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탁족(濯足)의 배경과 그 문화현상에 담긴 조경적 의미 - 시문과 그림에 나타난 탁족지유(濯足之遊)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Background of Takjok(濯足; Washing Feet) and the Landscape Architectual Meaning of Its Cultural Phenomenon - Focused on Takjokjiyu(濯足之遊) Shown on Poetry, Prose, and Painti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6, 2013년, pp.72 - 83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서효석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옛 문헌과 그림에 담긴 탁족(濯足)의 문화현상과 그 기저에 담긴 배경 및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탁족 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조경적 대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 질서에 순응하고 세속으로 부터 초연(超然)한 삶을 비유한 '탁영탁족(濯纓濯足)'의 고사는 '은일(隱逸)'을 통해 유유자적하는 탁족지유(濯足之遊)로 승화되었다. 선비가 유연(柔軟)한 계류에 발을 담그는 것은 자연과 물아일체(物我一體) 함으로써 도(道)와 상합(相合)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습은 자유로운 정신세계인 '유(遊)'의 경지이자 본질과 상통한다. 탁족의 문화현상은 고려 말 이후 조선시대 전래경관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팔경시(八景詩)에 나타난 탁족은 고답적(高踏的)인 것이라기보다는 일상에 깃든 생활경이기도 하였다. 탁족도에 묘사된 맑은 물이 흐르는 계류[淸溪]와 바위, 그리고 소나무 등 교목이 우점(優占)하는 산수는 뜻 높은 선비의 은일공간으로 기호화되고, 그 정신세계는 더욱 부상되었다. 중국의 탁족도에서는 '청계(淸溪)'와 '창랑(滄浪)'을 강조함으로써 더러움에 대비되는 청류(淸流)의 이미지와 상고성(尙古性)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는 반면, 조선시대 그것은 상대적으로 은일과 탁족지유라는 내면적 즐거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탁족도에 나타난 자연관은 자연의 섭리를 그림 속에 그려진 선비의 상황 및 태도로 비유하여, 산수에 대한 사랑과 그 속에서 여유를 즐기는 가운데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를 깨닫게 하는 도가적(道家的) 관점의 표현이 잘 드러난 것으로 이는 중국은 물론 조선의 시대정신과 미의식의 한 단초를 보여준다. 요컨대 양국의 '탁족지유'는 인격수양이나 처신, 또는 은둔과 고답(高踏)의 상징으로 해석되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세계에서 납량의 수단으로 수용되어 왔다. 탁족 행위에는 선비들의 이상과 상고주의(尙古主義) 정신이 깃들어 있을 뿐 아니라, 일반 서민의 더위를 이기는 지혜가 담겨 있음은 깊이 되새겨 봐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적 지원성에 입각한 수공간과 탁족바위 그리고 물의 활용은 휴양 레크레이션 공간에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대상이며, 탁족 행위에 깃든 정신이야말로 고전적 치유(治癒)의 정신문화였음을 일깨워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landscaping alternatives for the succession of Takjok(濯足) culture by considering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akjok's cultural phenomenon shown in old literatures and paintings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An old idiom, 'Takyoung Takjok(濯纓濯足)' implying a di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국 그림에서는 탁족행위의 주체 이외에 주변에 설정된 보조자로는 대부분 1~2인의 시동(侍童)이 등장하는 경우가 7점 발견되었으며, 국내의 것은 3점 발견되었다. 또한 주변에는 벗어놓은 의관과 신발 그리고 서책 등을 묘사함으로써 고아한 품격을 드러내고자한 의도가 엿보인다. 특히 국내 탁족도와는 달리 중국에서는 조어(釣魚)의 행위나 그와 관련된 도구가 보이는 그림도 3점이나 있는 것으로 보아, 탁족도과 함께 조어도(釣魚圖)를 혼합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본 연구가 탁족의 행위 문화를 오늘에 계승하기 위한 방안모색의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본 연구는 옛 문헌이나 그림 등에 담긴 중국과 조선시대 탁족의 문화현상과 그 기저에 담긴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문화현상의 흔적으로 남아있는 조경 유구 등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옛 문헌이나 그림 등에 담긴 중국과 조선시대 탁족의 문화현상과 그 기저에 담긴 배경과 의미를 고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었다.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중국을 포함한 고려 말부터 조선조 물과 관련한 고문헌 조사 분석을 통한 탁족의 문화현상 고찰, 둘째, 탁족을 묘사한 탁족도의 세부 화제(畵題) 및 표현 경관요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한 탁족의 의미 고찰, 그리고 셋째, 한국과 중국의 탁족도 도상 비교 분석을 통한 함의 고찰 등이며, 더불어 탁족의 현대적 해석 및 계승방법에 대한 제안을 더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옛 문헌이나 그림 등에 담긴 중국과 조선시대 탁족의 문화현상과 그 기저에 담긴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문화현상의 흔적으로 남아있는 조경 유구 등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경적 견지에서 본다는 탁족을 무엇으로 보았는가? 탁족은 중국 북송 이후 고사인물도(高士人物圖: legendary scene)의 주요 화제(畵題) 중 하나이기도 하였다. 조경적 견지에서 본다는 탁족은 선인들에게 일종의 놀이문화이자 여름을 이기는 지혜였으며, 한편으로는 세상의 근심과 우려를 떨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였다. You(2007: 16)는 “민화풍의 삼복탁족도(三伏濯足圖)에서는 고고한 기품 대신에 질펀한 물놀이의 흥겨움이 강조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를 통해 탁족의 시대정신을 조명하고, 탁족이 조선시대 유효한 레포츠의 하나였음을 설파한 바 있다.
탁족의 사전적 정의는? 탁족(濯足)의 사전적 정의는 ① 발을 씻음, ② 세속(世俗)을 떠남, ③ 탁족회(濯足會) 등으로 제시(http://hanja.naver.
동국세시기에서 기록한 탁족이란? ‘탁족(濯足)' 행위에 대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2)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세시풍속(歲時風俗)으로, ‘육월(六月)’ 월내(月內)편에 “천연정(天然亭)의 연꽃, 삼청동(三淸洞)과 탕춘대(蕩春臺), 정릉(貞陵) 계곡에 풍류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 이것은 중국 황하 북쪽에 있는 하삭(河朔) 땅에서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여러 장수를 모아놓고 회음(會飮)하던 것을 모방한 것이다. 남산(南山)과 북악산의 맑은 계곡을 찾아서 발을 씻고 목욕하며 하루를 청유(淸遊)한다.”3)는 기록을 찾을 수 있다(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Bak, Jongyeul. Jisanmoonjip(止山文集). 

