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고들빼기 및 고들빼기 에탄올 추출물 첨가식이가 급성 에탄올 투여 흰쥐의 혈청과 간지질 및 알코올 대사 효소활성 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Youngia denticulata and Youngia sonchifolia on the Serum and Hepatic Lipids and Activities of Ethanol Metabolizing Enzymes in Acute Ethanol-Treated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2, 2012년, pp.197 - 204  

손진창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  김성환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  이상일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이예경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김순동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이고들빼기 및 고들빼기 성분이 에탄올급성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실험동물을 정상대조군(NC), 알코올 대조군(EC), 이고들빼기 잎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DL), 이고들빼기 뿌리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DR), 고들빼기 잎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SL), 고들빼기 뿌리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SR) 등 6군(7마리/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다음, 급성적으로 에탄올을 경구투여 하여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 변동과 혈청 및 간조직 지질함량 변동 그리고 혈청 ALT의 활성 변동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급성에탄올 경구투여에 의해서도 간조직 ADH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동은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에탄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잎 추출물 첨가식이군인 YDL 및 YSL군에서는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YDL 및 YSL군에서는 에탄올의 혈중 농도가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급성에탄올 투여로 증가하였던 혈청 TG와 total cholesterol 함량은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증가되었던 LDL-cholesterol의 함량은 YSR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감소되었던 HDL-cholesterol의 함량은 YSR군에서만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간조직 TG 및 total lipid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EC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간조직 cholesterol의 함량은 YDL군에서만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간조직 손상의 지표인 혈청 ALT의 활성은 급성에탄올 처치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이고들빼기 및 고들빼기 성분이 급성에탄올 독성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성분들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Youngia denticulata leaf (YDL) and Youngia denticulata root (YDR), and Youngia sonchifolia leaf (YSL) and Youngia sonchifolia root (YSR) on acute ethanol-intoxicated rat. The rats were pretreated with an ethanol extract of YDL, Y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서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널리 이용하고 있는 고들빼기와 이고들빼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 조직 알코올 대사효소 활성 변동 및 혈청과 간 조직 지질의 함량 변동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건강 기능 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코자 한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of 7 ra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의 대사과정으로 지방간이 생성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섭취된 에탄올은 신속하게 흡수되어 주로 간에서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acetaldehyde로, 다시 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acetic acid로 산화되어 energy를 생산하며 일부는 호흡기를 통해 에탄올 자체로 배설된다(4-6). 에탄올에 의한 장기 조직의 손상은 다양하고 복잡한 기전을 통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코올의 대사과정 중에 ADH와 ALDH에 의해 과잉으로 생성된 NADH에 의한 NADH/NAD의 비율 증가와 고젖산혈증으로 인한 체액의 산성화 및 과잉의 NADH를 이용한 지방산의 합성 증가에 기인된 지방간이 생성(1,7-11)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 외 에탄올의 대사에 관여하는 microsome의 CYP2E1(5,12-14)과 mitochondria 전자전달계(15)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와 같은 reactive oxygen species(ROS)와 에탄올의 중간대사산물인 acetaldehyde에 의해 조직의 손상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9).
급/만성 에탄올 섭취의 위험성은? 최근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주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생활습관병과 더불어 국민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급․만성 에탄올의 섭취는 간, 신장 및 뇌 등 여러 장기에 손상을 유발하며 특히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화를 유도해 사망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일반적으로 섭취된 에탄올은 신속하게 흡수되어 주로 간에서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acetaldehyde로, 다시 aldehyde dehydrogenase(ALDH)에 의해 acetic acid로 산화되어 energy를 생산하며 일부는 호흡기를 통해 에탄올 자체로 배설된다(4-6).
고들빼기와 이고들빼기의 야생종을 채취해 민간에서는 어떤 용도로 이용했는가? 한편, 국화과에 속하는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Maximowicz 혹은 Ixeris sonchifolia Hance)와 이고들빼기(Youngia denticulata)는 우리나라의 산야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민간에서는 야생종을 채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고들빼기는 민간에서 전초를 건위, 진통, 해열, 소종 및 항암의 목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0,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Lieber CS. 1997.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Clin Chim Acta 257: 59-84. 

  2. Arteel G, Marsano L, Mendez C, Bentley F, McClain C. 2003. Advances in alcoholic liver disease.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7: 625-647. 

  3. Williams R. 2006. Global challenges in liver disease. Hepatology 44: 521-526. 

  4. Cunningham CC, Bailey SM. 2001. Ethanol consumption and liver mitochondria function. Biol Signals Recept 10: 271-282. 

  5. Lieber CS. 2004. Alcoholic fatty liver: its pathogenesis and mechanism of progression to inflammation and fibrosis. Alcohol 34: 9-19. 

  6. Das SK, Vasudevan DM. 2007.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Life Sci 81: 177-187. 

  7. Cederbaum AI. 1991. Microsomal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ir possible role in alcohol hepatotoxicity. Alcohol Alcohol Suppl 1: 291-296. 

  8. Lieber CS. 1992. Medical and Nutritional Complications of Alcoholism: Mechanisms and Management.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p 515-530. 

  9. Lands WEM, Pawlosky RJ, Salem N. 1999. Alcoholism, antioxidant status and essential fatty acids. In Antioxidant Status, Diet, Nutrition and Health. Papas AM,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299-344. 

  10. Mantle D, Preedy VR. 1999. Free radicals as mediators of alcohol toxicity. Adverse Drug React Toxicol Rev 18: 235-252. 

  11. Das SK, Nayak P, Vasudevan DM. 2005. Consequences of ethanol consumption. J Indian Soc Toxicol 1: 1-10. 

  12. Salmela KS, Kessova IG, Tsyrolv IB, Lieber CS. 1998. Respective roles of cytochrome P450 2E1, 1A2, and 3A4 in the hepatic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Alcohol Clin Exp Res 22: 2125-2132. 

