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다공증 위험요인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3, 2009년, pp.303 - 313  

이혜영 (영국리즈대학) ,  박원숙 (동서신의학병원, 경희대학교 교육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identify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28 women. The BMD of the calcaneus were measured with peripheral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isk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따라 일반적 특성, 월경력, 과거력 및 현재 건강인식, 식·생활습관을 비교하며,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폐경기 여성의 골 건강을 관리하고, 적정수준의 골밀도를 유지, 증진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골 건강 간호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된 예측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상태를 조사하는 한편,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검사를 통해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및 정상군의 신체적 특성, 월경력, 과거력, 현재 건강인식 및 식·생활습관을 비교하고,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예측적 조사연구이다.
  •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을 위해 국립골다공증협회(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와 공동연구로 미국 Akron General Hospital의 The Women's center에서 제공되는 설문도구에는 조절될 수 있는 골다공증의 위험 요인으로 과거력과 투약에 관련해서는 항경련제 복용, 부갑상선 이상, 스테로이드 복용, 간질환, 갑상선기능 이상, 위·장질환 여부를 포함하였고 식·생활습관은 흡연, 음주, 유제품, 운동 여부, 짠음식 섭취, 채식, 식이장애, 섬유질 음식, 카페인 음료섭취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절 가능한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 폐경기 여성의 과거력과 관련하여 투약과 현재 건강인식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위·장질환이나 관절염을 앓거나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 2배 혹은 5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사람에게 6배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의 강도가 약화되어 골절이 쉽게 일어나는 전신적인 질환으로 골의 강도는 최대골량과 최소골량의 차이로 결정되는 골밀도와 골의 질로 반영된다(NIH consensus conference, 2001). 골다공증의 빈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전신통증 및 골절을 일으키므로 최근 수명의 증가에 따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는 무엇인가?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로 연령 증가, 남성보다 여성, 흑인보다 백인이나 동양인에게 골다공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작은 체형, 늦은 초경, 조기 폐경, 영양 상태 및 식습관, 흡연, 음주, 운동량 부족(NIH consensus conference, 2001), 칼슘 섭취 저하, 항경련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등의 투약(Walker, 2008), 건강과 생활습관(Oliver, Jameson, Sayer, Cooper, & Dennison, 2007)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골다공증 환자 중에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이 유병상태에 비해 낮아서 40세 이후에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경험한 사람들에서 적절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지 않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량이 감소하여 여러 가지 골 질환에 시달릴 뿐만 아니라 삶의 질도 떨어지는 것(Sambrook, Dequiker, & Rasp, 1994)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성의 골밀도 저하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장, 체중, BMI가 감소할수록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1%가 골다공증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낮았고, 신장, 체중과 BMI가 감소할수록 골밀도가 낮아 본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중, 노년에 들어서면서 골대사의 균형이 깨어져서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과다하여 단위 용적 내 골량의 감소로 골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tkins, M. (1996). Atkins osteoporosis risk assessment tool. Columbus: Ohio Nursing Association. 

  2. Biller, B. M., Saxe, V., Herzog, D. B., Rosenthal, D. I., Holzman, S., & Klibanski, A. (1989). Mechanisms of osteoporosis in adult and adolescent women with anorexia nervosa. J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68(3), 548-554. 

  3. Byun, Y. S. (2006). Difference of bone density and risk factors related to osteopenia of young women in their twenties. J Korean Academy of Nursing, 18(5). 790-797. 

  4. Byun, Y. S., & Shin, G. B. (1997). What is a Osteoporosis? Seoul: Jungdaum Publishing. 

  5. Cook, D. J., Guyatt, G. H., Adachi, J. D., Clifton, J., Griffith, L. E., Epstein, R. S., & Juniper, E. F. (1993). Quality of life issues in women with vertebral fractures due to osteoporosis. Arthritis and Rheumatism, 36(6), 750-756. 

  6. Dennison, E. M., Syddall, H. E., Statham, C., Aihie Sayer, A., & Cooper, C. (2006). Relationships between SF-36 health profile and bone mineral density: the Hertfordshire Cohort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17(9), 1435-1442. 

