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종쌀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Methanolic Extract from Geumjong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6, 2009년, pp.807 - 811  

공수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화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대중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정되지 않은 현미상태의 금종쌀(Geumjong brown rice)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품종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백미(Chuchung white rice) 및 현미(Chuchung brown rice)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와 $\gamma$-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백미 및 현미, 금종쌀은 각각 1.5, 2.3, 그리고 3.5%의 추출수율을 나타냈다. 실험결과, 금종쌀은 높은 항산화 활성(69.77 mg TEAC/100 g)과 polyphenol함량(69.1 mg gallic acid equivalents/100 g)을 나타냈다. 반면에 환원력에 있어서는 현미(Chuchung brown rice)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eumjong brown rice were measured to evaluate functional properties and to compare with white rice and Chuchung brown rice. The content of polyphenolics, flavonoids and $\gamma$-oryzanol were measured by spectrophome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품종인 금종쌀의 현미상태에서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을 분석하고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금종쌀의 이용 증진,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정되지 않은 현미상태의 금종쌀(Geumjong brown rice)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품종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백미(Chuchung white rice) 및 현미(Chuchung brown rice)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품종인 금종쌀의 현미상태에서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을 분석하고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금종쌀의 이용 증진,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와 함께 백미(Chuchung white rice) 및 현미(Chuchung brown rice)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of duplicate determinations expressed as mg per 100 g of samp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류는 무엇으로 크게 분리할 수 있는가? 이에 부응하여 거대배아미 및 유색미와 같은 기능성이 강화된 쌀의 품종이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곡류는 배아(embryo), 배유(endosperm), 과피층(pericarb), 왕겨층 등으로 크게 분리할 수 있고 배아에는 지질, 단백질, 비타민이 풍부하지만 도정이나 가공과정에서 대부분이 제거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도정되지 않은 현미상태의 쌀의 섭취는 심혈관계 질환, 암과 같은 대사 장애에 대항하여 보호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2).
쌀의 외피에는 어떤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들은 in vitro 상태에서 상당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고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돌연변이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3,4). 쌀의 외피는 polyphenolics, flavonoids, vitamins, γ-oryzanol, phytic acid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은 체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5). 특히 이러한 항산화 성분들은 singlet oxygen, superoxide anion radical, hydor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를 포함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고 보고되어 있다(6-8).
본 연구에서 금종쌀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이와 함께 백미(Chuchung white rice) 및 현미(Chuchung brown rice)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와 γ-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백미 및 현미, 금종쌀은 각각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JW. 2003. Whole grains protect against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Proc Nutr Soc 62: 135-142 

  2. Chatenoud L, Tavani A, Vecchia CL, Jacobs DR Jr, Negri FL, Franceschi S. 1998. Whole grain food intake and cancer risk. Int J Cancer 77: 24-28 

  3. Kahlon TS, Saunders RM, Sayre RN, Chow FI, Chiu MM, Betschart AA. 1992.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rice bran and rice bran oil frac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hamsters. Cereal Chem 69: 485-489 

  4. Nam SH, Choi SP, Kang MY. 2005.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in chemical and cell assays. J Agric Food Chem 53: 816-822 

  5. Chotimarkorn C, Benjakul S, Silalai N. 2008. Antioxidant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five long grained rice bran extracts from commercial available cultivars in Thailend. Food Chem 111: 636-641 

  6. Slavin JL, Martini MC, Jacobs DR, Marqart L. 1999.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7.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8. Hu C, Zawistowski J, Ling W, Kitts DD. 2003.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pigmented fraction suppresses both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in chemical and biological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51: 5271-5277 

  9.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1.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technol 15: 183-188 

  12.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 Chokmoh S, Krisnangkura K. 2008.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13.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5.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6.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17. Seo SJ, Choi YC, Lee SM, Kong 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18. Zhou Z, Robards K, Helliwell S, Blanchard C. 2004. The distribution of phenolic acids in rice. Food Chem 87: 401- 406 

  19. Zhimin X, Samuel GJ. 1999.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gamma$ -oryzanol in rice bran oil. J Agric Food Chem 47: 2724-2728 

  20. Seo SJ, Choi YC, Lee SM, Kim KJ, Son JR, Lee J. 2007. Determination of selected antioxidant compounds in specialty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99-502 

  21. Lee SM, Lee HB, Lee J. 2006.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in some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48-253 

  22. Shimade K, Fujikawa K, Yahara K, Nakamura T. 1992. Antioxidant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