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야부끼다종 차엽으로 만든 홍차 제조과정 중의 catechins, theaflavins, alkaloids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atechins, Theaflavins and Alkaloids in Leaves from Korean Yabukida Tea Plant During Processing to Fermented Black T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3, 2009년, pp.308 - 314  

최석현 (서원대학교 외식산업학과, 서원대학교 BioRIC)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mposition of catechins, theaflavins and alkaloids in leaves during processing to fermented black tea, which is produced by withering, roll breaking, and fermentation of Korean Yabukida tea plant. In addition, we deter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발효처리공정 중 발효 온도, 습도, 발효시간은 홍차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홍차의 발효시간에 의한 catechin 및 theaflavin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보성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야부끼다종의 차잎을 이용하여 홍차를 제조하여 각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catechin, theaflavin, methyl xanthine alkaloid의 변동을 조사하고 특히, 발효처리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홍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차의 품종과 차잎의 채취시기 등과 같이 재료의 특성에도 영향을 받지만 제조과정 중의 위조처리, 유념처리, 발효처리 등이 홍차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中莖秀夫 등2002). 특히 발효처리공정 중 발효 온도, 습도, 발효시간은 홍차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홍차의 발효시간에 의한 catechin 및 theaflavin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한국산 야부끼다종 차잎으로 만든 홍차 제조과정 중의 catechin, theaflavin 및 alkaloid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3) 홍차의 제조과정 중의 catechin, theaflavin 및 alkaloid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 발효과정 중에 EGCG, ECG, EGC, EC가 급격히 감소·변화하여 홍차의 특성을 결정하는 theaflavin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발효가 시작되고 1~2시간 후에 theaflavin이 최대로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본 실험제조의 조건하에서는 발효처리를 1~2시간 하는 것이 최적의 홍차를 만드는 제조법이라 사료된다.
홍차와 녹차의 제조법 차이는 무엇인가? 홍차는 녹차와 달리 차잎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발효차의 일종으로 녹차의 제조법과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녹차의 제조는 채엽, 위조처리, 살청처리, 유념처리, 건조를 거치는 것에 반해 홍차의 제조는 채엽, 위조처리, 유념처리, 발효처리, 건조처리를 통해서 홍차를 제조한다. 차잎의 주요 polyphenol을 살펴보면 7종의 catechin류, 4종의 theaflavin류, 3종의 methyl xanthineme alkaloid류가 알려져 있다[Figur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中莖秀夫, 竹內啓子, 正樹, 藤井正人. 2002. 茶樹の秋季整 枝葉の發酵加工について. 愛知食品工業技術センタ 一究報告書. pp 1-4 

  2. AOAC. 1965. Methods of Analysi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p 361 

  3. Borrelli F, Capasso R, Russo A, Ernst E. 2004. Systematic review: green tea and gastrointestinal cancer risk. Aliment Pharmacol Ther, 19(5):497-510 

  4. Cui Y, Morgenstern H, Greenland S, Tashkin DP, Mao JT, Cai L, Cozen W, Mack TM, Lu Q-Y, Zhang Z-F. 2008. Dietary flavonoidin take and lung cancer- Apopulation-based casecontrolstudy. Cancer, 112(10):2241-2248 

  5. Friedman M. 2007. Overview of antibacterial, antitoxin, antivir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ea flavonoids and teas. Mol. Nutr. Food Res., 51(1):116-134 

  6. Friedman M, Henika PR, Levin CE, Mandrell RE, Kozukue N. 2006.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ea catechins and the aflavins and tea extracts against Bacilluscereus. J. Food Prot., 69(2):354-361 

  7. Friedman M, Mackey BE, Kim HJ, Lee IS, Lee KR, Lee SU, Kozukue E, Kozukue N. 2007.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tea compounds against human cancer cells. J. Agric. Food Chem., 55(2):243-253 

  8. Higdon JV, Frei B. 2003. Tea catechins and polyphenols:health effects, metabolism, and antioxidant functions. Crit. Rev. Food Sci. & Nutr., 43(1):89-143 

  9. Hollman PC, Feskens EJ, Katan MB. 1999. Tea flavonols 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epidemiology. Proceedings of Soc. Exp. Biol. & Med., 220(4):198-202 

  10. He Q, Yao K, Jia D, Fan H, Liao X, Shi B. 2009. Determination of total catechins in tea extracts by HPLC and spectrophotometry. Nat. Prod. Res., 23(1):93-100 

  11. Inami S, Takano M, Yamamoto M, Murakami D, Tajika K, Yodogawa K, Yokoyama S, Ohno N, Ohba T, Sano J, Ibuki C, Seino Y, Mizuno K. 2007. Tea catechin consumption reduces circulating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Int. Heart J., Nov; 48(6):725-732 

  12. Kotani A, Takahashi K, Hakamata H, Kojima S, Kusu F. 2007. Attomole catechins determination by capillary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Anal. Sci.,23(2):157-163 

  13. Liang YC, Chen YC, Lin YL, Lin-Shiau SY, Ho CT, Lin JK. 1999. Suppression of extracellular signals and cell proliferation by the black tea polyphenol, the aflavin-3, $3^{\prime}$ -digallate. Carcinogenesis, 20(4):733-736 

  14. Patel R, Krishnan R, Ramchandani A, Maru G. 2008. Polymeric black tea polyphenols inhibit mouse skin chemical carcinogenesis by decreasing cell proliferation. Cell Proliferation, 41(3):532-553 

  15. Sano M, Tabata M, Suzuki M, Degawa M, Miyase T, Maeda-Yamamoto M. 200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welve tea catechi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Analyst, 126(6):816-820 

  16. Scalbert A, Manach C, Morand C, Remesy C, Jimenez L. 2005. Dietary polyphenols and the prevention of disease. Crit. Rev. in Food Sci. & Nutr., 45(4):287-306 

  17. Tanaka T, Matsuo Y, Kouno I. 2005. A novel black tea pigment and two new oxidation products of epigallocatechin-3-O-gallate. J. Agric. Food Chem., 53(19):7571-7578 

  18. Tanaka T, Mine C, Watarumi S, Fujioka T, Mihashi K, Zhang Y-J, Kouno I. 2002. Accumulation of epigallocatechin quinone dimers during tea fermentation and formation of theasinensins. J. Nat. Prod., 65(11):1582-1587 

  19. Tinahones FJ, Rubio MA, Garrido-S?nchez L, Ruiz C, Gordillo E, Cabrerizo L, Cardona F. 2008. Green tea reduces LDL oxidability and improves vascular function. J. Am. Coll Nutr., 27(2):209-213 

  20. Zuo Y, Chen H, Deng Y. 200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caffeine and gallic acids in green, Oolong, black and pu-erh teas using HPLC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Talanta, 57(2):307-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