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3개 원전 주변 산호말류의 시.공간적 분포양식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Coralline Algae around Three Nuclear Power Plants on the 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1, 2009년, pp.114 - 123  

안중관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김영환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1997$\sim$2006년의 10년간 계절별로 동해안에 위치한 3개 원자력발전소(울진, 월성 및 고리)의 배수구 부근 방파제와 대조구에서 산호말류의 종조성과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13종의 산호말류가 관찰되었으며, 작은구슬산호말, 고리마디게발, 참산호말 및 잘피껍데기의 4종은 거의 모든 조사정점에서 지난 10년간 50% 이상의 출현빈도를 보이는 보편 종으로 밝혀졌다. 조사정점별로는 발전소 방파제에서 10$\sim$12종이 출현하고 대조구에서 8$\sim$12종이 관찰되어 출현종수는 정점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호말류의 단위면적당 평균 생물량은 0$\sim$2,530 g dry wt m$^{-2}$의 넓은 범위로 나타났으며, 생물량으로 본 우점종은 공통적으로 작은구슬산호말이었다. 배수구 부근 방파제 구역에서 측정된 산호말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대조구의 생 물량보다 전반적으로 많았다. 단위면적당 해조류 생물량 가운데 산호말류가 차지하는 구성비율의 평균은 0$\sim$95.0%의 넓은 범위로 나타났으며, 발전소 방파제 구역에서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울진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수온이 높은 여름에 생물량이 가장 많고 구성비율 역시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다른 계절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발전소 주변 산호말류의 독특한 시 공간적 분포 양식은 조사정점간의 국지적 수온 차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coralline algae around three (Uljin, Wolseong and Gori) nuclear power plants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February 1997 to October 2006. As a result, 13 species of coralline algae were found during the past ten years. Among them,...

주제어

참고문헌 (66)

  1. 고철환. 1983.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동해안, 죽도) II. 해조류 식생의 계절변화와 대형갈조류 성장양상의 관계. 식물학회지. 26:181-190 

  2. 고철환, 성낙길. 1983.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죽도, 동해안) I. 해조류의 식생과 환경. 식물학회지. 26:119-130 

  3. 김미경, 김기태. 2000. 울릉도.독도의 해조류 연구 I. 해조류의 종조성 감소와 해조상의 변화. 조류학회지. 15:119-124 

  4. 김미경, 신재기, 차재훈. 2004. 하계 독도 연안 해조류의 종조성 변동과 갯녹음현상. 조류학회지. 19:69-78 

  5. 김영환. 1987. 인공저층을 이용한 해조류의 착생 및 천이에 관한 연구. 조류학회지. 2:73-91 

  6. 김영환. 2003. 원자력발전과 온배수 : 그 현황과 대책. 전파과학사, 서울. 151pp 

  7. 김영환, 남기완, 손철현. 1997. 동해안 주문진 조간대의 저서 해조류: 해조상, 분포 및 군집구조, 조류학회지. 12:117-130 

  8. 김영환, 박선홍. 1997. 제주도 조간대 해조r군집의 천이양식. 조류학회지. 12:23-30 

  9. 김영환, 안중관. 2005. 동해안 3개 원전 배수로 해조군집의 특성. 조류학회지. 20:217-224 

  10. 김영환, 안중관. 2006. 동해안 월성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조류학회지. 21:453-461 

  11. 김영환, 안중관, 윤희동, 장민아. 2007. 고리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조류학회지. 22:297-304 

  12. 김영환, 안중관, 이재일, 엄희문. 2004. 동해안 울진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조류학회지. 19:257-270 

  13. 김영환, 엄희문, 강연식. 1998. 한곡산 내열종 해조류의 정성.정량적 분석 1. 고리원자력발전소. 조류학회지. 13:213-226 

  14. 김영환, 윤현주, 유종수. 1995. 서해 중부 연안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식물학회지. 38:389-398 

  15. 김영환, 허성회. 1998.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 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한국수산학회지. 31:150-161 

  16. 김형근. 2002. 강릉하천 하구역에 발생하논 갯녹음(백화)현상의 진단. 강원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32pp 

  17. 김형근, 강래선, 손철현. 1992. 고리 원자력발전소 연안의 해조군집에 대한 온배수의 영향. 조류학회지. 7:269-279 

  18. 김형근, 손철현, 홍용기, 전방옥, 손용수, 강래선, 황은경, 최창근, 박중구, 조규남, 최재석, 신원준, 박운남, 박주영, 이주일, 전찬길, 원기식, 김미정, 이숭복, 김동삼, 한규삼. 2002. 갯녹음(백화) 현상의 원인 규명 및 대책. 해양수산부 연구보고서, 263pp. 

