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심술 환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지식, 불안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xiety, and Coping Behavior of Mothers with Young Child Undergoing Cardiac Surger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6, 2009년, pp.628 - 638  

구미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제1중환자실)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a young child undergoing cardiac surgery and determine effects of the program on her knowledge, anxiety and coping behavior.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18 mo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77) 환아의 상태와 시기에 맞추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 에서는 요중 콜티졸로 나타나는 생리적 불안과 행동불 안을 함께 조사하였다. Kim(1990)은 불안을 측정할 때 주관적 불안과 더불어 생리적 반응인 카테콜라민이나 콜티졸을 병용하여 객관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 , 2001), 보스턴 어린이병원의 부모교육지침, 개심술 후 퇴원한 환아 어머니 5명의 면담 자료 및 교육요구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목표는 수술 전, 수술직후 중환자실, 퇴원 전의 세 시기로 나누어 제작한 소책자로 교육하면서 수술 후 호흡, 수유, 구토, 수술부위 감염, 발열, 운동, 치아 및 목욕관리에 대해서는 본 연구자가 직접 시범을 보이고 어머니로 하여금 수행케 한 다음 문제점을 교정해주고 질문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주는 양방향적인 교육으로 환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을 증진 시켜 주는 것이다. Cho(1991), Kim(1998), Kim과 Jun(2007), You 등(2001)의 교육 프로그램은 개심술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일방향적으로 제공하고 지지해주는 것으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과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개심술 환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지식, 불안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비동시성 대조군 전 · 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심술 환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환아의 수술 전, 수술직후 중환자실, 퇴원 전 병실에서 교육을 개별적으로 제공하되 수술 후 환아의 호흡, 수유, 구토, 수술부위 감염, 발열, 운동, 치아 및 목욕의 주요간호문제에 대한 것은 연구자가 시범을 보이고 어머니로 하여금 직접 수행하게 한 다음 문제점을 교정해 주어 정확하고 확실한 대처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 효과를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부가설 1: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관적 불안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 부가설 1: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관적 불안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 부가설 2: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리적 불안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 부가설 3: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행동 불안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 부가설 3: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행동불안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1: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장병 관련 지식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안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안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3: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대처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심술 환아 어머니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 (수술 전, 수술 직후 중환자실, 퇴원 전)을 개발한다. • 개심술 환아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이 지식, 불안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아동의 선천성기형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아 생존아 1,000명당 약 8 ~ 10명의 빈도를 보이는 질환은? 선천성 심질환은 아동의 선천성기형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아 생존아 1,000명당 약 8 ~ 10명의 빈도를 보이나 (Ahn, 2007) 의료기술의 발달로 수술 사망률이 2.3% 로 낮아져 의료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Lee, 2004).
개심술 환아 가족은 환아의 퇴원 후 어떠한 간호문제를 대처해야 하는가? 그러나 개심술은 수술 중에 인공심폐기를 사용 하고, 수술 직후에는 인공호흡기와 더불어 중심정맥도 관, 동맥도관, 흉관 등을 삽입하므로 중환자실에서는 혈역학적 안정을 위한 집중치료를, 일반병실로 전실한 후에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치료를, 퇴원 후에는 심장 회복을 위한 간호가 이어져야 한다 (Menahem, Polakis, & Prior, 2008). 따라서 환아 가족은 퇴원 후에도 환아의 호흡, 수유, 구토, 감염, 발열, 운동, 치아, 목욕 등의 주요간호문제에 대처해야 한다 (Smith,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S. (2007). Pediatrics (9th ed.). Seoul: Daehan Book. 

  2. Asan Medical Center (AMC) (2004). I love heart. Retrieved January 20, 2008, from http://www.iloveheart.org 

  3. Chessa, M., De Rosa, G., Pardeo, M., Negura, D. G., Butera, G., Giamberti, A., Bossone, E., & Carminati, M. (2005). What do parents know about the malformations afflicting the hearts of their children? Cardiology in the Young, 15(2), 125-129. 

  4. Children's Hospital Boston (2007). For patients and families. Retrieved January 1, 2008, from http://www. childrenshospital.org/patientsfamilies 

  5. Cline, K. E., Herman, J., Shaw, E. R., & Morton, R. D. (1992).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4(16), 348-380. 

  6. Cho, K. M. (1991).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program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child on the mother's anxiety and knowledge degre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Finesilver, C. (1980). Reducing stress in patients having cardiac catheterizatio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0, 1805-1807. 

  9. Hur, S. K. (1993). A study for development of nursing guideline in the open-heart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10. Kain, Z. N., Mayes, L. C., Caldwell, A. A., Karas, D. E., & McClain, B. C. (2006). Preoperative anxiety, postoperative pain, and behavioral recovery in young children undergoing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18(2), 651-658. 

  11. Kim, H. J. (1989).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health education. Seoul: Soomoonsa. 

  12. Kim, H. K., & Jeong, I. S. (2007). Effect of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125-134. 

  13. Kim, K. S. (1990).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on stress reduction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4. Kim, M. Y. (1998). Effect of informational support care on anxiety reduction in mothers of cardiac disease child.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2), 25-36. 

  15. Kim, Y. J. (2007). Welcome to Drheart.net. Retrieved January 10, 2008, from http://www.drheart.net 

  16. Kim, Y. K., & Jun, E. M. (2007). The effect of supportive intervention an the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children undergoing open-heart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ic Adult Nursing, 19(3), 459-469. 

  17. Krupst, T. J., Blatterbauser, S., & Westman, J. (1977). Helping parents cope with the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efect. Pediatrics, 59(2), 266-272. 

  18. Lawoko, S., & Soares, J. J. (2006). Psychosocial morbidity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Heart and Lung, 35(5), 203-314. 

  19. Lee, H. J. (2004). Congenital heart disease in neonates and infants: diagnostic scheme. Journal of Korean Pediatric Heart Association, 6(1), 1-7. 

  20. Lee, J. K. (2003). Young Child Heart Disease. Retrieved January 1, 2008, from http://www.soaheart.com 

  21. Menahem, S., Polakis, Z., & Prior, M. (2008). Children subjected to cardiac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Part 1-Emotional and psychological outcomes. Interact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7, 600-604. 

  22. Moon, J. R. (2000). A correlating study regarding knowledge, stress and coping of parents of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3. Park, I. S. (2002). Congenital heart disease. Seoul: Korea. 

  24. Park, I. S. (2003).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sease-related uncertainties in the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ir coping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5. Samsung Medical Center (SMC)(2008). Hearti. Retrieved January 25, 2008, from http://hearti.co.kr 

  26. Sejong Hospital (2006). Cardiovascular center. Retrieved January 15, 2008, from http://sejongh.co.kr 

  27. Seou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2003). Kidheart. Retrieved January 5, 2008, from http://kidheart.com 

  28. Smith, P. (2001). Primary care in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6(5), 308-319. 

  29. Utens, E. M., Versluis-Den Bieman, H. J., Verhulst, F. C., Witsenburg, M., Bogers, A. J., & Hess, J. (2000). Psychological distress and styles of coping in parents of children awaiting elective cardiac surgery. Cardiology in the Young, 10(3), 239-244. 

  30. You, J. S., Shin, Y. H., Yoon, S. H., Jeong, J. H., Ko, K. S., & Kim, Y. J. (2001). The effect of the structured nursing information program on anxiety, knowledge degree and nursing satisfaction of open heart surgery children' parent. Clinical. Nursing Research, 7(2), 147-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