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입원 노인 중증도별 주 부양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rious Illness of Elderly Patients Admitted in a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2, 2009년, pp.187 - 198  

김귀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한경숙 (경희의료원 부속병원) ,  석소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illness of elderly patients admitted in an intensive care unit. Methods: Subjects were the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of K, S and Y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노인중증도별 주부양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중환자 노인환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돌봄 제공자의 부정적인 신체적, 정서적 경험을 최소화하고 현 상황에 대한 대처 전략과 적응력을 향상시키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중환자 노인환자의 회복을 향상, 촉진시킬 수 있는 필수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그리하여 노인 중 환자를 돌보는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불안 및 부담감은 더욱 증가될 수 있으며, 특히 중증도가 높을수록 그 정도는 더욱 가중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노인 환자의 중증도 별 가족의 스트레스, 불안 및 부담감 정도와 부담감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이들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불안 및 부담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K, S, Y대학 부속병원 중환자실 노인환자 주부양가족으로, 자료수집은 2007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였으며, 사용도구는 병원간호사회(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5)의 중환자 분류도구, Frank와 Zyznaski(1988)가 개발한 Brei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BEPSI)를 Bae 등(1996)이 한국 어로 번안·수정한 일반적 스트레스도구와 Billiard Q-sort를 Cochran과 Ganong(1989)이 개발하고 Bok(1999)이 수정· 보완한 환경적 스트레스도구, Montgomery 등(1985)이 개발하고 Oh(2004)가 번역·사용한 부담감 측정도구(주관적, 객관적), Spielberg(1975)가 개발하고 Kim과 Shin(1978)이 수정·보완한 불안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노인 환자의 중증도 별 주부양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을 비교하여 중증도 별 중환자실 입원노인환자의 주부양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 설계는 중환자실 입원노인의 중증도 별 주부양가족의 부담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중환자 가족은 환자의 중증도 가 매우 높거나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 더욱 심한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며 동시에 부담감이 커지는데(Sung, 2002), 이러한 노인 중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환자의 가족 간호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의 예후와 사망률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수단인 중환자 분류도구를 통한 중환자 노인의 중증도(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5)에 따른 중환자 노인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환자실 입원노인의 중증도에 따른 그 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간호학적으로 매우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이란?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독한 환자나, 외상환자 또는 치료 도중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치료를 위해 의료진과 의료장비가 특별히 배치되어 있는 특수한 환경의 병동으로,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개별 접근 및 계속적이고 집중적인 관찰과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위협적 환경인 중환자실에 가족의 일원이 입원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일 때는 가족에게는 구조적, 경제적, 정서적 불균형을 일으키며 긴장을 초래하는 상황이 된다.
중환자실 입원 노인 환자의 중증도별 가족의 스트레스, 불안 및 부담감 정도와 부담감 영향요인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환자실 입원노인 중증도에 따른 주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는 5군, 불안은 4군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부담감은 5군과 3군이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환자실 입원노인 주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불안 및 부담감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증도 분류 세 군 모두에서 스트레스와 부담감, 스트레스와 불안, 부담감과 불안 사이에는 높은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환자실 입원노인의 중증도에 따른 주 부양가족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5군에서는 스트레스가, 4군에서는 스트레스, 불안감, 월수입이, 3군에서는 스트레스와 환자연령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중증도 분류 세 군 모두에서 중환자실 입원노인의 주 부양가족의 부담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로 확인되었다.
중환자실 가족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나 불안정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 생각되는 이유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는 환자의 생명보존이라는 목적적 행위에 우선적인 초점을 두는 관계로, 대기실에서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 보호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Kavitha, 2008; Sung, 2002). 즉 일반 병동 입원환자와는 달리 중환자실이란 병동 특성상 가족이 직접 환자 곁에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정보나 상태를 전달받게 되며, 일정한 면회시간에 제한적인 가족 면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족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나 불안정도는 매우 높으리라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M., Yim, J. H., Choi, S. S., Kim, S. W., Hwang, H. S., & Heo, B. L. (1996).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17(1), 42-49. 

  2. Bok, H. (1999). Study of environmental stress factors perceived by nurses in ICU.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i, S. J. (2001). Perceived powerlessness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3(4), 601-609. 

  4. Cochran, J., & Ganong, L. H. (1989). A comparison of nurses' patients' perception of intensive care unit stressors. J Adv Nurs, 14(12), 1038-1043. 

  5. Frank, S. H., & Zyzanski, S. J. (1988).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26(5), 533-539. 

  6. Foster, M., & Chaboyer, W. (2003). Family carers of ICU survivors: a survey of the burden the experience. Scand J Caring Sci, 17(3), 205-214. 

  7. Fumis, R. R., Nishimoto, I. N., & Deheinzelin, D. (2008). Families' interactions with physicia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impact on family's satisfaction. J Crit Care, 23(3), 281-286. 

  8. Geriatric Medicine Association (2005). Geriatric diseases. Seoul: Medicine Publishing. 

  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5). Standard of classification for severity of serious patient. Nursing department of serious patien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Press. 

  10. Jeong, S. K. (1994). Study of effect of nursing information on need and anxiety of family with patient with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vitha, M. (2008). Needs of family members of patients admitted in ICU. Nurs J India, 99(6), 128-130. 

  12. Kim, B. K. (2006). Need of nursing care perceived by nurse and family of patient in a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E. S., Park, J. S., & Park, C. S. (2002). A relation study on burd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family caregiver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 Korean Acad Nurs, 32(5), 654-663. 

  14. Kim, J. T., & Shin, D. G. (1978). Study of Korean standardization of STAI. Current Med, 21(11), 69-74. 

  15. Kim, K. S. (2002). Patterns of impatient's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16(1), 1-12. 

  16. Kim, M. S. (2002). Study of anxiety, depression, and burden of family of ICU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7. Kim, Y. J. (2000). Study of anxiety of family of patient in a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8. Kim, Y. S. (2006)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9. Montgomery, R. J. V., Gonyea, J. G.,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 Relations, 34(1), 19-26. 

  20. Mularski, R. A. (2008). Translating and implementing evidencebased care in the ICU: It's time to value family communication. Chest, 134(4), 676-678. 

  2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Statistics of population in the futur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2. No, C. H., Jeong, G. H., & Kim, S. J. (2000). Family burden and stress of rural area. J Korean Gerontol Nurs, 2(1), 48-58. 

  23. No, E. S., Gueon, H. J., & Kim, K. H. (1997). A study on caring experiences of the familie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9(2), 251-261. 

  24. No, Y. O. (2001). Experiences with disease processes among ICU patients' family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 Oh, J. H. (2003). Relative study among family support, self esteem, and powernessl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Oh, S. H. (2004). A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stress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Song, I. S., & Rhu, E. G. (1998). A study on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 caring the elderly hospitalized by chronic illness. Hanyang J Med, 18(2), 187-196. 

  28. Spielberg, C. D. (1975). Anxiety: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I. New York: John Wiley & Sons, 115-144. 

  29. Sung, H. Y. (2002). A study on anxiety and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al stressor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0. Yim, Y. S. (1993). Study of burden of family with elderly patient. J Korean Acad Adult Nurs, 5(2), 164-1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