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기관에 입원중인 진폐증 환자에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연관성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Pneumoconiosis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18 no.2, 2009년, pp.185 - 193  

배문혜 (문경대학 간호과) ,  추진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Loneliness may be a typical psychological consideration in chronically ill patients, linking with low life satisfaction. We aimed to determine if loneliness would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pneumoconiosis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원 중인 진폐증 환자에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의 독립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간호의 환경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유해 환경물질(예를 들면, 석탄)에 노출되어 진폐증 대상자의 고독감을 다룬 국내외적으로 최초로 수행된 간호연구이다. 흔히 진폐증에 이환되기 쉬운 직업군은 광산근로자, 연탄제조, 선박의 건조수리, 시멘트 제조, 도자기 국내요업자의 설업자의주물자의용접, 면직물 가공업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다(임 영 등, 1998).
  • 본 연구는 진폐증을 진단받고 기관에 요양중인 환자에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간의 독립적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변수들을 모두 보정한 후에도 고독감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진폐증을 진단받고 병원요양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독립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7월 20일부터 2008년 9월 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자는 M시와 S시의 진폐전문병원에 요양중인 164명이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진폐증 장기 요양환자의 고독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와의 독립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진폐증 환자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기반 간호중재를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인혜(1995)의 연구에 의하면 고독감의 유발요인은? 국내에서는 김인혜(1995)의 연구에 의하면, 고독감의 유발요인은 가족 및 친인척과의 문제, 경제적인 문제, 질병 및 신체상의 문제, 과거 삶의 반추, 무료함이며, Kara와 Mirici(2004)의 연구에서 고독감은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장기적으로 사회격리 상태로 의료기관에 요양하고 있는 대상자이기 때문에 배우자, 자녀, 그리고 간병인으로부터 받는 돌봄 형태의 지지가 있기는 하지만 개개인 마다 차이가 있고, 시간이 경과할 수록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지지가 차단되어 있을 수 있다.
진폐증이란? 진폐증은 진폐의 예방과 진폐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면, 광산 등에 근무하면서 분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산업재해질환이다. 직업병중 그 수가 가장 많고, 지금까지 진폐로 인한 건강진단을 받은 사람은 약 8만 명이고, 그 중 진폐 정밀검진을 받은 사람은 약 7만 명이며, 최근에는 6,500여명이 진폐 정밀진단을 받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노동부, 2005).
고독감 해소를 위한 간호중재로 지역사회에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고독감 해소를 위한 간호중재는 고독감을 가진 대상자가 최대한 사회작용의 증가와 사회관계망의 결손을 보완시키거나 혹은 대체할 수 있는 방안과 전략이 요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역사회 단위에서 진폐증 환자를 위한 지지모임이나 다양한 지역사회프로그램의 연계, 즉 보건소, 병원, 민간 자원봉사단체와의 협력체계를 통해서 진폐증 환자를 위한 고독감을 해소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사회지지망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매자 (1987). 호흡근 훈련이 호흡근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만성폐색성 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인혜 (1995). 노인의 고독감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옥수 (1997).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대한간호학회지, 27, 871-879. 

  4. 김응준, 엄정식 (2006). 대도시 노인들의 건강행위와 자기 효능감 및 고독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431-443. 

  5. 노동부 (2005). 2005년도 노동부 정책연구 용역사업: 진폐환자 요양관리 실태조사 및 진폐합병증 범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6. 박지선 (2005). 노인의 고독감, 영적 안녕과 삶의 질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문혜 (1997). 진폐증 환자의 건강호소율. 문경대학 논문집, 2, 405-422. 

  8. 배문혜 (2003). 진폐증 환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임영, 김경아, 윤임중 (1998). 진폐증의 발생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한국의 산업의학, 가톨릭대학 산업의학센타 산업의학연구소. 37(2), 41-53. 

  10. 정익조 (1993). 호흡곤란 평가 지표들의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병순, 김지홍, 신재훈, 이정오 (2006). 노동부 진폐관련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폐근로자 고령화등에 따른 진폐근로자 보호사업의 합리적 추진방안 연구. 산재의료관리원 안산중앙병원부설 직업성폐질환연구소. 

  12. 편인옥 (1993). 진폐환자의 질병경험에 관한 연구: Parse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Akerlind, I., & Hornquist, J. O. (1992). Loneliness and alcohol abuse: a review of evidences of an interplay. Soc Sci Med, 34(4), 405-414. 

  14. Altin, R., Ozkurt, S., Fisekci, F., Cimrin, A. H., Zencir, M., & Sevinc, C. (2002). Prevalence of byssinosis and respiratory symptoms among cotton mill workers. Respiration, 69(1), 52-56. 

  15. Banks, M. R., & Banks, W. A. (2002).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loneliness in an elderly popula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7(7), M428-432. 

  16. Bekhet, A. K., Zauszniewski, J. A., & Nakhla, W. E. (2008). Loneliness: a concept analysis. Nurs Forum, 43(4), 207-213. 

  17. ElSadr, C. B., Noureddine, S., & Kelley, J. (2009). Concept analysis of loneliness with implications for nursing diagnosis. Int J Nurs Terminol Classif, 20(1), 25-33. 

  18. Fukui, S., Koike, M., Ooba, A., & Uchitomi, Y. (2003). The effect of a psychosocial group intervention on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for Japanese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30(5), 823-830. 

  19.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1980). Guidlines for the Use of IL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adiographs of pheumoconiosis International Fabour Office. 

  20. Kara, M., & Mirici, A. (2004). Lonelin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Turkish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ir spouses. J Nurs Scholarsh, 36(4), 331-336. 

  21. Kinsman, R. A., Fernandez, E., Schocket, M., Dirks, J. F., & Covino, N. A. (1983).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symptoms of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J Behav Med, 6(4), 339-357. 

  22. Luanaigh, C. O., & Lawlor, B. A. (2008). Loneliness and the health of older people. Int J Geriatr Psychiatry, 23(12), 1213-1221. 

  23. Mullins, L. C., & Mushel, M. (1992). The existence and emotional closeness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riends adn spouses: The effects of loneliness among older persons. Res Aging, 14(4), 448-470. 

  24. Neto, F. (1995).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second-generation migrants. Soc Indic Res, 35, 93-116. 

  25. Paul, C., Ayis, S., & Ebrahim, S. (2006). Psychological distress, loneliness and disability in old age. Psychol Health Med, 11(2), 221-232. 

  26. Perry, G. R. (1990). Loneliness and coping among tertiary-level adult cancer patients in the home. Cancer Nurs, 13(5), 293-302. 

  27. Rokach, A., Matalon, R., Safarovtalon, RBercovitch, M. (2007). The loneliness experience of the dying and of those who care for them. Palliat Support Care, 5(2), 153-159. 

  28. Russell, D. W.,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 Pers Soc Psychol, 39(3), 472-480. 

  29. Swami, V., Chamorro-Premuzic, T., Sinniah, D., Maniam, T., Kannan, K., Stanistreet, D., et al. (2007). General healt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 study with Malaysian medical student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42(2), 161-166. 

  30. Wood, V., Wylie, M. L., & Sheafer, B. (1969). An analysis of short self-report measures of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with later judgements. J Gerontol Nurs, 19(13), 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