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진단 연구
A Clinical Study on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of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with DSOM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2 no.2, 2009년, pp.189 - 208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배경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oriental medicine, doctors have mainly made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patients have. We think patients with amenorrhea or delayed menstrual period to have symptoms that are classified into one diff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Q란 무엇인가? 월경 출혈량과 월경 기간으로 월경량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월경 상태 기초 조사지의 2-1에서 2-6까지 월경량을 묻는 문항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월경량 평가 문항을 선택한 후 이들 문항의 평균값으로 월경량을 나타낸 것이다.
무월경이란 무엇인가? 무월경은 어떤 상황에서건 월경의 체외배출이 결여된 현상을 말하는데1) 한의학에서는 “經閉”, “女子不月”, “月事不來”, “經水斷絶”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2). 양방적으로는 2차 성징 없이 14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나, 2차 성징의 발현은 있으나 16세까지 초경이 없는 경우를 원발성 무월경이라 하고, 40세 이하의 기왕에 월경을 하던 여성이 6개월 이상 월경이 없거나, 3주기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속발성 무월경이라고 한다3).
희발월경이란 무엇인가? 희발월경은 월경주기가 40일 혹은 35일 이상 6개월 이내로 가변적인 경우를 말하고, 한의학에서는 “經遲”, “月經落後”, “經水後期”, “經行後期” 등의 개념에 해당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진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228. 

  2. 한의부인과학 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서울: 정담. 2002;119-121, 140. 

  3.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제3판. 서울: 칼빈서적. 1997; 152, 153, 475. 

  4. 이두룡, 최종무.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원인 분석과 치료. 계명의대논문집. 1995:14(1):74-82. 

  5.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사. 1978;187, 548. 

  6. 李?. 原本醫學入門(上). 서울: 남산당. 1988;466-467. 

  7. 辛珉叔,李京燮,宋炳基. 無月經의 針灸 治療傾向에 關한 文獻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2):55-66. 

  8. 허자경 등. HRV(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을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자율신경기 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01-110. 

  9. 이인선, 김미진, 김규곤.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252. 

  10. 이인선, 김규곤. 월경통 환자 통증 강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38-159. 

  11. 김규곤. 이산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방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99;1(1):15-27. 

  12. 김규곤, 강창완. 한의학에서의 변증 점수개발에 대한 가중주성분분석의 응용. 응용통계 연구. 1999;12(1):17-28. 

  13. 전란희 등. 한방 부인과 자료에서의 수량화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99;1(1):53-63. 

  14. 전난희, 이인선. 韓方 婦人科의 辨證類型에 關한 調査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231-252. 

  15. 배경미 등. 한방부인과 변증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11-127. 

  16.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病機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401-407. 

  17.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01-712. 

  18.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 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 (II).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1):160-166. 

  19.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의 병기가중치 부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19-135. 

  20. 김미진 등. 한방진단설문지 DSOM(r) S.1.1의 신뢰도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46-1153. 

  21. DSOM.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c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이인선, 김규곤). http://www.dsom.or.kr. 

  22. 권혁 등. 설문지 분석법에 의한 肝心 脾肺腎 병의 표준 증상 및 남녀 차이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4):1057-1062. 

  23. 동의보감국역위원회. 對譯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1999;360, 362-364, 371,1589. 

  24. 陳自明. 婦人 大全良方. 太原:山西科學技術出版社. 2006;13-14. 

  25. 朱震亨. 丹溪心法. 서울: 대성문화사.1993;717. 

  26. 張仲景. 金?要略.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1994;618. 

  27. 양기상 등.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 한국한의학연구소. 1996;18, 22, 28, 32, 34, 105. 

  28. 張豊强. 中醫名方應用大全(現代方證學).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2; 

  29. 唐興歸,廖泉淸. 中醫方劑問題. 湖南: 湖南科技出版社. 1981;216-217. 

  30. 巴坤烋. 方劑學問難. 安徵:安徵科技出版社. 1986;139-141. 

  31. 朱桂茹,李世增. 古今名方100對的臨床應用. 北京:中醫古出版社. 1995;161-163. 

  32. 동의보감 국역위원회.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92;147-8, 670, 1588. 

  33. 朴義洙. 論證實驗議決. 서울: 일문사.1979;75, 77, 83-85. 

  34. 신재용. 방약합편. 서울: 성보사. 1988;273. 

  35. 李京燮,宋炳基. 淸胞逐瘀湯 投與患者의 臨床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87;1(1):33-37. 

  36. 송일병 등.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1997;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