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기 여성 골다공증 환자에서 갱년기지수와 골밀도 간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al Rating Scale and Bone Mineral Density for 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원문보기

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1 no.3, 2014년, pp.25 - 33  

곽규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강재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김윤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이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BMD), age, weight, visual analog scale(VAS), menopausal rating scale(MR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BMD, age, weight, VAS, MRS according to severity of the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0~60세의 폐경기 여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골밀도, 체중, VAS, MRS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 즉 1형 골다공증 환자의 전반적인 특성 분석을 통해 예후 및 각 지표의 활용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하지만 초경연령, 폐경연령, 임신 횟수, 또한 피임약 등 관련 약물 복용력 등의 정보가 부족하였던 점, 연구 대상자가 62명으로 적었다는 점, 통증관련 지표인 VAS, 갱년기관련 지표인 MRS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법은 주관적인 느낌을 표현한 것으로 객관적인 비교를 하기 힘든 점 등의 한계점이 있다.
  • 이에 저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대전대학교 부속천안한방병원에 내원한 폐경기 여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골밀도와 연령, 체중, 통증 관련 지표인 visual analog scale(VAS), 갱년기 관련 지표인 menopausal rating scale(MRS)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약간의 지견을 얻은바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량(bone mass)의 감소와 골질(bone quality)의 변화로 인하여 뼈의 미세구조가 파괴되는 질환으로 평균의 표준편차 2.5 이하로 골밀도가 감소되는 것을 말하며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정의하였다. 원인질환의 유무에 따라 일차성 골다공증과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일차성 골다공증은 폐경기 후에 발생하는 골다공증을 제1형 골다공증, 70세 이후의 남녀에서 발생하는 제2형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1-3).
일차성 골다공증은 어떻게 분류되나? 5 이하로 골밀도가 감소되는 것을 말하며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정의하였다. 원인질환의 유무에 따라 일차성 골다공증과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일차성 골다공증은 폐경기 후에 발생하는 골다공증을 제1형 골다공증, 70세 이후의 남녀에서 발생하는 제2형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1-3).
골다공증 치료로 사용되는 호르몬 요법의 문제점은? 양방에서 골다공증 치료는 주로 골흡수 억제제인 bisphosphonate, selective estrogen-receptor modulator(SERM), 칼시토닌, 에스트로겐 등의 약제가 이용되고 있으며, 갱년기 증후군 치료에는 부족한 여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약물 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호르몬요법은 메스꺼움, 두통, 부종, 그리고 자궁출혈, 암의 전이, 뇌졸중의 발병률 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thopaedics. 6th edition. Seoul : Newest Medicine Company. 2006 : 214-24. 

  2. Braunwald E, Fauci A, Kasper D, Hauser S, Longo D, Jameson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e-Vol 2. Seoul. MIP. 2003 : 2302-12. 

  3. Han TR, Bang MS. Rehabilitation medicine 3rd. Seoul : Gunjachulpansa. 2011 : 937-55. 

  4.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Gyeonggi : Jipmoondang. 2012 : 516. 

  5. Korean Society of Obeste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Seoul :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07 : 563-88. 

  6. Cho ES.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Internet. Korea [cited 2013 Oct 09]. Available from : http:// www.cdc.go.kr/CDC/cms/content/75/21375_view.h tml. 

  7. Kim CH, Kim YI, Choi CS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ow quantitative ultrasound values of calcaneus in Korean elderly women. Ultrasound Med Biol. 2000 ; 26(1) : 35-40. 

  8. Lee ES, Kim HK. Goldagongjeungui donguihakjeok imsangmunheone gwanhan gochal.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1997 ; 7(1) : 437-56. 

  9. Kang SK, Park YB, Ahn HS. The bibliographical studies on the acupuncture treatment of the osteoporosi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5 ; 15(2) : 171-89. 

  10. The Korean Neuropsychiatry Society Textbook Complication Commottee. Korean neuropsychiatry. Gyeonggi : Jipmoondang. 2007 : 422. 

