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점검표(DETERMINE)를 통한 계절별 영양상태 판정의 신뢰도 분석 연구
Reliability of Nutritional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3, 2009년, pp.340 - 353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공정은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very important to screen the elderly for nutritional risk, because nutritional status is a critical factor to maintain their health. Some nutrition checklists used in Korea for the elderly are from other countries. Reliability of those checklist in Korea is not studied enough. This survey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영양부족위험을 선별할 수 있는 간이 점검표들 중 국내에서 자주 쓰이는 ‘DETERMINE Your Nutritional Health’ Checklist의 국내 노인에서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 지역별 65세 이상 마을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걸쳐 영양상태조사와 함께 DETERMINE 영양점검표를 이용하여, 이 스크리닝 도구가 한국 노인들의 영양상태 판정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에서의 2005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얼마인가? 3%로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전망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의 2005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29.1%로 전체 노인 인구비율의 3배 이상 높아 농촌의 고령화가 더 급격한 것을 알 수 있다. (Uh 등 200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선 무엇이 중요한가? (Uh 등 200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섭취가 중요하다(Lee & Chang 1999; Kim 등 2000; Kang 등 2008). 그러나 2005년 국민영양건강조사의 연령별 영양실태를 보면 65세 이상 노인층의 영양소 섭취량이 대부분의 주요 영양소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섭취량이 더욱 부족하였다(MW 2005; Son & Park 2005; Park 등 2008).
노인들의 영양부족위험을 선별하는 점검표인 DETERMINE를 통하여 계절별 영양상태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1) 생화학적 검사 결과는 LDL Cholesterol이 겨울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의하지는 않지만 Total Cholesterol도 여름보다 상대적으로 그 수치가 증가하였다. 2) 비만이나 혈압, Cholesterol과 Hemoglobin, 혈당 수치는 영양점검표의 스크리닝 결과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건강상태를 스크린 하는 도구로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3) 권장량에 따른 에너지와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을 분석해 보았을 때 에너지와 지방의 섭취량은 노인들의 섭취량이 권장섭취량 이하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에너지의 경우 여름과 겨울 모두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평균필요량(EAR)이하로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단백질의 경우 여름과 겨울 모두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평균 필요량(EAR) 이하로 먹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권장섭취량(RI) 이상 먹는 비율이 감소하였다. 4) 권장량에 따른 칼슘과 인, 철분의 섭취량을 분석해 보았을 때 칼슘과 인 철분 섭취량은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평균 필요량(EAR)이하로 먹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권장 섭취량(RI)이상 섭취하는 비율이 감소하였다.(여름 철분, 겨울 칼슘 p < 0.05, 겨울 인, 철분 p < 0.01) 5) 권장량에 따른 비타민의 섭취량을 분석해 보았을 때 여름의 경우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고 위험군으로 갈수록 비타민의 섭취가 불량인 비율이 높았으며, 겨울의 경우 유의적으로(엽산 제외)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섭취 불량인 비율이 높았다. 6) NAR과 MAR을 영양소별로 분석하였을 때 여름은 아연, 비타민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B6, 나이아신, 엽산, 비타민C의 영양소 적정 섭취 비율(NAR)이 고 위험군으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평균 영양소 적정 비율(MAR) 또한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겨울에는 집단간의 특징 없이 영양소 별로 NAR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MAR은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7) 영양밀도지수(INQ)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여름에는 칼슘, 아연, 비타민A, 비타민B6, 엽산, 비타민C에서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식사의 질이 좋게 나타났으며, 겨울의 경우는 단백질,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엽산에서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식사의 질이 나쁘게 나타났다. 또한 여름에 비해 겨울이 유의하지는 않으나 식사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보인다. 8) DDS의 점수는 여름과 겨울 집단에 관계없이 3-4점 사이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점수의 평균을 보면 겨울의 경우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p < 0.01) 평균이 낮아진다. 9) 계절별 식품군 섭취 패턴(DMGFV) 분석결과 여름은 과일군과 유제품군이 제외된 식사패턴인 11010이 모든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겨울에는 저위험군에서는 유제품군이 제외된 11110이 44.4%, 과일군과 유제품군이 제외된 11010이 27.0%로 나타났으며 중등위험군에서는 11110이 34.4%, 11010이 21.9%순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군에서는 11010이 28.0%, 11110이 24.0%로 나타났다. 10) 여름과 겨울 모두 참가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양점검표를 이용한 스크리닝 점수의 계절별 상관성을 분석하여 보았지만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11) DETERMINE 영양점검표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위험군 선별 기준 점수값을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측정하였다. 4점에서 8점까지를 기준 점수값으로 설정하여 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이용한 6점 기준이 여름조사 자료에서 민감도 49.4, 특이도 61.9, 양성예측도 62.1, 겨울조사자료에서는 민감도 34.3, 특이도 65.4, 양성 예측도 46.0이었으며, 이는 타 기준 점수값보다 스크리닝에 적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YK, Chung YJ, Moon HK, Yiin JS, Park HR (2008): Nutritional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pp.97-101 Shinkwang, seoul 

