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공정성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alth Status among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2, 2009년, pp.216 - 224  

염영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alth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7 nurses from 3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llenbaum(1979)에 의하면 개인이 지각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객관적 혹은 임상적 건강상태를 잘 반영하기 때문에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유용한 차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건강 변수로 주관적 건강을 사용하고 나아가 직위와 감정적 성향의 두 축인 긍정적 성향과 부정적 성향을 통제 변수로 사용하여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위에 언급된 조직공정성 연구의 미비한 점을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과변수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외에 건강 변수를 추가하고자 한다. Fillenbaum(1979)에 의하면 개인이 지각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객관적 혹은 임상적 건강상태를 잘 반영하기 때문에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유용한 차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상관성 조사 연구이고, 연구 대상은 3개 종합전문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상관성 관계 연구이다.
  • 현재 전 세계적인 간호사 부족 현상은 지난 50년 동안 보건의료계가 직면한 상황 중 가장 최악의 상황이라고 할 만큼 심각하여(Hodges, Williams, & Carman, 2002) 이미 각 국의 간호계에서는 유능한 간호사를 채용하고 유지하는 것을 큰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Johnstone, 2007). 이에 병원들은 유능한 간호사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있는 현실이다. 학자금 대여나 장학금 수여 등을 통한 간호학생 유치 전략, 급여 및 복지 증대, 경력개발을 위한 기회 제공, 평생 교육과 융통성 있는 근무 스케쥴 등을 통한 간호사 보유 전략 등이 적용되고 있다(Aikan et al.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결과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나아가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상호작용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가설 3은 절차공정정성이 높을 때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상호작용이 없었기 때문에, 절차공정성이 높을 때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배공정성이란? 분배공정성은 조직으로부터 받는 보상의 크기가 조직에 대한 자신의 기여와 비교하여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하며(Cronpanzano & Greenberg, 1997), 본 연구에서는 Price 와 Mueller(1986)가 개발한 4문항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까지 5개의 응답범주를 갖는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분배공정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절차공정성이란? 절차공정성은 보상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과정 또는 절차가 공정한지 개인이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Folger & Konovsky, 1989), 본 연구에서는 Price와 Mueller (1986)가 개발한 4문항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까지 5개의 응답범주를 갖는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분배공정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결과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나아가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상호작용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은? • 가설 1.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간호사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절차공정성이 높을 때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될것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a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A., Busse, R., Clarke, H., Giovannetti, P., Hunt, J., Raffery, A., & Shamian, J. (2001). Nurses' reports on hospital care in five countries. Health Affairs, 20, 43-53. 

  2. Allen, N., & Meyer, J. (2000).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 Goffin & E. Helmes(Eds.), Problems and solutions in human assessment. Bosten: Kluwer Academic. 

  3. Brayfield, A. H., & Rothe, H. F. (1951).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 Appl Psychol, 35, 307-311. 

  4. Brief, A. P., Burke, M., J., & George, J. M., Robinson, B. S., & Webster, J. (1988). Should negativity affectivity remain an unmeasured variable in the study of job stress. J Appl Psychol, 73, 193-198. 

  5. Chang, E. (2002).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visited: Moderation by layoff in the case of Korean. Hum Resour Manage, 41(2), 261-270. 

  6. Cronpanzano, R., & Greenberg, J. (1997). Progress in organizational justice: tunneling through the maze, In C. L. Cooper & I. T. Robertson(Eds., Vol 12),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pp. 317-372), John Wiely & Sons Ltd. 

  7. Elovainio, M., Kivimaki, M., & Vahtera, J. (2002). Organizational justice: Evidence of a new psychological predictor of health. Am J Public Health, 92(1), 105-108. 

  8. Fields, D., Pang, M., & Chiu, C. (2000).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employee outcomes in Hong Kong, J Organiz Behav, 21, 547-562. 

  9. Fillenbaum, G. G. (1979). Social context and self-assesment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 Health and Soc Behav, 20, 45-51. 

  10. Folger, R., & Konovsky, M.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 Manage J, 32, 115-130. 

  11. Hodges, L., Williams, B., & Carman, D. (2002). Taking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nursing's future. Medsurg Nurs, 11(1), 15-24. 

  12. Hurrell, J. J. (1998). Are you certain? Uncertainty, health, and safety in contemporary work. Am J Public Health, 88. 1012-1013. 

  13. Johnstone, M. (2007). Nurse recruitment and retention: Imperatives of imaging the future and taking a proactive chance. Contemp Nurse, 24, iii-v. 

  14. Katz, R. L. (1955). Skills of an effective administrator. Harv Bus Rev, Jan-Fe, 33-42. 

  15. Kim, M. S., & Park, Y. B. (1999a).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2(1), 32-40. 

  16. Kim, M. S., & Park, Y. B. (1999b).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nurse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Acad Nurs, 29(6), 1434-1444. 

  17. Kleinbaum, D. G., Kupper, L. L., & Muller, K. E. (198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te methods. Boston : PWS-KENT Publishing Company. 

  18. Ko, J. W., & Seo, S. H. (2003). The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job attitudes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J Local Government Studies, 15(4), 117-136. 

  19. Ko, J. W., Seo, Y. J., & Seo, S. H. (2003).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physicians. Korea J Health Policy Admin, 13(3), 71-90. 

  20. McFarlin, D. B., & Sweeney, P. D. (1992).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 Manage J, 35, 626-637. 

  21. Mueller, C. W., Iverson, R. D., & Jo, D,, G. (1999). Distributive justice evaluations in two cultural contexts: A comparison of U. S. and South Korean teachers. Hum Relat, 52(7), 869-893. 

  22. Park, H. S. (2007). The Influence of compensation justi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hospital personnels. J Korean Acad Nurs Admin, 13(4), 492-500. 

  23. Price, P., & Mueller, C. (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24. Saks, A. M., & Ashforth, B. E. (2000). The role of dispositions, entry stressors, and behavioral plasticity theory in predicting newcomers' adjustment to work. J Organ Behav, 21, 43-62. 

  25. Seo, I., & Jung, S. Y. (2007).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ness perception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J Bus Res, 22(1), 393-424. 

  26. Seo, Y. J., & Ko, J. W. (2004). The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job attitudes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 Hosp Manage, 9(1), 115-132. 

  27. Speak, D. L., Cor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 Nurs Health, 12, 93-100. 

  28. Tata, S. (2000). Influence of role and gender on the use of distributive versus procedural justice principles. J Psychol, 134(3), 261-268. 

  29. Watson, D., & Tellegram, A. (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 Bull, 98, 219-235. 

  30. Woo, J. H., & Koh, M. S. (2003). The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by clinical nurse's compensation justice. J Korean Acad Nurs Admin, 9(4), 585-5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