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nput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HPS), and to evaluate HPS based on WHO's guidelines through school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schools' need among six areas of HPS. Methods: A stratified and random cluster sampling design was used to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교육에 있어 전통적 학교보건사업은 행동변화를 위한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두며, 일시적인 특강의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메시지 전달방식도 경고를 하거나 두려움을 주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증진학교에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그들이 원하는 건강함을 얻기 위해 어떻게 무엇을 해야 할지를 자율적으로 의사결정 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건강지식 뿐만 아니라 기술과 태도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건강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교과과정에 통합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학생이 주체가 되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권장하며, 건강에 유익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강조한다(Gray 등, 2006).
  • 이 연구는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따른 평가를 통하여 학교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학교 평가의 차이를 분석하여 우선 중재가 필요한 학교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건강증진학교 사업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 등의 사업 기획뿐만 아니라 학교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자 수행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 건강증진학교 구축을 위한 제반 투입 현황과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근거한 평가 그리고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건강증진학교 사업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 등의 사업 기획과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 수행되었다.
  • 교육청의 도움을 받아 각 조사 대상학교에 설문지와 간단한 답례품을 우송하였다. 해당 교사는 개별적으로 설문을 작성한 후에 반송봉투에 넣어 봉하여 우송하도록 하여 교사 개인의 설문내용에 대한 비밀을 보호하고, 설문응답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총 76개교 중 59개교가 참여하여 참여율 7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 건강증진학교의 개념은 어떠한 개념이 적용된 것인가? WHO 건강증진학교(Health Promoting School)의 개념은 Ottawa 헌장의 생활터(setting)별 건강증진의 개념이 적용된 것이며, 지난 30년 동안 전 세계로 퍼져 나가 많은 학교가 건강증진학교 개념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다(Leger 2004).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터(Setting)별 접근은 개인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건강 기술과 태도 발달을 도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건강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여 건강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안녕을 증진시키는 것이다(Mukoma와 Flisher, 2004; Gray 등, 2006).
건강증진학교는 무엇의 구축을 추구하는가?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터(Setting)별 접근은 개인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건강 기술과 태도 발달을 도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도록 하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건강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여 건강관련 문제를 예방하고 안녕을 증진시키는 것이다(Mukoma와 Flisher, 2004; Gray 등, 2006). 따라서 건강증진학교는 구성원들의 건강증진 역량강화와 건강한 학교 환경 구성을 통한 건강한 학교 생활터 구축을 추구한다(WHO, 1998).
건강증진학교의 교사는 학생들의 무엇을 평가하는가? 따라서 평가부분에서도 차이가 있다. 전통적인 학교보건사업이 학생들의 행위 변화에 대한 평가를 했다면, 건강증진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사고, 약속, 비전을 포함하는 행동능력을 평가한다(Gray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교보건급식 기본방향.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김영임. 학교건강증진 지표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8;11(2):189-201 

  3. 김혜경, 고승덕. 우리나라 학교보건교육의 현황과 과제.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7;24(4):219-230 

  4. 김혜련. 아동, 청소년 건강증진사업의 과제와 발전방향: 영양, 신체활동 증진 및 비만예방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008;141:20-21 

  5. 박혜숙, 이훈재, 김은미, 공경애 등. 학교 건강증진사업 평가 및 지원체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건강증진사업단, 2006 

  6. 보건복지가족부.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제4차 조사 중간 결과 발표 및 청소년 건강정책 포럼. 서울: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가족부, 2008 

  7. 손애리, 김보람, 김석현, 신영전, 안동현, 최보율. WHO 건강증진학교 평가개념을 적용한 사정 및 평가.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08;9(1):1-15 

  8. 윤순녕, 김영임, 최정명 등. 초, 중, 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일반교사의 보건교육 영영별 요구도와 보건교육.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5;18(1):1-14 

  9. 이은영, 최보율, 신영전, 김석현, 손애리, 안동현. 건강증진학교 수행 및 효과평가.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9;26(2):89-103 

  10. 이정렬, 정영숙, 한주희, 이춘옥, 권인숙. 초등학교의 학교보건정책 지침개발 및 수행정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3):457-467 

  11. 장창곡. 건강한 학교 만들기 모형 개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1;14(1):39-46 

  12. Gray GI, Young I, Barneko V. Developing a health-promoting school, International Planning Committee of the European Network of Health Promoting School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6 

  13. Inchley J, Muldoon J, Currie C. Becoming a health promoting school: evaluating the proces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in Scot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7;22(1):65-71 

  14. Leger LS. What's the place of schools in promoting health? Are we too optimistic?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4;19(4):405-408 

  15. Mukoma W, Flisher AJ. Evaluation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review of nine stud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4;19(3):357-368 

  16. Stewart-Brown S. What is the evidence on school health promotion in improving health or preventing disease and specifically,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s approach?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6 

  17. WHO. School health promotion-Series 5: Regional guidelines: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framework for action. Manila: WHO, 1996 

  18. WHO. Local action: Creating health promoting school. WHO's inforamtion series on school health, WHO, UNESCO, EDC,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