  11. Min KH, Cho HB, Kim JH, Kim CW, Yoo SK. Effects of cungahwangamy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ual osteoporosis. The Journal of Oriental Obestetrics and Gynecology. 2001 ; 14(1) : 58-72. 

  12. Kim MS, Seo BI, Kwak MA, Jee SY. Effect of Chungajihwangtang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03 ; 18(2) : 49-58. 

  13. Jung JY, Kim JH, Kim YI. Effects of herbalacupuncture with artemisiae vulgaris folium extract at KI10(Eumgok)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mic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1 ; 28(6) : 117-37. 

  14. Shin HW, Lee H. Effects of phamacopuncture with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at KI10 on osteoporotic rats induced by ovariectomy.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0 ; 27(4) : 99-114. 

  15. Kim DS, Kim JH, Kim YI. Effects of herbalacupuncture with rosae laevigatae fructus extract at KI10(Umgok)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mic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Herbal Acupuncture. 2009 ; 12(4) : 51-62. 

  16. Yu SJ, Ahn HB, Kim JY, Lee DN. A comparative study of BMD between osteoporosis patients taking fosamax and taking fosamax and Samgieumgamibang. The Journal of Oriental Obestetrics and Gynecology. 2012 ; 25(1) : 11-9. 

  17. Jin UJ, Yu TY, Jin YH, Lee JB. Visual analogue scale in acute pain measurement: its usefulness as a pain measurement tool in an emergency set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3 ; 14(1) : 61-5. 

  18. Menopause-rating-scale. http://www.menopauserating- scale.info 

  19. Choi IK, Lee MS, Ham BJ, Lee HY, Ko YH, Joe SH. Attitude and belief about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in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 patients. Korean Journal Psychosomatic Medicine. 2010 ; 18(2) : 82-93. 

  20. Tao MF, Shao HF, Li CB, Teng YC. Correlation between the modified Kupperman index and the menophase rating scale in chinese women. Jouranl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2013 ; 7(1) : 223-9. 

  21. Oriental Obstertrics & Gynecology Society. Oriental obstertrics & gynecology. Seoul : Uisungdang. 2012 : 265-94. 

  22.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ociety.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eoul : Gunjachulpansa : 105-7. 

  23. Kang JH, Lee H, Choi JY, Yoon KS. The analysis of 278 cases who were medicated with Cheongawo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1 ; 28(1) : 93-100. 

  24. Oh KW. Diabetes and osteoporosi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2009 ; 33(3) : 169-77. 

  25. Park YJ, Gu BS, Kang HC, Chon SH, Yoon JW. The menopausal age and climacteric symptoms, and the related factors of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 ; 7(4) : 473-85. 

  26. Kim MH, Kim JS, Kim YM.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obstetric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2 ; 14(4) : 532-42. 

  27. Elizabeth Adler. The Blatt-Kupperman menopause index: acritique. Maturitas. 1998 ; 29(1) : 19-24. 

  28. Greene JG. Constructing a standard climacteric scale. Maturitas. 2008 ; 61(1-2) : 78-84. 

  29. Hauser GA, Huber IC, Keller PJ, Lauritzen C, Schneider HPG. Evaluation der klinischen beschwerden (menopause rating scale). Zentralbl Gynakol. 1994 ; 116(1) : 16-23. 

  30. Chung SH, Kim TH, Lee HH, Park JS, Sang JH. Hormone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Journal Korean Society Menopause. 2013 ; 19(2) : 101-5. 

  31. Lee HN, Park YM, Jang MK, Byeon YJ. Prevalence of osteoporosis of Korean women based o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radius and effect of menopause on osteoporosi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 ; 45(7) : 1186-90. 

  32. Choi H, Song TJ, Yang YH et al. The validation study of BMI(body mass index), age, and body weight for prediction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and Perimenopausal women. Journal Korean Society Menopause. 2005 ; 11(1) : 43-8. 

  33. Mun SO, Kim JH, Yang YJ.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above: using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2013 ; 18(2) : 177-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