킴으로서 자연의 섭리를 인간의 의식 안으로 옮겨오려고 시도한 결속구조와 결속성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또한, '소상팔경'은 다양한 경관 요소를 일정한 형식과 구조의 틀 속에서 배열함으로써 인생과 자연의 생멸 과정과 교감 그리고 소통을 변증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소상팔경의 이미지 기호는 결국 인생과 자연의 순환론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며, 시간 및 계절 순환체계에서 인간이 관조하여 바라본 서사적 풍경이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입된 "소상팔경"의 문화현상은 성리학적 풍경으로 덧칠되면서 조선의 문예미학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고, 그 결속구조는 조선의 색채 풍경으로 변형되었지만 결속력은 꾸준히 전승되어 전래 문화경관의 기본 텍스트이자 한국적 풍경의 원형이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sang Pal-Kyung(瀟湘八景), which originated in China and means eight scenes of So River and Sang River, greatly influenced the poems and the pictures in East Asia for a long time and became a cultural phenomenon leading the stereotype of the traditional landscapes in Korea and Japan. Studies on 'Kyung(...

주제어

참고문헌 (104)

  1. 강미숙(1992) 한국의 소상팔경도에 나타난 미의식 고찰.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병희(2005) 조선의 하늘제사[祭天] 건축; 대한제국기 원구단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3.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 2-36 

  4.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효형출판 

  5. 고연희(2003) 소상팔경, 고려와 조선의 시.화에 나타나는 수용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9: 217-243 

  6.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돌베개: pp. 84-94 

  7. 김기탁(1981) 한국 한문학; 익재의 과 그 영향. 중국어문학 3: 347-357 

  8. 김동필, 이기철, 靑木陽二(1997) 한국과 일본의 팔경의 변화과정에 관한 기초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 49-57 

  9. 김신중(1996) 송재시 의 팔경시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37: 287-304 

  10. 김신중(1998) 소상팔경가의 관습시적 성격. 고시가연구 5(1): 125-148 

  11. 김순명(1992) 조선시대 초기 및 중기의 소상팔경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혜(2000) 일본 문화청 소장 금현성찬 고찰. 미술사학 14: 33-65 

  13. 노재현, 박율진, 김형률(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14. 노재현, 장일영(2008) '같은 경관' 그러나 '다른 풍경' 그 의미 찾기; 17 . 18C 총석정 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5): 82-93 

  15. 리영순(2006) 동물과 수로 본 우리 문화의 상징세계. 도서출판 훈민 

  16. 류재일(1994) '이제현의 작품을 수용한 '남원고사(南原古詞)'의 연구'. '연민학지'. 제2권: 61-58 

  17. 민중서림(1982) 국어대사전 

  18. 박일용(1997) '강상풍경' 대목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판소리연구'. 8(1): 87-133 

  19. 박해훈(2007) 조선시대 소상팔경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송희경(1993) 중국 남송의 소상팔경도와 그 연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송희경(1995) '남송의 소상팔경도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 205: 49-84 

  22. 송희경(2006) 여말선초 문예의 전환기적 논리;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의 시각적 번안과 그 표상적 의미; 강천모설(江天暮雪)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15: 127-158 

  23. 송효섭(1997) 문화기호학. 대우학술총서 92. 민음사 

  24. 서인화(2000) 단가 소상팔경 연구. 한국음반학. 10: 129-155 

  25. 성원경(1999) 소상팔경이 국내 팔경에 미친 영향고. 춘허 성원경박사 퇴임기념문집간행위원회 건국대학교 

  26. 안장리(1997a) '비해당48영시'의 팔경시적 특성. 연민학지 5: 139-161 

  27. 안장리(1997b) '동국여지승람' '신증' 소재 팔경시의 특성. 한국한문학연구 20: 109-135 

  28. 안장리(1997c) '한국팔경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9. 안장리(1997d) 소상팔경시와 삼척팔경시의 차운 양상에 대해서. 한국한시연구 5: 147-166 

  30. 안장리(2000) 열가지 주제로 풀어본 우리 경관 우리 문학. 평민사 

  31. 안장리(2002)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32. 안장리(2004) 소상팔경시첩의 문화사적 의미 연구.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회출판사 

