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깨비바늘 꽃 성분의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Bidens bipinnata L.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4 = no.159, 2009년, pp.345 - 350  

권지웅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변에리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  이어진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윤철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  정길생 (원광대학교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센터) ,  안인파 (중국 연변대학 장백산생물자원 및 공능분자교육부중점실험실) ,  권태오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OH extract of flowers of Bidens bipinnata L. have been furnished five flavonoids, sulfuretin(1), butein(2), 7,8,3',4'-tetrahydroxyflavanone(3), maritimetin(4) and okanin(5). All of the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activities on both linoleic acid peroxidati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깨비바늘 꽃의 EtOH 추출물 중 지질과산화 억제활성과 DPPH에 의한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EtOAc 가용부에 대하여 함유성분의 분리를 수행하였고, 이에 얻어진 5종의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및 간세포 보호활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항산화제인 BHA, BHT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항산화제로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tocopherol류, carotenoid, flavonoid, tannin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합성항산화제인 BHA, BHT는 그 효과와 경제성 그리고 안정성 때문에 많이 사용해 왔지만 다량을 섭취하면 간, 신장,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안전한 대체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3,4)
기존의 항산화제로 어떤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가? 기존의 항산화제로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tocopherol류, carotenoid, flavonoid, tannin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합성항산화제인 BHA, BHT는 그 효과와 경제성 그리고 안정성 때문에 많이 사용해 왔지만 다량을 섭취하면 간, 신장,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안전한 대체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3,4)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인 타크린을 복용하는 환자는 어떤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는가? 타크린(tacrine; 1,2,3,4-tetrahydro-9-aminoacridinehydrochloride) 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알츠하이머 증후군의 치료약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약물을 복용하 는 환자의 30~50%에 있어서 가역성 간 손상이 유발되기 때문에 투약의 제한을 비롯한 신중한 투여가요구되고 있다. 6) 따라서, 천연물로부터 타크린의 간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발견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 T., Mazur, M. and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 Valko, M., Rhodes, C. J., Moncol, J., Izakovic, M. and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40 

  3.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Choe, S. Y. and Yang, K. 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nd butylated hydroxy anisole(BHA). Kor.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5. Jim, L. K. and Gee, J. P. (1995) Adverse effects of drugs on the liver. In Young, L. Y and Koda-Kimble, M. A. (ed.),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26-1~26-17, Applied Therapeutics, Inc., Vancouver 

  6. Watkins, P. B., Zimmermann, H. J., Knapp, M. J., Gracon, S. I. and Lewis, K. W. (1994) Hepatotoxic effects of tacrine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Am. Med. Assoc. 271: 992-998 

  7. Das, D., Pemberton, P. W., Burrows, P. C., Gordon, C., Smith, A., McMahon R. F. and Warnes T. W.(2000) Antioxidant properties of colchicine in acute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rat liver injury and its role in the resolution of established cirrhosis. Biochem. Biophys. Acta. 1502: 351-362 

  8. Lin, C. C., Huang and P C. and Lin, J. M.(2000) Antioxidant and hepatoprptective effects of Anoectochilus formosanus and Gynostemma pentaphyllum. Am. J. Clin. Med. 28: 87-96 

  9. 안덕균. (2006) 한국본초도감. 104. 교학사. 서울 

  10. Yuan, L. P., Chen, F. H., Ling, L., Bo, H., Chen, Z. W., Li, F., Zhong, M. M. and Xia, L. J.(2008) Protective effects of total flavonoids of Bidens bipinnata L.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J. Pharm. Pharmacol. 60:1393-1402 

  11. Attia, H. A. and Samar, M. M.(2005) Evaluation of Some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diarrhoeal Activity. Phylother. Res. 19: 481-485 

  12. Inatani, R., Nakatani, N. and Fuwa, H. (1983) Antioxidative effect of the constituents of rosemary(Rosmarinus offcinalis L.) and their derivatives. Agric. Biol. Chem. 47: 521-528 

  13. Choi, J. S., Park, J. H., Kim, H. G., Young, H. S. and Mun, S. 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i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 299-303 

  14. Song, E. K., Cho, H., Kim, J. S. Kim, N. Y., An, N. H., Kim, J. A., Lee, S. H. and Kim, Y. C. (2001) Diarylheptanoids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vitro from Curcuma longa. Planta Med. 67: 876-877 

  15. Jung, M. J., Chung, H. Y., Kang, S. S., Choi, J. H., Bae, K. S. and Choi, J. S.(2003)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Arch. Pharm. Res. 26: 458-462 

  16. Chokchaisiri, R., Suaisom, C., Sriphota, S., Chindaduang, A., Chuprajob, T. and Suksamrarn, A.(2009) Bioactive flavonoids of the flowers of Butea monosperma. Chem. Pharm. Bull. 57: 428-432 

  17. Foo, L. Y.(1987) Configuration and conformation of dihydroflavonols from Acacia melanoxylon. Phytochemistry. 26: 813-817 

  18. Venkateswarlu, S., Panchagnula, G. K. and Subbaraju G. V.(2004) Synthe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3',4',6,7-tetrahydroxyaurone, a metabolite of Bidens frondosa.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2183-2185 

  19. Hoffmann, B. and H $\ddot{o}$ lzl, J.(1989) Chalcone glucosides from Bidens pilosa. Phytochemistry 28: 247-249 

  20. Galisteo, M., Rissel, M., Sergent, O., Chevanne, M., Cillard, J., Guillouzo, A. and Lagadic-Gossmann, D. (2000) Hepatotoxicity of tacrine: occurrence of membrane fluidity alterations without involvement of lipid peroxidation. J. Pharmacol. Exp. Ther. 294: 160-167 

  21. Kim, I. W., Shin, D. H. and Baek, N. I.(1999)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EtOH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Kor. J. Food Sci. Techonl. 31: 1654-1660 

  22. Wu, J. H., Tung, Y. T., Wang, S. Y., Shyur, L. F., Kuo, Y. H. and Chang, S. T.(2005)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heartwood of Acacia confusa. J. Agric. Food Chem. 53: 5917-5921 

  23. Park, H. J., Lee, K. T., Park, K. Y., Han, G. Y., Jung, M. H. and Choi, J. W.(2002)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on the biliary liver fibrosis in rat. Kor. J. Life Sci. 12: 332-339 

  24. Lee, S. H., Nan, J. X., Zhao, Y. Z., Woo, S. W., Park, E. J., Kang, T. H., Seo, G. S., Kim, Y. C. and Sohn, D. H.(2003) The chalcone butein from Rhus verniciflua shows antifibrogenic activity. Planta Med. 69: 990-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