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미선나무 아개체군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제언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posal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3 no.2, 2009년, pp.116 - 126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  황인천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최현우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3개 지역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미선나무아개체군을 대상으로 생태적 특성 분석과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변산반도국립공원에 위치한 미선나무아개체군 중 부안댐 제방하부 지역과 상서면 청림리 산록에 자생군락을 천연기념물 제370호로 지정한 반면, 가마소지역의 미선나무아개체군은 이식한 집단이다. 미선나무 아개체군 중 가마소 아개체군의 식생은 감나무, 오동나무 및 산뽕나무가 교목상이나, 부안댐 하부의 아개체군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미선나무 자생지인 청림리 아개체군은 미선나무를 제외한 관목이상의 목본수종을 모두 제거한 상태였다. 미선나무 아개체군에서 확인한 식물종은 65과 143속 164종 17변종 1품종 등 총 182분류군이며, 가마소 지역, 부안댐 제방하부지역 및 청림리 지역은 각각 75종, 102종 및 89종이다. 미선나무 아개체군 동향은 가마소지역과 부안댐 하부 자생지에서 맹아의 수가 $1{\sim}2$개인 개체가 87%이상이고, 나머지는 3개였으며, 총 개체 수는 각 766개체와 59개체였다. 반면, 청림리의 경우 맹아의 수가 $1{\sim}2$개인 개체가 74.8%, 3개는 16% 그리고 $4{\sim}11$개가 9.2%로 총 838개체를 확인하였다. 교목을 인위적으로 제거한 미선나무 자생지에는 흰명아주, 돌소루쟁이, 미국자리공, 나팔꽃, 배풍등, 망초 및 개망초 등 귀화식물이 침입하였으며, 미선나무 어린 개체보다 성장이 빨라 미선나무를 피압한 상태이다. 미선나무의 자생지 보전을 위한 우선순위로 미선나무 단일종이나 수림 하에 분포하는 원 자생지의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는 것이 서식지 관리에 바람직한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cused a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management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Among three subpopulations of the target species in the studied area, Gamaso region are known as translocation site due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방형구를 설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체군 동태를 알기 위해 보호구역 내의 모든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기존 자료와 비교하였다. 방형구는 조사지역 내에서 무작위로 설정하였고, Site 1은 3개, Site 2은 4개, Site 3은 1개의 방형구를 설치한 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 미선나무 아개체군이 분포하는 보호구역 내에 10x10m 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개체군 동태를 알기 위해 보호구역 내의 모든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기존 자료와 비교하였다.
  • 개체군 동태를 알기 위해 보호구역 내의 모든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기존 자료와 비교하였다. 방형구는 조사지역 내에서 무작위로 설정하였고, Site 1은 3개, Site 2은 4개, Site 3은 1개의 방형구를 설치한 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위치한 곳이다. Site 1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소재한 부안호 상류의 기도원에서 청량리 석불좌상 가는 등산로 주변에 미선나무를 이식한 가마소 지역, Site 2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군막동에 소재한 부안호 하부 한국수자원공사 부안댐 사업소 인근 산록 하부자생지, Site 3은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의 도로변 자생지 등 3개의 미선나무 아개체군을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1). 이식지역은 백천계곡 하천 주변부에 자생하던 미선나무 아개체군이 부안댐 건설로 인해 수몰될 위기에 처하자 현재가 마소 지역 휴경지에 이식하였다(Park, 1998; Park et al, 2005).
  • Site 3은 천연기념물 370호로 지정된 미선나무 자생지로서 맹아수가 1 ~2개인 개체는 74.8%, 3개인 개체는 16.0%, 그리고 4~ 11개인 개체는 9.2%였으며, 총 838개체를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중에서 가장 많은 수가 확인되었으며 이 지역 천연기념물 표지판에는 약 1,000여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전수 조사한 결과는 838개체를 확인하여 많은 개체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군막동에 소재한 부안댐제방 하부의 자생지(Site 2)의 미선나무 아개체군에서 굴참나무가 주로 교목층으로 분포하는 산림 내에 굴피나무, 소나무 등이 혼생하고 있으나 이 교목층 하부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미선나무는 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확인하였다. 교목층의 식피율은 70-95% 범위였으며, 관목층은 15~ 20% 가량이었다.
  • 조사는 천연기념물 370호로 지정된 변산반도 미선나무아개체군이 위치한 곳이다. Site 1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소재한 부안호 상류의 기도원에서 청량리 석불좌상 가는 등산로 주변에 미선나무를 이식한 가마소 지역, Site 2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군막동에 소재한 부안호 하부 한국수자원공사 부안댐 사업소 인근 산록 하부자생지, Site 3은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의 도로변 자생지 등 3개의 미선나무 아개체군을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erconway, Lord.(1936) Abeliophyllum distichum. Preliminary commendation. Journal of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61: 1xxxiii 