  33. 안휘준(1978a) 전 안견 필 '사시팔경도'. 미술사학연구. 136 . 137: 72-78 

  34. 안휘준(1978b)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소상팔경도'. 미술사학연구. 138 . 139: 136-142 

  35. 안휘준(1988) 한국의 소상팔경도 연구. 문예출판사 

  36. 안휘준(2000)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37. 안휘준(2005) 겸재 정선(1676-1759)의 소상팔경도. 미술사논단 20: 7-80 

  38. 이상남(2000)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 연구; 泗川子所藏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상주(2008) 충북의 팔경과 팔경시. 동일 

  40. 이상아(2008) 조선시대 팔경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주영(2005) 미메시스 관점에서 본 문학과 미술의 관계. text와 형상. 예술의 학제간 연구를 위한 고찰. 미술문화 

  42.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1책. 휴머니스트 

  43. 이재원(2004) 언어학과 타 분야에서의 '텍스트' 개념들. 독일문학. 제91집. pp. 266-286 

  44. 이희승(1939) 가사 해설. 문장. 제3집: 4 

  45. 임재완(1994) 비해당 번역. 호암미술관연구논집. 제2집 

  46. 임창순(1989) 비해당 소상팔경 시첩 해설. 태동고전연구 5: 257-277 

  47. 임태승(2006) 아이콘과 코드; 그림으로 읽는 동아시아 미학범주. 미술문화 

  48. 오영삼(2008) 산시청풍(山市晴嵐)의 도상에 관한 고찰; 관산행려(關山行旅)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술사학보. 제30집: 193-230 

  49. 여기현(1990) 의 표상성 연구(1); 이인로의 의 경우. 반교어문연구 2: 193-219 

  50. 여기현(1992) 의 표상성 연구(2); 성대문학 28(1): 152-173 

  51. 여기현(1999) 팔경계 시의 표상성 고전시가의 표상성. 월인출판사 

  52. 여기현(2002a) 소상팔경의 수용과 양상. 중국문학연구 25: 305-326 

  53. 여기현(2002b) 잡가 의 형상화 특성. 인문사회과학논문집. 제31집. 광운대학교 

  54. 여기현(2003) 소상팔경의 시적 형상화 양상. 반교어문연구 15: 37-64 

  55. 장계수 역(1999) 서거정 동문선. 권102 

  56. 장계수(2000) '조선후기 소상팔경도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지영재(2003) 소상팔경 . 송도팔경 '서정록(西征錄)을 찾아서'. 푸른역사. pp. 479-556 

  58.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 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1): 31-43 

  59. 조영돈(2006) 논술문 생산의 텍스트 언어학적 책략. 태학사 

  60. 조은심(2001) 소상팔경도와 소상팔경시의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전경원(2001) 소상팔경 한시의 함의와 정서적 기여; '평사낙안(平沙落雁)'을 대상으로. 겨레어문학 27: 77-112 

  62. 전경원(2002a) 소상팔경 한시의 함의와 정서적 기여; '동정추월(洞庭秋月)'을 대상으로. 겨레어문학 28: 55-88 

  63. 전경원(2002b) 소상팔경 한시의 함의와 정서적 기여; '어촌낙조(漁村落照)'를 대상으로. 겨레어문학 29: 15-43 

  64.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정민(2002) 16 . 17세기 조선 문인지식인층의 강남열과 서호도. 고전문학연구 22: 281-306 

  66. 정우택 , ?木誠士(2003) '韓國の美術日本の美術', 昭和堂 

  67. 정운채(1992) 소상팔경을 노래한 시조와 한시에서의 경의 성격. 국어교육 79: 255-276 

  68. 정용수(1993a) 이후백(李後白)의 소상팔경가 변증. 경성대학교 부설 한국학 연구. 문화전통론집 1: 419-433 

  69. 정용수(1993b) 소상팔경의 문학적 성격. '사숙재(私淑齋) 강희맹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70. 천이두(1997) 의 '몽중가' 소고; '심청가'의 '소상팔경 지나갈제'와 관련하여. 판소리연구. 8집: 7-16 