  2. Choe JS, Baeg HY (2004):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4): 668-678 

  3. Choe YJ, Park YS, Kim C, Jang YG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 37(3): 223-235 

  4. Choi YJ, Kim C, Park YS (2007):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Nutr 40(3): c 

  5. Chung SH, Sohn CM (2005): Nutritional status of hospitalized geriatric patients using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10(5): 645-653 

  6. Han KH, Choi MS, Park JS (2004): Nutritional risk and its related factors evaluated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who are meal service participants. Korean J Nutr 37(8): 675-687 

  7. Kang YH, Kim MY, Eliza L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 elderly. Korean J Acad Nurs 38(1): 122-130 

  8. Kim KN, Hyun TS,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3): 475-483 

  9. Kim IS, Yu HH, Kim YS (2001): A study on nutrient intake, food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food intake diversity in the elderly in a loca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6(2): 205-217 

  10.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0(2): 216-223 

  11. Kim YH, Ha TY, Lee BH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status,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senior citizens with or without leisure activities in urb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4): 422-429 

  12. Korean Nutrition Association(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12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Dependency Ratios & Aged-child Ratio. Population Projections 2006. 11 

  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SSO) (2000): The Asia- 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15. Kwak EH, Lee SL, Yoon JS, Lee KS, Kwon CS, Kwun IS (2003): Macronutri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36(10): 1052-1060 

  16. Lee HS, Chang MJ (1999): Effect of family type on the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women. Korean J Soc Food Sci Nutr 28(4): 934-941 

  17. Lee JW (1998): Nutrition assessment tools and indices for nutrition screening.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Korean J Community Nutr 998(2): 33-48 

  18. Lee JW, Lee MS, Kim JH, Son SM, Yi BS (2007): Nutritional Assessment. pp.89-91. Kyomunsa, Gyeonggi 

  19. Lee KH, Part JR, Seo JS (200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a private silver town of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10): 1293-1299 

  20. Lee KW, Lee YM, Kim JH (2000):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5(1): 3-12 

  21. Lee OH (2002):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muscle strength of elderly women in a social welfare center and those residing at home. Korean J Community Nutr 7(5): 603-614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 (2005):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pp.204-206 

  23. Park JK, Son SM (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8(5): 716-725 

  24. Park MY, Chun BY, Joo SJ, Jeong GB, Huh CH, Kim GR, Park PS (2008):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aged females in a rural long life community by the stage model of dietary behavior change. Korean J Community Nutr 13(1): 34-45 

  25.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erican J Public Health 83(7): 972-978 

  26. Son SM, Park JK (2005): The changes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s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Korean J Diet Assoc 11(3): 2896-298 

  27. Uh SB, Kim HS, Back K, Kang KH, Yuk JY, Kim BS (2005): A study on risk factors of nutrition in a rural aged people. Korea Sport Research 16(6): 237-250 

  28.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1): 65-76 

  29.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 - 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1018-1027 

  30. Yoon HJ, Lee HK, 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1): 50-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