  2. Aberconway, Lord.(1937) Abeliophyllum distichum. Award of Merit. Journal of he Royal Horicultural Society 62: 173 & 1xvii 

  3. Ahn, S.C., Y.J. Chung and S.T. Lee(1995) Palynotaxonomic studi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its relative taxa(Oleaceae). Sung Kyun Kwan Univ, 46(2): 27-38 

  4. Amsler, M.(1947) Abeliophyllum distichum. Journal of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72: 110 

  5. Bak, E.J.(1981) A study on the inftrafamilial position of Abeliophyllu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34pp 

  6. Chang, C.S., H. Kim and Y.S. Kim(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1(2): 107-142 

  7. Clark, J. S.(1944) Abeliophyllum distichum. Gardeners Chronicle. Ser. 3. CXV: 245 

  8. Cotton, A. D.(1948) Abeliophyllum distichum. Curtis's Botanical Magazine 165: 10 

  9. Coutts, J(l944) Abeliophyllum distichum. First Certiificate. Journal of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69: xxx 

  10. Hong, S.P. and M.J. Han(2002) The floral dimorphism in the nre endemic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Oleaceae). In. http://www.urfischer.de/journals /flora. Flora 197(5): 317-325 

  11. IUCN SSC Re-introduction Specialist Group(1995) IUCN guidelines for re-introductions. 30pp 

  12. Kim, Y.S.(1998)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populations in Korea.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17(1): 67-81 

  13. Kim, Y. S., Y. M. Lee, S. H. Chun, J. I. leon and S. H. Kim(1995) Necessity of recovery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 Bulleti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rboretum 15: 43-66 

  14. Kim, Y. S. and M. Maunder(1995) Provisional recovery pla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PDU, Royal Botanic Gardens, Kew. (unpublished) 

  15. Kim Y. S. and M. Maunder(1998) Plant in peril: Abeliophyllum distichum. Curtis's Botanical Magazine 15(2): 141-146 

  16. Koh, D.S., B.S. Seo and C.H. Lee(1989a) Studies on rooting of cuttings of Abeliophyllum distichu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 127-133 

  17. Koh, D.S., B.S. Seo and C.H. Lee(1989b) Studies on the in vitro induction of callus from anther culture of Abeliophyllum distichu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1: 153-159 

  18. Lee, T.B.(1976) New for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7(1,2): 21-22 

  19. Moon, H.K., G.Y. Suk., YJ. Kwon and S.H. Son(1999) Micropropagation of a rare species, Abeliophyllum dis tic hum Nakai via axillary bud culture.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26(2): 133-136 

  20. Park, C.M., K.H. Kim and B.S. Seo(2005) Analysis on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By un san research forests ofChonbuk National University. J. Res. For. Chonbuk Nat'l Univ, 1: 1-16 

  21. Park, C.M.(l998) Investigation on resources for ecoturism around Pyunsanbando National Parke I) -Based on national resources-. The research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Garden Society 16(1): 1-14 

  22. You, J.H., H.W. Cho, S.G. lung and C.H. Lee(2004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210-220 

  23. You, J.H., H.W. Cho, S.G. Jung and C.H. Lee(2004b) Vegetation structure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 (4): 382-391 

  24. Yu, S.O. and J.H. Bae(1993) Effects of cutting media, ages, and NAA, IBA on the rooting of Abliophyllum distichum Nakai. Wonkwang University 12: 361-368 

  2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Korea(2008) http://www.ch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