  71. 최기수(1989)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2. 최기수(1991) 덕동구곡에 나타난 전통조경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논문집. 25: 279-293 

  73. 최경환(1991) '한국 제화시의 진술양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 최경환(1995) 이인로와 진화의 '송적팔경도(宋迪八景圖)'시 대비. 한국고전연구 1: 61-93 

  75. 최석기(2008) 전통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문화재청.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76. 최진원(2004) 팔경과 구곡;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회출판사 

  77. 최종현(2007) 원림건축형식으로서의 한국전통산수화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3-36 

  78. 최은주(2001) 조선전기 팔경시의 창작경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De Beaugrande, Robert-Alain/Dressler, Wolfgang Ulrich(1981) 정희자 (역), 담화와 문법,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 

  80. 金羊毛(2000) '中國山水畵唐 .宋 .元卷', 廣西美術出版社 

  81. 高木文(1926) 玉澗牧谿瀟湘八景繪と其傳來の硏究. 聚芳閣 

  82. 篠原修(1977) 景觀體驗と景觀の操作. 土木工學體系編輯委員會. 景觀論. 障國社 

  83. 中村良夫(2004). 風景を倉る. 강영조 (역), 풍경의 쾌락. 효형출판. 2007 

  84. 靑木陽二, ?原映子(2007) 八景の分布と最近硏究の動向. 國立環境硏究所 

  85. 鄭于澤??木誠士(2003) '韓國の美術日本の美術'. 昭和堂: pp. 104-107 

  86. 島田修二郞(1941) '宋迪と瀟湘八景'. 南畵鑑賞. 104호: pp. 6-13 

  87. 芳賀徹(1986) 風景の比較文化史; と . 比較文學硏究. 50: 27-36 

  88. 衣若芬(2004a) 高麗文人對中國八景詩之受用現象及其歷史意義.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회출판사 

  89. 衣若芬(2004b) '江山如畵?與?畵裡江山':宋元題?瀟湘?山水畵詩之比較.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회출판사 

  90. 島田修二郞(1931) '宋迪と瀟湘八景'. '南畵鑑賞'. 104卷 

  91. 堀川貴司(2002) '瀟湘八景- 詩歌と繪畵に見る日本化の樣相'. 臨川書店 

  92. 佐藤康宏(2005) '講座日本美術史3 - 圖上の意味'. 東京大學出版會 

  93. 李如龍(1996) . 中國語文. 商務印書館. 第3期 

  94. Murck, Alfreda(1984) Eight Views of Hsiao and Hsiang Rivers by Wang Hung, Images of the Mind,. Art Museum of Princeton University 

  95. Ann, hwi-joon(1975) Two Korean landscape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Korea Journal 15(2): 31-41 

  96. Ju. M. Lotman et al.(1975) Theseson the Semiotics Study of Culture. de. Thomas A. Sebeok, The Tell-Tale Sign: A Survey of Semiotics. the Peter de Ridder Press 

  97. Kim, Hong-nam(1998) 'An Kyon and the Eight Views Tradition: An Assessment of Two Landscape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rts of Korea.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98. http://blog.daum.net/ihrskm/7867723?srchidBR1http%3A%2F%2Fblog.daum.net%2Fihrskm%2F7867723 

  99. http://chohamuseum.net/97 

  100. http://cafe.daum.net/hansol-tour/3soW/2?docid1Ed90|3soW |2|20080826190115&q%BC%D2%BB%F3%C6%C8%B0%E6&src hidCCB1Ed90|3soW|2|20080826190115 

  101.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80 121174410&Section04 

  102.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 08&eidRzRhrLbHfoc5IbbOokJxQWqynvEaPiXE&qb7KCV67C Y7ZWp&encutf8&pidfkzCxdoi5UKsssY7QDhsss--496879&sid hmFoA3IdukkAAAqAXKgAAAAn 

  103.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B%B0%98%ED%95%A9 

  104. http://www.ealai.c.u-tokyo.ac.jp/korea/pdf/EALAIreport_5senses_all_k.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