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odontogenic keratocyst Patients and Methods: A retrosective review of 10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odontogenic keratocyst by hitological finding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5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병소부위에 따른 재발율의 통계학적 분석은 병소의 위치에 따른 재발율의 차이에 대한 비교와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재발율의 차이를 비교하는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병소의 위치에 따른 재발율의 차이는, 하악 139부위중 45부위(32.
  • 임상 방사선학적 정보는 환자의 나이, 성별, 병소의 위치 임상적 발현양상, 방사선학적 진단, 병소의 수, 기저세포 모반 증후군과의 관련성, 치료방식 그리고 재발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병소의 위치는 상악을 3개의 영역으로, 즉 전방과 소구치, 대구치 부위로 그리고 하악은 4개의 영역으로, 즉 전방, 소구치부, 대구치부 그리고 하악지 부위로 나누었다. 다발성 병소는 방사선검사에 의해 확인 되었으며 병소가 다발성으로 존재하거나 병소의 크기가 여러 부위에 걸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부위에 모두 포함시켰다.
  • 우리는 100증례의 치성 각화낭종을 진단 시 환자의 나이, 성별, 위치, 방사선학적 검사 그리고 치료방법 등으로 분류하고, 추적 조사하여 재발률을 측정하고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 7개월이었고 범위는 6-168개월까지이었다. 재발률은 환자의 나이, 성별, 병소의 위치 조직병리학적 검사 즉 이장상피의 기저층에서 하나 이상의 딸낭이 있는가, 상피하부에서 염증반응이 있는가 등으로 측정되었다.
  • 전체 100명의 환자는 재발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술 후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다. 추적조사 평균 기간은 30.

대상 데이터

  • 100명의 환자 중 28명이 재발을 보였다.(Table 2) 전체 재발률은 28%였고 이중 10명(35.
  • 100명의 환자중 90명(90%)은 낭종 적출술, 7명(7%)은 감압술(decompression)이후의 낭종 적출술, 2명(2%)은 하악골 절제술 그리고 1명(2.5%)은 조대술(marsupialization)만으로 치료하였다. 낭종 적출술을 시행한 환자중 8명은 화학적 소작법(chemical cauterization)을 시행하였으며, 3명은 낭종의 상악동으로의 합입에 의한 천공으로 C-L’s op.
  • 치성 각화낭종 표본은 2000년 1월에서 2005년 12월까지 부산대학병원의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절제 생검을 통해 치 성각화낭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증례는 Shear가 제시한 진단기준13)에 따라 검토하였다.

이론/모형

  • 치성 각화낭종 표본은 2000년 1월에서 2005년 12월까지 부산대학병원의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절제 생검을 통해 치 성각화낭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증례는 Shear가 제시한 진단기준13)에 따라 검토하였다.
  • 다발성 병소는 방사선검사에 의해 확인 되었으며 병소가 다발성으로 존재하거나 병소의 크기가 여러 부위에 걸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부위에 모두 포함시켰다. 기저세포 모반 증후군6-8)과의 관련성은 Gustafson 등이 제시한 진단 기준에 의해 이루어졌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성각화낭종은 어디에 발생하는가? 치성각화낭종은 악골의 어느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약 2/3가 하악에서 발생하고 특히 하악의 후방과 하악지에서 잘 발생한다. 유아에서 7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10-20대 남성에서 가장 많이 호발한다.
치성각화낭종의 재발률은? 치성각화낭종은 현저한 성장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치성낭종보다 월등하여 다량의 골파괴를 야기하여 크기가 큰 병소를 이룰 수 있다. 치성각화낭종은 암종의 재발률과 유사한 약 25-60%의 재발률을 나타내며 이런 점에서 치성각화낭종은 다른 치성 낭종과 특별히 구분된다1-3).
치성각화낭종이 가장 많이 호발하는 연령층은? 치성각화낭종은 악골의 어느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약 2/3가 하악에서 발생하고 특히 하악의 후방과 하악지에서 잘 발생한다. 유아에서 70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10-20대 남성에서 가장 많이 호발한다. 치성각화낭종은 현저한 성장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치성낭종보다 월등하여 다량의 골파괴를 야기하여 크기가 큰 병소를 이룰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ung-Hoon Chung, Eui-Wung Lee : A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study of benign odontogenic tumors. J Kor Oral Maxillofac Surg 1991;17:83-88 

  2. Sang-kweon Cha, Il-Kyu Kim. Seong-Seob Oh : Clinical study of cyst in the jaw. J Kor Oral Maxillofac Surg 2001; 27:167-173 

  3. J. Philip Sapp, Lewis R. Eversole, George P. Wysocki : Cysts of the oral regions in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St. Louis. Mosby 1997 

  4. Bataineh AB, al Qudah M : Treatment of mandibular odontogenic keratocysts :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1998;86:42-49 

  5. Voorsmit RA, Stoelinga PJ, van Haelst UJ : The management of keratocysts. J Maxillofac Surg 1981;9:228-233 

  6. Payne TF. : An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histologic parameters of OKC. Oral Surg Oral Pathol 1972;33:536-46 

