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2, 2008년, pp.129 - 135  

서선정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선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공수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 시료 중 흑미polyphenol, vitamin E, phytic acid, anthocyanin 함량은 각각 444.38, 0.79, 130.92, 146.90 mg/100 g으로 vitamin E를 제외하고 다른 특수미에 비해 가장 높은 항산화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흑미 methanol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697.27 AEAC), 환원력(2.32 $A_{700}$), 지질과산화 억제력(84.18%), 금속이온 제거능(38.47%), xatnhine oxidase 억제활성(66.52%)은 금속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수미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분석 결과 polyphenol 함량이 높을수록 총 항산화력($R^2=9921$), 환원력($R^2=9856$)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R^2=8032$)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와 더불어 적색미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 쌀을 인식시켜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specialty rice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tents in the extracts.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된다(28). 따라서 본 연구는 곡류에 그 함량이 높으며 전이 금속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진 phytic acid를 분석함으로써 금속이온 제거능과의 높은 상관성을 기대하였다. 그러나 낮은 상관계수로 인하여 특수미에는 phytic acid 이외의 물질들이 금속이온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물질들에 대한 보다 정밀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하겠다.
  • 그 외의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극성이 증가할수록 유용 성분의 추출률이 높아지며 물 추출물보다는 aqueous methanol과 ethanol을 사용하였을 경우 추출물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5,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ethanol을 추출용매로 택하여 다양한 활성 성분을 추출하고 식물에 존재하는 산화 혹은 가수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특수미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간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 시료 중 흑미의 polyphenol, vitamin E, phytic acid, anthocyanin 함량은 각각 444.
  • 본 연구에서는 적색미, 거대배아미, 흑미, 녹미, 고아미, 현미, 백미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 간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nd means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은? 쌀에는 식이섬유, phytic acid, ferulic acid, polyphenolics, vitamins, γ-oryzanol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이 생체 내 우수한 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이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증명되었다(7). 쌀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은 저분자 항산화 물질로 caffeic, ferulic, ρ-coumaric, sinapic acid 등이 대표적이다(8). 비타민 E는 식물로부터 합성되어지는 천연 항산화제로 쌀의 배아 및 미강층에 상당히 함유되어 있다.
거대 배아미의 특징은? 유색미는 DNA 손상억제, 발암억제 및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탄닌계 및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상당량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거대배아미는 배아의 크기가 큰 만큼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그리고 필수지방산이 종실의 어느 부분보다도 다량 집적되어 있어 항산화 성분 등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일반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다(4). 고아미는 난소화성 다당류의 함량이 일반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육성 품종으로 in vivo에서 체중 및 중성지방과 혈당감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6).
쌀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쌀에는 식이섬유, phytic acid, ferulic acid, polyphenolics, vitamins, γ-oryzanol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이 생체 내 우수한 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이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증명되었다(7). 쌀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은 저분자 항산화 물질로 caffeic, ferulic, ρ-coumaric, sinapic acid 등이 대표적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sdribano-Bailon MT, Stos-Buelga C, Rivas-Gonzalo JC. 2004. Anthocyanins in cereals. J Chromatogr A 1054:129-141 

  2. Hu C, Zawistowski J, Ling W, Kitts DD. 2003.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pigmented fraction suppresses both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in chemical and biological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51:5271-5277 

  3. Morimitsu Y, Kubota K, Tashiro T, Kamiya T, Osawa T. 2002. Inhibitory effect of anthocyanins and colored rice on diabetic cataract formation in the rat lenses. Int Cong Ser 1245: 503-508 

  4. Kang M, Lee Y, Koh HJ, Nam SH.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giant embryonic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61-66 

  5. Lee SH, Park HJ, Cho SY, Jung IK, Cho YS, Kin TY, Hwang HG, Lee YS. 2004. Supplementary effect of the high dietary fiber rice on blood glucose in diabetic KK mice. Korean J Nutr 37: 75-80 

  6. Lee SH, Park HJ, Cho SY, Han GJ, Chun HK, Hwang HG, Choe HC. 2004. Supplementary effect of the high dietaryfiber rice on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KK mice. Korean J Nutr 37: 81-87 

  7. Slavin JL, Martini MC, Jacobs DR, Marquart L. 1999.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8. Baublis AJ, Lu C, Clydesdale FM, Decker EA. 2000. Potential of wheat-based breakfast cereals as a source of dietary antioxidants. J Am Coll Nutr 19: 308S-311S 

  9. Qureshi AA, Mo H, Packer L, Peterson DM.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tocotrienols from rice bran with hypocholesterolemic,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48: 3130-3140 

  10. Hong W, Guohua C, Ronald LP.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45:304-309 

  11. Chun HS, Kim IH, Kim YJ, Kim KH. 1994.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88-194 

  12. Shon HY, Kwon CS, Son KH, Kwon GS, Kwon YS, Ryu HY, Kum EJ. 2005.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brands of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93-598 

  13. Choi SP, Kang MY, Nam SH. 2004.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22-227 

  14. Abdel-Aal el-SM, Young JC, Rabalski I. 2006. Anthocyanin composition in black, blue, purple, and red cereal grains. J Agric Food Chem 54: 4696-4704 

  15.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6. Lee SM, Lee HB, Lee J. 2006.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in some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48-253 

  17. Haug W, Lantzsch H. 1983. Sensitive methods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J Sci Food Agric 34: 1423-1426 

  18. Tuker N, Erdogu F. 2006. Effects of pH and temperature of extraction medium on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of anthocyanin pigments of black carrot (Daucus carota var. L.). J Food Eng 76: 579-583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2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1. Kikuzak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 1407-1410 

  22. Yena GC, Duhb PD, Tsaia 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23. Duke EJ, Joyce PP, Ryan JP. 1973. Characterization of alternative molecular forms of xanthine oxidase in the mouse. Biochem J 131: 187-18 

  24. Zielin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cereal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25. Duh PD, Yeh DB, Yen GC. 1992.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component from peanut hull. JAOCS 69: 818-819 

  26. Balasinska B, Troszynska A. 1998.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paradoxa) cake extract measured in vitro by liposome model and murine L1210 cells. J Agric Food Chem 46: 3558-3563 

  27. Choi Y, Ju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28. Graf E, Eaton JW. 1990. Anitoxidant functions of phytic acid. Free Rad Biol Med 8: 61-69 

  29. Seo SJ, Choi Y, Lee SM, Lee J. 2007. Determination of selected antioxidant compounds in specialty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99-502 

  30. Shimade K, Fujikawa K, Yahara K, Nakamura T. 1992 Antioxidant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31. Pacher P, Nivorozhkin A, Szabo C. 2006. Therapeutic effects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s: Renaissance half a century after the discovery of allopurinol. Pharmacol Rev 58: 87-114 

  32. An BJ. 1997. Inhibition effect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green tea on the xanthine oxidase. Korean J Biotechnol Bioeng 12: 582-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