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East-West combination treatment in joint disorders.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Joints & Rheumatism Center at the Kyung He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from April 2006 to June 2009 were evalu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협진을 통한 신환 창출 수는 한, 양방이 각각 2007 년 1분기, 2006년 3분기 이후 급감하여 그 수가 유지 되거나 완만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본 병원은 한ㆍ양방 협진 병원을 표방하며 2006년 6월에 개원하여 정책적으로 협진을 유도하고, 2007년 이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며 근거 중심적, 합리적 협진 진료를 실시하도록 하는 정책을 폈다. 그래서 협진 초기에는 정책적 유도적 협진으로 다수의 협진 신환이 발생하였고, 2007년 이후에는 감소하여 이후 완만한 곡 선을 유지하게 되었다.
  • 위 결과를 바탕으로 6개의 협진이 활발한 질환에 대해 분석해 보았는데, 그 대상은 양방에서 치료 중인 질환과 동일한 질환에 대해 한방에 의뢰한 경우로 제 한하여 동일한 질환에 대해 한방과 양방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는 질환별 센터가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으며, 효율성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한ㆍ양방 협진을 시행하는 병원 내에 있는 관절류마티스센터에서의 협진 실례를 분석하되, 특히 양방에서 한방으로 협진을 의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절 및 통증질환, 자가면역성 질환에서는 어떤 형태의 협진이 일어나고 있는지 질환 별로 환자 추이, 치료방법, 협진 유지 현황 등을 관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그러나 임상에서 많이 관찰할 수 있는 만성 통증 질환에 대한 보고나 협진을 통한 임 상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번에 서울시 강동구에 소재한 한 병원의 관절류마티스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협진 진료 현황에 대해 분석하여 보고 하는 바이다.
  • 둘째, 협진을 통한 임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협진이 이루어지고 있는 질환 중 비 교적 협진이 원활한 질환을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협진 질환 모델 및 프로세싱을 구축하여 임상 연구를 통해 검증해 내는 것이다. 또한 이 모델이 비용효과 면에서 우수한지, 단독 치료보다 유효한지, 안전성은 보장되는지 검증하고, 부족한 면을 보완한다면 임상 시험에 참가한 특정 질환과 궁극적으로는 전체 질환의 협진 guideline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ㆍ양방 협진에 관해 설명하시오. 한ㆍ양방 협진이란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상호협력을 통한 진료로서 의사와 한의사가 함께 진단과 검사를 한 후 적합한 치료방법을 결정하여 시행하는 진료 체계이다3). 협진을 하는 방식에는 상호간에 환자를 의뢰하는 형식, 질환별 센터 형식, 함께 환자를 보며 진단과 치료를 하는 형식, 수가 및 청구 문제로 의뢰 하는 형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
협진을 하는 방식은 무엇이 있는가? 한ㆍ양방 협진이란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상호협력을 통한 진료로서 의사와 한의사가 함께 진단과 검사를 한 후 적합한 치료방법을 결정하여 시행하는 진료 체계이다3). 협진을 하는 방식에는 상호간에 환자를 의뢰하는 형식, 질환별 센터 형식, 함께 환자를 보며 진단과 치료를 하는 형식, 수가 및 청구 문제로 의뢰 하는 형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 병원에 따라서는 협진을 중간에서 조율하기 위하여 코디네이터나 협진 전문 간호사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들의 소속도 한 방병원에 속하거나 양방병원에 속하는 등 각자 병원 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 경희대학교 부속 동서신의학병원 관절류마티스센터에서 협진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양방에서 한방으로 협진을 의뢰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절 및 통증 질환, 자가면역성 질환에는 어떤 형태의 협진이 일어나는지, 질환별로 환자 추이, 치료 방법, 협진 유지 현황 등을 관찰하여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한방에서 양방으로 의뢰한 환자는 1,510명, 양방에서 한방으로 의뢰한 환자는 1,065명이었으며, 협진으로 발생한 신환은 각각 2007년 2분기, 2006년 4분기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협진 환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두 배 정도 많았고 50대와 60대 환자가 많 았으며 입원보다 외래에서 더 많은 협진이 의뢰 되었다. 2. 양방에서 한방으로 의뢰한 환자 수는 슬관절, 고관절, 견관절, 족관절, 완관절과 주관절 순으로 많았으며, 각 관절별로 가장 많이 의뢰된 질환은 OA knee, AVN, 오십견, 족관절 염좌 및 기타 전신 질환인 RA와 AS였다. 3. 주요한 6개 질환은 한방에서 주로 3~10회의 치료를 받았고, 45%가 지속적으로 협진 치료를 받 았으며, 98%가 침구치료를 받았는데 각 질환별 로 특색을 보였다. 4. 환자수 규모와 협진의 지속성을 고려할 때 OA knee, RA, AS의 협진은 원활했으며, AVN, 오 십견, 족관절 염좌의 협진은 원활하지 못했다. 5. 한ㆍ양방 협진 체계가 앞으로도 지속되고 발전 하기 위해서는 상대 의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협진 임상연구,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상대 의학 교육시간 확충, 의학용어 공유 및 통일, 정부 적 시스템 개선 등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진삼곤, 남은우. 양방과 한방병원의 협진체계에 대한 입원환자의 인식도.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997 ; 2(1) : 134-64. 