  7. Hodgkinson DJ. : Keratocysts of the jaw: clinicopathologic study of 79 patients. Cancer 1978;41:803-13 

  8. Radden BG, Reade PC : Odontogenic keratocysts. Pathology 1973;5:525-534 

  9. Minic AJ. : Primary intraosseous s1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 mandibrlar keratocyst.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2;21:163-165 

  10. Stoelinga PJW, Bronkhorst FB. : The incidence, multiple presentation and recurrence of aggressive cysts of the jaws. J Craniomaxillofac Surg 1988;16:185-95 

  11. Muller S, Waldron CA. : Primary intraosseous squamous carcinoma: report of two case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1;10:362-365 

  12. Ahlfors E, Larsson A, Sjogren S. : The odontogenic keratocyst : a benign cystic tumor? J Oral Maxillofac Surg 1984;42:10-19 

  13. Shear M. : Cyst of the oral regions. 2nd ed. Bristol, England. Wright PSG. 1983 

  14. Gustafson G, Lindahl B, Dahl E, Svensson A. :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Gorlin's syndrome. Multiple jaw cysts and skin cancer. Swed Dent J 1989;13:131-139 

  15. Browne RM. : The odontogenic keratocysts: clinical aspects. Br Dent J 1970;128:225-231 

  16. Kakarantza-Angelopoulou E, Nicolatou O. : Odontogenic keratocysts: clinicopathologic study of 87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1990;48:593-599 

  17. Brannon RB. : The odontogenic keratocyst: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312 cases. Part II: Histologic featur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7;43:223-254 

  18. Chow HT. : Odontogenic keratocyst: a clinical experience in Singapor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6:573-577 

  19. Kondell PA, Wiberg J. : Odontogenic keratocysts. A follow-up study of 29 cases. Swed Dent J 1988;12:57-62 

  20. Vedtofte P, Praetorius F. : Recurrence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s in relation to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a 20year follow- up study of 72 patients. Int J Oral Surg 1979;8:412-420 

  21. Panders AK, Haddlers HN. : Solitary keratocysts of the jaws. J Oral Surg 1969;27:931-938 

  22. Magnusson BC. : Odontogenic keratocysts: a clinical and histological study with special reference to enzyme histochemistry. J Oral pathol 1978;7:8-18 

  23. Keith DA. : Macroscopic satellite cyst formation in the odontogenic keratocyst. Report of two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3;35:21-27 

  24. Regezi JA, Sciubba JJ. Cysts of the oral region In: Regezi JA, Sciuba JJ, editors. Oral pathology: clinical-pathologic correlations. Philadelphia: WB Saunders; 1989 

  25. Zachariades N, Papanicolaou S, Triantafyllou D. : Odontogenic keratocyst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sixteen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1985;43:177-182 

  26. Hjorting-Hansen E, Andreasen JO, Robinson LH. : A study of odontogenic cysts, with special reference to location of keratocysts. Br J Oral Surg 1969;7:15-23 

  27. Emerson TG, Whitlock RI, Jones JH. : Involvement of soft tissue by odontogenic keratocysts (primordial cysts). Br J Oral Surg 1972;9:181-185 

  28. Jackson It, Potparic Z, Fasching M, Schievink WI, Tidstrom K, Hussian K. : Penetration of the skull base by dissecting keratocyst. J Craniomaxillofac Surg 1993;21:319-325 

  29. Chuong R, Donoff RB, Guralnick W. : The odontogenic keratocyst. J Oral Maxillofac Surg 1982;40:797-802 

  30. Donoff RB, Guralnick WC, Clayman L. : Keratocysts of the jaws. J Oral Surg 1972;30:880-884 

  31. Harris M. : Odontogenic cyst growth and prostaglandin-induced bone resorption. Ann R Coll Surg Engl 1978;60:85-91 

  32. Williams TP, Connor FA Jr. : Surgical management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aggressive approach. J Oral Maxillofac Surg 1994;52:964-966 

  33. Anand VK, Arrowod JP, Krolls SO. : Malignant potential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4;111:124-129 

  34. Forssel K. : The primordial cyst,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Proc Finn Dent Soc 1980;76:129-135 

  35. Partridge M, Towers JF. : The primordial cyst (odontogenic keratocyst): its umour-like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 Br J Oral Maxillofac Surg 1987;25:271-279 

  36. Waldron CA. Odotogenic cyst and tumors. In: Neville BW, Damm DD, Allen CM, Bouquot JE, editors.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1995.p.499-500 

  37. Larsen PE, Hegtvedt AK. : Odontogenesis and odontogenic cysts and tumors. In: Cummings CW, Fredrickson JM, Harker LA, Krause CJ, Schuller DE, editor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nd ed. St. Louis: Mosby; 1993.p.1427-1428 

  38. Irvine GH, Bowerman JE. : Madibular keratocysts: surgical management. Br J Oral Maxillofac Surg 1985;23:204-209 

  39. Eyre J, Zakrzewska JM. :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large odontogenic keratocysts. Br J Oral Maxillofac Surg 1985;23:195-203 

  40. Meara JG, Li KK, Shah SS, Cunningham MJ. : Odontogenic keratocyst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22:725-728 

  41. Neville BW, Damm DD, Brock T. : Odontogenic Keratocysts of the midline maxillary region.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340-3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