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및 직무공정성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3, 2016년, pp.177 - 187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철규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Methods: Subjects were 115 male nurses who were the member of the Korean man nurses association,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환경, 직무공정성 및 직무만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남자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먼저 간호업무환경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2.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환경과 직무공정성이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이다.
  • 본 연구목적은 남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환경, 직무공정성 및 직무만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간 국내에서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대해 시행한 연구를 살펴보면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Lee, 2004),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및 관련요인(Choi, 2012),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Ahn, Lee, Kim, & Jeong, 2015) 등으로 직무만족과 의직의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근래 들어 급속한 수적 증가를 하고 있는 남자 간호사들의 취업 유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무만족을 증대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 간호업무환경 및 직무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남자간호사의 취업 유지를 증가시키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공정성이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직무공정성이 보고되고 있다(Gillet, Colombat, Michinov, Pronost, & Fouquereau, 2013; Kovner, Brewer, Wu, Cheng, & Suzuki, 2006; Yom, 2009, 2010). 직무공정성은 조직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와 의사결정이 얼마만큼 공정하게 시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정도로(Lee, Park, & Kim, 2014), 직무공정성을 보상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보상공정성은 조직으로부터 받는 보상의 크기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 정도이고, 절차공정성은 보상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이며, 상호작용공정성은 의사결 정과정에서 권한보유자가 보여주는 대인적 처우, 정책, 절차의 실행과정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이다(Niehoff & Moorman, 1993).
보상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은 각각 무엇인가? 직무공정성은 조직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와 의사결정이 얼마만큼 공정하게 시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정도로(Lee, Park, & Kim, 2014), 직무공정성을 보상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보상공정성은 조직으로부터 받는 보상의 크기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 정도이고, 절차공정성은 보상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이며, 상호작용공정성은 의사결 정과정에서 권한보유자가 보여주는 대인적 처우, 정책, 절차의 실행과정에 대한 공정성의 인식이다(Niehoff & Moorman, 1993). 이러한 직무공정성의 하위 요인과 직무만족 간에는 그관련성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어, Yom (2009)의 연구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2010년에 시행한 연구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 정성만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절차공정성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남자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이유는? 남자간호사의 이직률이 높은 것은 나이팅게일 시대 이후로 간호사를 여성 중심의 직업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Anthong, 2004), 간호사 직업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Sherrod, Sherrod, & Rasch, 2005), 가족과 친구, 친척들의 남자 직업으 로써의 저평가(Chen et al., 2012), 성역할과 관련되어 환자 및대중들이 남자간호사에게 기대하는 직업적 성취에 대한 어려움(Yang, Gau, Shiau, Hu, & Shih, 2004),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거부당하는 상황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평생 직장을 찾아 다른 분야로 가는 중간 기착지라는 생각(Son, Koh, Kim, Moon, & Yi, 2003), 실무현장에서 전문적인 간호사의 역할보다는 단순한 기능, 기술적인 역할, 보조 역할 등을 요구함에 따른 갈등 (Lee, 2004) 등의 이유들 때문이다. 반면, 남자간호사들에게 있어 직무만족이 높은 경우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Kim, 2016; Le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M. K., Lee, M. H., Kim, H. K., & Jeong, S. H. (2015).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2), 203-211.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203 

  2. Anthong, A. S. (2004). Gender bias discrimination in nursing education: Can we change it? Nurse Educator, 29(3), 121-125. 

  3. Chen, S. H., Fu, C. M., Li, R. H., Lou, J. H., & Yu, H. Y . (2012).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4(7), 862-882.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84603 

  4. Cho, E. H., Choi, M.,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3), 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5. Choi, J. H. (2012).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6. Choi, J., & Ha, N. S.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justi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173-184. 

  7. Clementson, R. (2008). Men in nursing. Nursing Journal NorthTec, 12, 37-43. 

  8. Gillet, N., Colombat, P., Michinov, E., Pronost, A. M., & Fouquereau, E. (2013). Procedural justice, supervisor autonomy support, wor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need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9(11), 2560-2571. http://dx.doi.org/10.1111/jan.12144 

  9. Im, S. B., Lee, M. Y., & Kim, S. Y. (2015). Nurs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1(1), 1-9.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1 

  10. Ji, Y. J. (2014).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soci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by male nurses at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ng, A. R. (2015, March 26). New nurse three people out of ten 'turnover'... executive 'built', Retrieved June 26, 2016, from Dailymedi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791121&thread22r10 

  12. Kim, I. S. (2015). Impact of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M. S., & Park, Y. B. (2006).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1), 32-40. 

  14. Kim, S. O. (2016). A prediction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Seoul. 

  15. Klopper, H. C., Coetzee, S. K., Pretorius, R., & Bester, P. (2012).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ritical care nurses in South Afric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5), 685-69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350.x 

  16. Kovner, C., Brewer, C., Wu, Y. W., Cheng, Y., & Suzuki, M.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work satisfaction of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8(1), 71-79. 

  17. Kwon, J. O., & Kim, E. Y. (2012).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14-42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8.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19. Lee, K. J., & Kim, M. Y. (2014).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1), 46-57. http://dx.doi.org/10.7475/kjan.2014.26.1.46 

  20. Lee, M. H., & Kim, J. 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470-47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70 

  21. Lee, S. Y. (2004).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Lee, S. Y., Kim, C. W., Kang, J. H., Yoon, T. H., & Kim, C. S. (2014). Influence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7(5), 258-65. http://dx.doi.org/10.3961/jpmph.14.002. 

  23. Lee, Y. S., Park, S. H., & Kim, J. K.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motivati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596-609. 

  24. McCormick, E. J. & Tiffin, J. (1974).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25. Moon, K. H. (2002).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components of empowerment on the nurse's job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6. Niehoff, B. P. &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3), 527-556. http://dx.doi.org/10.2307/256591 

  27. Park, S. Y. (2016, March 24). It has improved the world, 16 years ago, I changed clothes in the toilet. Retrieved June 8, 2016, from Doctor's News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271 

  28. Sherrod, B., Sherrod, D., & Rasch, R. (2005). Men at work. Nursing Management, 36(10), 46-51. 

  29. Sochalski, J. (2002). Trends: Nursing shortage redux: Turning the corner on an enduring problem. Health Affairs, 21(4), 817-825. 

  30. Son, H. M., Koh, M. H., Kim, C. M., Moon, J. H., & Yi, M. S. (2003).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17-25. 

  31. Wang, Y., Dong, W., Mauk, K., Li, P., Wan, J., Yang, G., et al. (2015).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a study on nurses caring for older adults in shanghai. PLoS One, 18;10(9):e0138035.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38035 

  32. Yang, C., Gau, M., Shiau, S., Hu, W., & Shih, F. (2004).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for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6), 642-650.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4.03252.x 

  33. Yom, Y. H. (2009).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ealth status among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2), 216-224. 

  34. Yom, Y. H. (2010).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dispositional affectivit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among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3), 276-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