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식 및 한식세계화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6, 2009년, pp.597 - 606  

김태희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외식산업학과) ,  이은주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외식산업학과) ,  이은정 (신흥대학 호텔외식경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Self-administer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86 students, an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리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식과 한식세계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대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한식과 한식세계화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조리전공 대학생의 한식에 대한 관심과 향후 한식세계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식세계화를 위한 전문 인력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궁극에는 한식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여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식과 한식세계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경제의 개방화 및 글로벌화의 현황은? 세계 경제의 개방화 및 글로벌화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금융업 및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그 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농업분야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 흐름에 한국농촌의 경우 전략적 움직임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며, 한 가지 대안이 바로 한식의 세계화라고 할 수 있다(Khoe & Sul 2008).
한식의 세계화는 언제 관심 영역으로 부각되었는가? 한식의 세계화는 2005년을 기점으로 학계와 정부, 업계 등에서 관심 영역으로 부각되었다(Na 2007). 정부는 2006년 전통문화 컨텐츠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이미지를 고양시키고자 한식을 포함한 ‘한(韓)스타일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하였고, 2008년 10월 ‘한식세계화 비전 선포’를 하였으며, 2009년 5월 민·관 합동 한식세계화 추진단을 발족하여 한식세계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식과 한식세계화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고찰한 결과는? 첫째, 한식에 대한 인식은 5.0 만점에 평균 3.25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저장음식 발달함(4.8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맛’이나 ‘색’, ‘영양’ 등 일반적인 속성 보다는 ‘발효저장음식’, ‘다양한 양념 사용’, ‘계절음식’ 등 한식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는 속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식의 각 속성과 ‘세계 5대 음식으로의 진입’과의 영향 관계를 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우수함’, ‘계절음식 발달함’, ‘약식동원 발달함’이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나라보다 우수하다(12순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 한식세계화를 위한 전문 인력이 되기 위해선 한식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고 하겠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선행연구들에서 ‘맛’에 중요도를 두었던 것과는 달리 ‘맛이 좋음’과 ‘우리 입맛에 맞음’이 오히려 부(-)의 영향을 주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한식세계화의 위상’에 대해서는 5.0 만점에 평균 2.55로 낮게 평가하였고, ‘세계 5대 음식화’를 통한 한식세계화의 전망에 대해서는 평균 4.34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은 한식세계화를 위해서는 ‘한식에 관한 행사개최와 홍보’, ‘다양한 메뉴개발로 소비시장 확대’, ‘시대에 맞는 변형 및 의식 변화’ 등을 필요로 하며(평균 4.24 이상), ‘전통한식을 고수’ 하기보다는 ‘창의성 있는 변형’과 ‘한식의 현지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한식의 현지화’, ‘한식의 편의식품화’, ‘한식의 가공식품화’ 등에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대체적으로 전통조리전공 학생, 자격증이 있는 학생, 여학생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한식의 퓨전화’는 일반조리전공 학생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들이 선정한 대표 한식은 김치(24.0%)와 불고기(22.3%)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발효음식과 찌개류의 빈도수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농림부. 2004. 국산농산물 활용증진을 위한 전통외식산업의 발전 및 세계화전략. pp 200-207 

  2. 농림수산식품부. 2008. 세계적 한식 요리 아카데미 육성모델 개발. pp 49-58 

  3. 문화관광부. 2005. 한 브랜드화 정책포럼 자료집. pp 25-38 

  4. 삼성경제연구소. 2003.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pp 18-71 

  5.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19(4):392-398 

  6. Ch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15(3):215-223 

  7. Cho JO. 2005. Study on Traditional Food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m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 51-64 

  8.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2):107-115 

  9. Han GJ, Lim YS, Kim HR. 2007. Resident survey evaluating the degree of value plac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in the Kyunggi and Kangwon areas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124-139 

  10. Han GJ, Lim YS. 2007. Perceptions of residents in the Chungcheong area on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s convenience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2):205-220 

  11. Han JS, Kim JS, Kim SY, Kim MS, Otani K, Minamide T.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4(2):188-194 

  12. Han YO. 2003. The Study on Korea Food Service Industry Status of Advancing into Chinese Market; center on Shim-yang Region of Chin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1):139-155 

  13. Jang DJ, Kim SA, Kim SH, Lee KK,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800-812 

  14. Jang SJ. 2007. Export Promotion Policy of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2(1):1-7 

  15. Jin YH, Cho JO. 2007. The Effect of the Next Genera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opularization of Foodservice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3):1-11 

  16. Joo NM,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6):15-23 

  17. Kang DW. 2003. A Study for Advancing into European Market of Korean Cuisine &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Cuisine Culture and European Cuisine Cultur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3):88-101 

  18. Kang JH, Kim JE. 2009.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to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ure 24(2):155-163 

  19. Khoe KI, Rowe SJ, Lim HC. 2007.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9(2):375-397 

  20. Khoe KI, Sul WS. 2008. A Study on the Entering Strategies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Chinese Market.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25(2):125-152 

  21. Kim JS. 2006.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0(5):499-507 

  22. Kim KH, Cho MS. 2002. A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Traditional Food Development in Jeju. Journal of Culture & Tourism, 4(1):115-138 

  23. Kim SA, Lee MA, Kim EM,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75-85 

  24. Kim SH. 2004. Korean Menu Preference and Buying Behaviors on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7(3):129-148 

  25. Kim SM. 2000.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Kyung book area on the traditional foods (1). Korean J. Soc. Food Sci 16(1):27-35 

  26. Kim TH, Lee EJ, Choi JY. 2007.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Brand chefs-Focused on the Examples of Success in Japan. Korean J. Food Culture 22(6):682-689 

  27. Koh JC. 2000. A Study of the Market Entry Strategies of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into China-focused on the Korean Food and Service. Doctoral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pp 165-178 

  28. Koo NS. 1995.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aejon. Korean J. Dietary Culture, 10(4):357-366 

  29.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30. Lee DH, Khoe KI, Sul WS. 2007. How Knowledge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Influence the Purchasing Demand of Chinese Resi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24(3):19-41 

  31. Lee KA, Jang YA, Kim WK. 1993.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Opin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2)-The evaluation and option for improvement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1(4):183-191 

  32. Lee YJ, Lee SB.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Strategy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Korea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3):117-135 

  33.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283-291 

  34. Lee YJ. 2007. A Study on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Role of Food Coordinator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2(5):544-555 

  35. Lee YJ.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156-164 

  36. Min GH.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of University Student in Jeonla-Buk Area.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2):127-147 

  37. Na JK. 2007.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2):156-179 

  38. Ro SB, Shin AS, Kil JO. 2001. A Study on the Traditional Fast Foo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Food Culture 16(2):81-88 

  39. Seo KH, Lee SB, Sh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15-722 

  40. Sim YJ, Jung BM, Kim ES, Joo NM. 2000.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S. Korean J. Soc. food Sci, 16(3):210-215 

  41. Yang IS, Chang HJ, Shin SY, Chung LN. 2004. Inbound Tourism Product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7(3):87-116 

  42.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3):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