  19. 손철현, 김형근, 한현섭. 2002. 갯녹음 연안을 바다숲으로. 청문각, 서울. 163pp 

  20. 신재덕, 안중관, 김영환, 이숭복, 김정하, 정익교. 2008. 한국 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 강원도 대진지역. 조류학회지. 23:327-334 

  21. 이용필, 강서영. 2002.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제주. 662pp 

  22. 이인규, 강제원. 1986.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조류학회지. 1:311-325 

  23. 이재완. 1991. 한국 동해안 조간대의 해조류 군접구조와 지리적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0pp 

  24. 정호성, 조기웅, 정경호, 김지희, 신종현, 서영완, 강재신, 이인규. 1998. 제주도 서귀포 연안의 백화현상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 조류학회지. 13:361-374 

  25. 최도성. 1989. 한국산 홍조 산호말과 게발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0pp 

  26. 한국전력공사. 2007a. 고라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보고서 (2006년보). 한국전력공사 전력 연구원,'07전력연-단0255. 358pp 

  27. 한국전력공사. 2007b. 울진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반환경 조사 및 평가보고서 (2006년보). 한국전력공사 전력 연구원, '07전력연-단0258. 355pp 

  28. 한국전력공사. 2007c.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 얼반환경 조사 및 평가보고서 (2006년보). 한국전력공사 전력 연구원, '07 전력연-단0256. 395pp 

  29. Bensoussan N and JP Gattuso. 2007. Community primary production and calcification in a NW Mediterranean ecosystem dominated by calcareous macroalgae. Mar. Ecol. Prog. Ser. 334:37-45 

  30. Borowitzka MA, AWD Larkum and LJ Borowitzka. 1978. A preliminary study of algal turf communities of a shallow coral reef lagoon using an artificial substratum. Aquat. Bot. 5:365-381 

  31. Bulleri F. 2006. Duration of overgrowth affects survival of encrusting coralline algae. Mar. Ecol. Prog. Ser. 321:79-85 

  32. Bussell JA, IAN Lucas and R Seed. 2007. Patterns in the invertebrate assemblage associated with Corallina officinails in tide pools. J. Mar. Biol. Ass. U.K. 87:383-388 

  33. Daleo P. M Escapa, J Alberti and O lribarne. 2006. Negative effects of an autogenic ecosystem engineer: interactions between coralline turf and an ephemeral green alga. Mar. Ecol. Prog. Ser. 315:67-73 

  34. Dawson EY. 1966. Marine Botany; An lntroduc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ew York. 371pp 

  35. Dring MJ. 1992.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199pp 

  36. Graham LE and LW Wilcox. 2000. Algae.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640pp 

  37. Helbling EW, ES Barbieri, RP Sinha, VE Villafane and DP Hader. 2004. Dynamics of potentially protective compounds in Rhodophyta species from Patagonia (Argentina) exposed to solar radiation.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75:63-71 

  38. Hoek C van den, DG Mann and HM Jahns. 1995. Algae : an l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623pp 

  39. Hruby T and TA Norton. 1979. Algal colonization on rocky shores in the Firth of Clyde. J. Ecol. 67:65-77 

  40. Kim JH. 2000. Taxonomy of the Corallinales, Rhodophyta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49pp 

  41. Kim YH. 1994. Experimental observation of algal successions in a rocky intertidal community. Proc. Korea-Japan Sem. Biol. 2:159-174 