  7. Genant, H. K., Ettinger, B., Cann, C. E., Reiser, U., Gordan, G. S. &, Kolb, F. O. (1985). Osteoporosis: assessment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The Orthopedic Clinics of North America, 16(3), 557-568. 

  8. Han, S. J. (1996). Arthritis and Osteoporosis,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3(1), 107-109. 

  9. Keramat, A., Patwardhan, B., Larijani, B., Chopra, A., Mithal, A., Chakravarty, D., Adibi, H., & Khosravi, A. (2008). The assessment of osteoporosis risk factors in Iranian women compared with Indian women.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9, 28. 

  10. Kim, M. H., & Kim, J.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312-320. 

  11. Kim, M. H, Kim, I. J., & Kim, J. S. (2005). Predi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Mothers and Their Daugh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7(1), 23-33. 

  12. Kim, M. H., Kim, J. S., & Kim, Y. 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4), 532-542.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ata (2004, November). Statistics of 2003 Health Insurance. Retrieved October 13, 2008, from http://www.kihasa.re.kr/html/jsp/ 

  14. Lee, E. N., & Son, H. M. (2007). Discriminating Factors of Stages of Change in Bone Mass Promoting Behaviors after Bone Mineral Densitometry. J Korean Academy of Nursing, 19(3), 389-400. 

  15. National Osteoporosis Society (2002). Primary care strategy for osteoporosis and falls. Bath; NOS. 

  16. NIH consensus conference (2001).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J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785-795. 

  17. Oliver, H., Jameson, K. A., Sayer A. A., Cooper, C., & Dennison, E. M.; Hertfordshire Cohort Study Group (2007). Growth in early life predicts bone strength in late adulthood: the hertfordshire cohort study. Bone, 41(3), 400-405. 

  18. Park, H. M., Yang, G. H., & Min, Y. G. (2007). Physicians's guideline for osteoporosis 2007. Seoul: The Korean Society of Bone Metabolism. 

  19. Rigotti, N. A., Neer, R. M., Skates, S. J., Herzog, D. B., & Nussbaum, S. R. (1991). The clinical course of osteoporosis in anorexia nervosa. A longitudinal study of cortical bone mass. J American Medical and Association, 265(9), 1133-1138. 

  20. Sambrook, P. N., Dequiker, J., & Rasp, H. H. (1994). Metabolic bone disease, Report of a WHO study group,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Geneva. 

  21.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 at Large (1997). New Clinical Nursing Manual. Seoul: Hyunmoon. 

  22. SIGN: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03). Management of osteoporosis. Report no, 71, Edinburgh: SIGN. 

  23. Son, H. Y. (ed.). (2002).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and complication. Journal Korean Society Bone Metabolism, The 5th Annual lecturer for osteoporosis. Seoul: KSBM press. 

  24. Song, H. R., & So, H. Y. (2007).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J Korean Academy of Nursing, 19(5), 763-774. 

  25. Tesar, R., Notelovitz, M., Shim, E., Kauwell, G., & Brown, J. (1992). Axial and peripheral bone density and nutrient intakes of postmenopausal vegetarian and omnivorous women. American J Clinical Nutrition, 56(4), 699-704. 

  26. Walker, J. (2008). Osteoporosis: pathogenesis, diagnosis and management. Nursing Standard, 22(17), 48-56. 

  27. Wang, S., Lin, S., Zhou, Y., & Wang, Z. (2008). Social and behavior factors related to aged Chinese women with osteoporosis. Gynecological Endocrinology, 24(10), 538-545. 

  28.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9. Yang, K., McElmurry, B. J., & Park, C. G. (2006).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s in low-income Korean wome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7(3), 254-267. 

  30. Yoshimura, N., Muraki, S., Oka, H., Mabuchi, A., Kinoshita, H., Yosihda, M., Kawaguchi, H., Nakamura, K., & Akune, T. (2008). Epidemiology of lumbar osteoporosis and osteoarthritis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 is osteoarthritis a predictor for osteoporosis or vice versa?: The Miyama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6), 999-1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