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결과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관리사업의 효과
The Effect of Follow-up Management Service on Health Promotion for Obesity Population Classified in Health Screening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6 no.3, 2009년, pp.75 - 83  

이애경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  이상이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윤태호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 및 산업의학교실) ,  정백근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the follow-up management servic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for obesity persons leads to significant modification of the lifestyle and change of health status. Methods: Of persons who underwent health screening and were classified as obesity after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4년과 2006년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결과자료와 의료이용자료를 이용하여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사후관리사업의 효과를 파악해보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사후관리사업이 이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수준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본 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수행되었다.
  • 하지만 두 사업 간의 적절한 관계 설정을 고민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기 진행되고 있는 각 사업들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그 중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건강검진 사후관리사업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비만으로 판정받은 사람들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사후관리사업의 효과성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이다. 사업 초기 단계이고, 아직까지 개선할 점이 많지만, 사후관리군들은 대조군들에 비하여 생활양식과 건강수준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 이때 2차 상담 후 생활습관이 개선되거나 치료단계로 전환된 사람들에게는 사후관리를 종결하며 나머지 대상자들에 대해서는 1개월 후 3차 상담을 실시함으로써 잘못된 식습관 개선 및 운동을 권장하여 정상 체중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사후관리사업이 이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수준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이 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후관리를 하는 것이 건강검진사업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건강검진이라 함은 질병의 증상이 없는 사람들 중에서 질병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빠르고 분명하게 가려내기 위하여 적절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강검진의 목표는 대부분의 경우에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미 발생한 질병을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조치함으로써 그 질병이 더 진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대상자가 그 질병으로 인해 장애를 얻거나 사망하는 것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이애경 등, 2006). 그러나 비만한 사람들은 비만관련 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하여 장애를 얻거나 사망할 확률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비만으로 판정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후관리를 하는 것은 건강검진사업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검진이란? 일반적으로 건강검진이라 함은 질병의 증상이 없는 사람들 중에서 질병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빠르고 분명하게 가려내기 위하여 적절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강검진의 목표는 대부분의 경우에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미 발생한 질병을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조치함으로써 그 질병이 더 진전하는 것을 차단하여 대상자가 그 질병으로 인해 장애를 얻거나 사망하는 것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이애경 등, 2006).
비만이란?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행동양식 및 정신적인 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위험요인이다(대한일차의료학회 비만연구회, 1996). 이상과 같은 비만의 심각성에 대하여 1997년 비만에 관한 회의가 WHO에서 개최되었고, 이 회의에서 비만은 흡연과 함께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될 것이라고 예견되었다(WHO,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대한일차의료학회 비만연구회. 대한일차의료의를 위한 비만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의학, 1996 

  2. 박근화. 관측자료 연구에서 비용효과의 통계적 추론[박사학위논문]. 서울 :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3. 보건복지부.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수립. 서울 : 보건복지부, 2005 

  4. 이애경, 한준태, 강임옥, 박일수, 강민아. 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의 실태 및 효과 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2006 

  5. 이애경 외 5인. 건강검진 사후관리 서비스의 건강증진 효과 - 건강주의자를 대상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7;24(1):127-138 

  6. 이원철 외 7인. 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 향상 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 

  7. 전병률. 우리나라 비만관리종합대책. 제 1회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소아 영양 심포지엄 자료집. 세브란스병원. 2007년 1월 

  8. 정백근 외 6인.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예방의학회지 2002;35(1):1-12 

  9. Chan JM, Rimm EB,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Obesity, fat distribution, and weight gain as risk factors for clinical diabetes in men. Diabetes Care. 1994 Sep;17(9):961-969 

  10. MacMahon S외 9인. Blood pressure,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Part 1, Prolong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corrected for the regression dilution bias. Lancet. 1990 Mar 31;335(8692):765-74 

  11. Mansson R, Joffe M, Sun W, Hennessy S. On the estimation and use of propensity scores in case-control and case-cohort studi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7 Aug 1;166(3):332-9 

  12. Rissanen A외 5인. Risk of disability and mortality due to overweight in a Finnish population. BMJ 1990 Oct 13;301(6756):835-837 

  13. Rosenbaum, P.R., Rubin, D.B..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1983;70:41-50 

  14. Schapira DV외 5인. Visceral obesity and breast cancer risk. Cancer. 1994 Jul 15;74(2):632-9 

  15. Shaper AG.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Chardwich DJ, Cardew GC, editors.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obesity. Chishester, Wiley;1996 

  16. WHO. Obesity-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WHO Geneva,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