  2. Choi, Hyochan(2008) Five Hundred Year Old Noble Family, the Secret of Lasting Management. Goyang: Wisdomhouse; p. 158. 

  3. Gabyuksa(1923) Gabyuk, Summer in Seoul. Kyungsung. 38: p. 129. 

  4. Gwak, Jin. Dangokjip(丹谷集). 

  5. Hong, Sukmo. Dongguksesiggi(東國歲時記). 

  6. Hong, Yooson. Jojongyugo(篠叢遺稿). 

  7. Huh, Gywn(1997) Our Old Painting by Meaning Interpretation. Mirae N Co. Ltd,: p. 97. 

  8. Hwang, Huek. Doksukjip(獨石集). 

  9. Jeong, Yakyong. Dasansimoonjip(茶山詩文集) Volume 6. 

  10. Kang, Hasung(1909) Samchungdong Takjok. Journal of Kyonam Education. Volume 5. 

  11. Kang, Minjung(2010) A Study on Landscape Painting with Figures in the Choseon Dynasty.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12. Kho, Youenhee(2007) The Landscape of Joseon Dynasty, A Spirit History of Beautiful Brush and Chinese Ink. Dolbegae. Publishers. p. 122. 

  13. Kim, Giwon(2009) A theoretical study on planning and design of forest therapeutic trai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2(4): 57-66. 

  14. Kim, Jaeyung(2005) Study on the Expression of and Significance for the Water in the Korean Painting: Focused on the Korean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5. Kim, Sunhyoung(1997) The Subject of Sokyungsansoo Figure Painting in Joseon Dynasty. Ch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16. Kim, Suungwon(1876) Suhhadangyugo(棲霞堂遺稿). 

  17. Kim, Taesoo(2009) Ideal World and Nature Management at Hemits of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Korea University Doctor's Degree Thesis. 

  18. Kim, Yongkwon(2002) The thought and the arts world of Korea art: A theme study on the seclusion and stroll with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Collection of Dissertations 4: 18-22. 

  19. Kwak, Jongsuk. Iilwoojip(?宇集). 

  20. Kwun, Youngpil(1994) Aesthetic Problems in Korean Traditional Art. Korea Univ. Korean Studies Institute: p. 106. 

  21. Lee, Hang. Youngjaejip(容齋集). 

  22. Lee, Hwang. Toegyejip(退溪集). 

  23. Lee, Jeahyun. Ikjenango(益齋亂稿). Volume 3. 

  24. Lee, Mingoo. Dongjoojip(東州集). 

  25. Lee, Sik. Sipchunhhwanjip(十?軒集). 

  26. Lee, Sukho Translation(1969) Dongguksesiggi(extraordinary). Seoul: Eulyoo Publishing Co.: p. 266. 

  27. Lee, Sungeun(1997) A study on the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Study of Art History 11: 43-68. 

  28. Lee, Sungso. Samtanjip(三灘集). 

  29. Lee, Yeunsuk(1998)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Design. Yonsei Univ., Publishers: p. 274. 

  30. Rho, Jaehyun, Junghan Lee, Joon Huh and Jeongmoon Kim(2012) The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meanings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s of Mt. Sangd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1-13. 

  31. Shim, Kyungho(2007) Prose Travel. Seoul: Leegaseo Publishers: p. 338. 

  32. Shim, Youngok(2003) A study on Daojia art hall of object of "water" of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Oriental Art 5: 81-117. 

  33. Sung, Nung edit.(1745) Bukhanji(北漢誌). 

  34. Yim, Hoon. Chummodangjip(瞻慕堂集). 

  35. You, Hongjoon(2007) My Publish Survey of Cultural Heritage 2. Paju: Changbi Publishers: p. 16. 

  36. http://db.itkc.or.kr/ 

  37. http://folkency.nfm.go.kr/ 

  38. http://hanja.naver.com/ 

  39. http://kto.visitkorea.or.kr/ 

  40. http://kyu.snu.ac.kr/ 

  41. http://m.grandculture.net/ 

  42. http://parasports.co.kr/147 

  43. http://people.aks.ac.kr/ 

  44. http://soswaewon.co.kr 

  45. http://www.baidu.com/ 

  46. http://www.daum.net/ 

  47. http://www.google.co.kr/ 

  48. http://www.koreandb.net// 

  49. http://www.naver.com/ 

  50. http://www.yeanyi.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