  13. Albano E. 2002. Free-radicals and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Ethanol and Liver. Sherman CDIN, Preedy VR, Walson RR, eds. Taylor and Francis, London, England. p 153-190. 

  14. Lu Y, Cederbaum AI. 2008. CYP2E1 and oxidative liver injury by alcohol. Free Radic Biol Med 44: 723-738. 

  15. Bailey SM, Pietsch EC, Cunningham CC. 1999. Ethanol stimulates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t mitochondiral complexes I and III. Free Radic Biol Med 27: 891-900. 

  16. Niemala O, Klajner F, Orrego H, Vidins E, Blendis L, Israel Y. 1987. Antibodies against cetaldehyde-modified protein epitopes in human alcoholics. Hepatology 7: 1210-1214. 

  17. Lin RC, Smith RS, Lumeng L. 1988. Detection of a protein- acetaldehyde adduct in the liver of rats fed alcohol chronically. J Clin Invest 81: 615-619. 

  18. Fang JL, Vaca CE. 1997. Detection of DNA adducts of acetaldehyde in peripheral white blood cells of alcohol abusers. Carcinogenesis 18: 627-632. 

  19. Mello T, Ceni E, Surrenti C, Galli A. 2008. Alcohol induced hepatic fibrosis: role of acetaldehyde. Mol Aspects Med 29: 17-21 

  20. Song JT, Jeong HB, Kim BW, So HS. 1989. Plant large handbook (resources side). Il-Dong Publishing Co., Incheon, Korea. p 334-336. 

  21. Kim JG. 1992. I 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Color edition). Nam San D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Vol 1, p 42-47. 

  22. Choi YH.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Youngia sonchifolia Maxim.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3. Kim MJ, Kim JS, Kang WH, Jeong DM. 2002. Effect on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of Ixeris dentate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139-143. 

  24. Young HS, Choi JS, Lee JH. 1992. Further study on the anti-hyoercholesterolemic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Korean J Pharmacogn 23: 73-76. 

  25. Bae SJ, Kim NH, Ha BJ, Jung BM, Roh SB. 1997. Effects of Godulbaegi leaf extracts on CCl4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37-143. 

  26. Khanal T, Choi JH, Hwang YP, Chung YC, Jeong HG. 2009. Saponins isolated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protect against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Food Chem Toxicol 47: 530-535. 

  27. Beutler HO. 1988. Ethanol.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3rd ed. Bergmeyer HU, ed. VCH Publishers, Cambridge, UK. Vol 4, p 598-606. 

  28.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th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9. Folch J, Less M.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30. Frings CS, Fendley TW, Dunn RT, Queen CA. 1972. Improved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y the sulfophospho-vanillin reaction. Clin Chem 18: 673-674. 

  31. Koivula T, Koivusalo M, Lindros KO. 1975. Liver aldehyde and alcohol dehydogenase activities in rat strains genetically selected for their ethanol preference. Biochem Pharmacol 24: 1807-1811. 

  32. Karmen A. 1955. A note on the spectrophotometric assay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in human blood serum. J Clin Invest 34: 131-133. 

  33.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L.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34. Ryle PR, Chakraborty J, Thomson AD. 1986. The role of the hepatocellular redox state in the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following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Biochem Pharmacol 35: 3159-3164. 

  35. Zeng T, Guo FF, Zhang CL, Zhao S, Dou DD, Gao XC, Xie KQ. 2008. The anti-fatty liver effects of garlic oil on acute ethanol-exposed mice. Chem Biol Interact 176: 234-242. 

  36. Demori I, Voci A, Fugassa E, Burlando B. 2006. Combined effects of high-fat diet and ethanol induce oxidative stress in rat liver. Alcohol 40: 185-191. 

  37. Choi JS, Yoon TJ, Kang KR, Lee KH, Kim WH, Suh YH, Song J, Jung MH. 2006. Glycoprotein isolated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protects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acute and chronic alcohol treatment. Biol Pharm Bull 29: 306-314. 

  38. Baraona E, Lieber CS. 1970. Effect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serum lipoprotein metabolism in the rat. J Clin Invest 49: 769-778. 

  39. Lee JS, Kim NY, Lee KH, Kim GS, Park HJ, Choi JW, Kim SH. 2000. Effects of flower of Pueraria lobata on lipid peroxidation and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c enzymes in alcohol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35-942. 

  40. De Ritis R, Giusti G, Piccinino F, Cacciatore L. 1965. Biochemical laboratory tests in viral hepatitis and other hepatic diseases: evaluation and follow-up. Bull World Health Organ 32: 59-72. 

  41. Caballeria J, Baraona E, Deulofeu R, Hernandez-Munoz R, Rodes J, Lieber CS. 1991. Effects of H2-receptor antagonists on gastr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Dig Dis Sci 36: 1673-1679. 

  42. Lieber CS, Gentry RT, Baraona E. 1994. First pass metabolism of ethanol. Alcohol Alcohol Suppl 2: 163-169. 

  43. Pronko P, Bardina L, Satanovskaya V, Kuzmich A, Zimatkin S. 2002. Effect of chronic alcohol consumption on the ethanol- and acetaldehyde-metabolizing systems in the rat gastrointestinal tract. Alcohol Alcohol 37: 229-235. 

  44. Lee SI, Lee SH. 2008. The effect of ground cherry extract on the activity of hepatic aniline hydroxylase in mice. J Food Sci Nutr 13: 61-65. 

  45. Lieber CS. 2005. Metabolism of alcohol. Clin Liver Dis 9: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