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건강증진학교 수행 현황과 관련 요인: WHO 건강증진학교 지표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WHO Guidelin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1, 2012년, pp.109 - 120  

이은영 (한양대학교 지역사회보건연구소) ,  박경옥 (삼성전자 인재개발센터 첨단기술연수소) ,  신영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HP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HPS. Methods: A total of 703 teachers (male 32.2%, females 6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근거하여 응답자의 특성을 보정한 후,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수행 현황을 평가하고 학교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학교 수행에 차이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성공적인 건강증진학교 기획, 수행 및 평가를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자 한다.
  • 각 학교에 반송봉투와 함께 설문지를 우송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에게는 서면을 통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 만 사용될 것이며 익명성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자발적인 설문참여에 동의 할 때 설문을 시작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문을 작성한 교사는 개별적으로 반송봉투에 넣어 봉하여 보건교사에게 제출하도록 하여 교사 개인의 설문내용에 대한 비밀을 보호하고, 설문응답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단면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 활동의 영향 요인 탐구를 위해 고려한 학교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건강증진학교 수행과 관련된 학교특성으로 학교 위치, 유형, 학생 수, 학교 주변 환경, 보건교사 유무 등이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었다. 도시지역 학생들보다 농촌지역 학생들이 건강 유해 행동을 더 빈번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Kim, 2008; Park, 2009), 도시학교와 농촌학교의 건강증진학교 수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Kim, 1998; Lee et al, 2009).
WHO 건강증진학교의 기본 가치는? 1980년대 오타와 헌장에 근거하여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건강증진학교(Health Promoting Schools) 개념을 통한 건강한 학교 생활터 구축사업을 시작하였다(WHO, 1996). WHO 건강증진학교의 기본 가치는 형평, 참여, 건강 행동 능력 개발, 학교의 사회·물리적 환경 향상 그리고 학교 발전의 일환으로서 건강증진정책의 통합에 있다(Buijs & Bowker, 2010). 따라서 전체 학교 접근(whole school approach)인 건강증진학교 수행은 교과과정, 학교 환경 및 지역사회 등의 다면적 중재를 통하여 학생들의 건강 및 건강관련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럽 전역의 총 몇 개국이 건강증진학교 개념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가 유럽에서는 1992년부터 건강증진학교 유럽네트워크(European Network for Health Promoting Schools)를 중심으로 건강증진학교 접근이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명칭을 개정하여 Schools for Health in Europe (SHE) Network을 중심으로 유럽 전역의 총 43개국에서 건강증진학교 개념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McNamara & Moynihan, 2010). 아시아에서는 2000년 싱가포르와 2001년 홍콩에서 WHO 건강증진학교 개념에 근거하여 건강한 학교 시상식을 도입하였고 대만에서는 2003년에 보건국과 교육부가 협력하여 WHO 건강증진학교 6개 구성영역을 반영한 사업을 진행하였다(Chen et al, 2009; Whitman & Aldinger,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B.C., & Joung, H.J. (2007). Decomposition of health inequlity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 63-75. 

  2. Barber, B. K., & Olsen, J. A. (2004). Assessing the transitions to middle and high school.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1), 3-30. 

  3. Buijs, G., & Bowker, S. (2010). Working with schools. In E. Waters, B. Swinburn, J. Seidell, & R. Uauy (Eds.),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pp. 263-268). Singapore: Blackwell Publishing. 

  4. Byun, S., & Kim, K. (2011).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schools: Illusion or reali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1(1), 77-109. 

  5. Chen, Y., Yeh, C., Lai, Y., Shyu, M., Huang, K., & Chiou, H. (2009). Significant effects of implementation of health-promoting schools on school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 in Taiwan. Public Health Nutrition, 13(4), 579-588. 

  6. Cho, B. J. (2007). A study on the types of school accidents and first aid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local provi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 45-52. 

  7. Cho, J. S., Kim, Y. B., Park, S. W., Jang, C. G., Na, C. N., Moon, S. Y., & Park, J. O. (2009). Development of a model for Korean Health Promoting School.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8. Gittelsohn, J., Merkle, S., Story, M., Stone, E.J., Steckler, A., Noel, J., Davis, S., Martin, C., & Ethelbah, B. (2003). School climate and implementation of the Pathways study. Preventive Medicine, 37, S97-106. 

  9. Hur, S., & Kang, H. (2003). Searching for optimum school size. The Journal of Education, 22, 133-158. 

  10. Inman, D. D., van Bakergem, K. M., LaRosa, A. C., & Garr, D.R. (2011).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schools and communiti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0(2), 207-219. 

  11. Kim Y. I. (1998). A study of the index development and measurement for school health promoting behavi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1(2), 189-201. 

  12. Kim, C. J. (2009, September 15). Health teacher shortage in rural school. Yonhapnews. Retrieved from http://app.yonhapnews.co.kr/ 

  13. Kim, I. (2009).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4(2), 234-243. 

  14. Kim, Y. (2008). The present status and determinants of private secondary schools' educational competitivenes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8(4), 75-113. 

  15.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10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tatistics. Cheongwon: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6. Lee, A., Cheng, F. K., & St Leger, L. (2005). Evaluating health-promoting schools in Hong Kong: development of a framework.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2), 177-186. 

  17. Lee, C. Y., Chung, Y. S., Han, J. H., Lee, C. O., & Kwon, I. S. (2003).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promotion policy guidelin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3), 457-467. 

  18. Lee, E. Y., Choi, B. Y., Sohn, A. R., & Ahn, D. H. (2009). Evaluation of health promoting school by schoo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85-96. 

  19. Leger, L., Kolbe, L., Lee, A., McCall, D., & Young, I. (2007). School health promotion. In D. McQueen, & C. Jones (Eds.), Global perspectives on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pp. 107-124). New York, NY: Springer. 

  20. Ma, S. J., & Choi, K. H. (2010). Factors to vitalize rural schools.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3(1), 115-139. 

  21. McNamara, P. M., & Moynihan, S. (2010). Schools for health in Europe operating grant external evaluation report. Ireland: University of Limerick. 

  22. Min, B. K., & Hong, H. J. (2011). A study on the optimal size of school and class for effective curricular implement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2), 1-24.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trategies for students' health promotion of students. Seoul,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4. Mukoma, W., & Flisher, A. (2004). Evaluation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review of nine stud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3), 357-368. 

  25. Park, S. (2009).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4(2), 202-213. 

  26. Sohn, A. R., Kim B. R., Kim, S. H., Shim, Y. J., Ahn, D. H., & Choi, B. Y. (2008). Evaluating health promoting schools based on WHO standards in Yangpyung-gu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9(1), 1-15. 

  27. Stewart-Brown, S. (2006). What is the evidence on school health promotion in improving health or preventing disease and specifically,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s approach? Copenhagen, Denmark: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8. Whitman, C. V., & Aldinger, C. E. (Eds.) (2009). Case studies in global school health promo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New York, NY: Springer. 

  29. WHO (1996). Regional guidelines: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 framework for action (School health promotion Series 5). Manila, the Philippines: WHO. 

  30. Yun, S., Kim, Y., Choi, J., Cho, H., Kim, Y., Park, Y.,... & Ha, Y. (2005). Health education need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8(1),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