  2. 최만규, 이준협, 이태로, 이현실, 임국환. 양,한방협진 의료기관 이용자의 인식도 및 태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05 ; 30(1) : 35-44. 

  3. 이동희, 류규수. 한.양방 협진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997 ; 2(1) : 34-61. 

  4. 이원철, 신길조, 박성식, 임성우, 김경호, 금동호, 최윤정. 한.양방 協診 및 協治에 관한 통계 보고-입원 환자를 중심으로-. 동국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5 : 4(0), 53-66. 

  5. 이영운. 洋.漢方 外來患者의 醫療利用行態 比較 硏究.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6. 김대환, 김지혁. 뇌졸중 환자의 양 한방 협진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 : 16(3) : 467-82. 

  7. 김대환, 이기효. 양,한방 협진병원 뇌졸중 입원환자 진료이용실태와 협진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지. 2004 ; 9(2) : 76-101. 

  8. 김성택, 이정한, 문태일, 추용식, 김옥준, 최성욱, 조윤경, 임상욱. 뇌경색으로 입원한 양방.한방 환자의 특성 비교; 양한방 협진의 치료지침 제안. 대한응급의학회지. 2003 ; 14(2) : 173-7. 

  9. 권나현, 신예지, 김찬영, 고필성, 이원일, 조병진, 우현수, 백용현, 박동석.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s Palsy)의 한방치료와 한양방 협진치료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3) : 19-28. 

  10. 박인범, 김상우, 이채우, 김홍기, 허성웅, 윤현민, 장경전, 안창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한방 치료 및 한,양방 협진 치료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5) : 191-203. 

  11. 강미정, 김기현, 황현서. 구면괘사에 대한 한의 및 한 서의 협진 치료의 임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1) : 55-66. 

  12. 오영선, 최병렬. 한.양방협진을 통한 안면신경마비환자 82례에 대한 임상적 관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6 ; 5(1) : 317-28. 

  13. 유경희. 양.한방 동시개설병원 입원환자의 협진에 대한 태도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이동희. 한.양방 협진병원 입원환자 의료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5. 김영준. 한방의료원 특성에 따른 한의사의 양방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6. 이건목, 이강창, 황유진. 요추추간판탈출증의 동,서의학적 협진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2) : 1-10. 

  17. 남동우, 최양식, 김행범, 김종인, 임사비나, 김건식, 이두익, 이재동, 이윤호, 최도영. 여성 만성견비통 환자에 대한 동서 협진 치료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113-22. 

  18. 남동우, 김행범, 양동훈, 임사비나, 김건식, 이두익, 이재동, 최도영, 이윤호. 동결견(凍結肩) 환자의 동서협진 치료의 임상효과 비교연구-견관절 가동 운동범위(ROM)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5) : 105-13. 

  19. 남동우, 정인태, 김주희, 박유선, 임사비나, 이두익, 이재동, 이윤호, 최도영.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에 있어서 한방 치료와 양방 치료의 임상적 고찰-동서협진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5) : 1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