  42. Kim YH and JS Yoo. 1994. Patterns of algal succession in a Sargassum thunbergii (Phaeophyta) dominated rocky inter-tidal community. Korean J. Phycol. 9:59-65 

  43. Kim YH, JS Yoo and JH Kim. 1992. Marine algal succession in a perturbated intertidal community. Korean J. Phycol. 7:131-137 

  44. Korpinen S, V Jormalainen and T Honkanen. 2007. Effects of nutrients, herbivory and depth on the macroalgal community in the rocky sublittoral. Ecology 88:839-852 

  45. Lee IK and YH Kim. 1999.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arine benthic organisms and uses of algal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Korea and Japan I.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14:91-110 

  46. Leukart P. 1994. FieId and laboratory studies on depth dependence, seasonality and light requirement of growth in three species of crustose coralline algae (Corallinales, Rhodophyta). Phycologia 33:281-290 

  47. Littler MM. 1980. Morphological form and photosynthetic performances 

  48. Littler MM and KE Arnold. 1982. Primary productivity of marine macroalgal functional-form groups from southwestern North America. J. Phycol. 18:307-311 

  49. Littler MM and DS Littler. 1980. The evolution of thallus form and survival strategies in benthic macroalgae: Field and laboratory tests of a functional model. Amer. Natur. 116:25-44 

  50. Littler MM, DS Littler and PR Taylor. 1983. Evolutionary strategies in a tropical barrier reef system: Functional-form groups of marine macroalgae, J, Phycol. 19:229-237 

  51. Lobban CS and PJ Harrison.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366pp 

  52. Martin S, MD Castets and J Clavier. 2006. Primary production, respiration and calcification of the temperate free-Iiving coralline alga Lithothamnion corallioides, Aquat. Bot. 85:121-128 

  53. Mathieson AC, E Tveter. M Daly and J Howard. 1977. Marine algal ecology in a new Hampshire tidal rapid. Bot. Mar. 20:277-290 

  54. Morse AN and DE Morse. 1984. Recruitment and metamorphosis of Haliiotis larvae induced by molecules uniqueIy available at the surfaces of crustose red algae. J. Exp. Mar. Biol. Ecol. 75:191-215 

  55. Niell FX. 1979, Structure and succession in rocky algal communities of a temperate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36:185-200 

  56. Norton TA, AC Mathieson and M Neushul. 1982. A review of some aspects of form and function in seaweeds. Bot. Mar. 25:501-510 

  57. Ohno M, S Arai and M Watanabe. 1990. Seaweed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on different bottom substrata. J. Appl. Phycol. 2:327-332 

  58. Paula EJ de and EC de OJiveira. 1982. Wave exposure and ecotypical differentiation in Sargassum cymosum (Phaeophyta, Fucales). Phycologia 21:145-153 

  59. Round FE. 1981. The Ecology of Alga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653pp 

  60. Saito Y, S Naganawa and H Miyasaka. 1977. The climax phase and its recognition in intertidal algal vegetation. Jap. J. Ecol. 27:33-43. (in Japanese) 

  61. Saito Y. H Sasaki and K Watanabe. 1976. Succession of algal communities on the vertical substratum faces of breakwaters in Japan. Phycologia 15:93-100 

  62. Schiel DR, JR Steinbeck and MS Foster. 2004. Ten years of induced ocean warming causes comprehensive changes in marine benthic communities. Ecology 85:1833-1839 

  63. Steinbeck JR, DR Schiel and MS Foster. 2005. Detecting longterm change in complex communities : A case study from the rocky intertidal zone. Ecological Applications 15:1813-1832 

  64. Suzuki Y, T Takabayashi, T Kawaguchi and K Matsunaga. 1998. Isolation of an allelopathic substance from the crustose coralline algae. Lithophyllum spp., and its effect on the brown alga, Laminaria religiosa Miyabe (Phaeophyta). J. Exp. Mar. Biol. Ecol. 225:69-77 

  65. Sze P. 1998. A Biology of the AIgae, WCB/McGraw-Hill. Boston. 278pp 

  66. Tsuda RT and HT Kami. 1973. AIgal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in a marine lagoon environment in Guam. J. Phycol. 9:260-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