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회로망에 의한 의료영상 질환인식
Disease Recognition on Medical Images Using Neural Network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3 no.1, 2009년, pp.29 - 39  

이준행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흥만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태식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부) ,  이상복 (남부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의료영상의 질환부위 인식방법을 제안하였다. 질환부위 인식을 위한 신경회로망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하여 적응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였다. 신경회로망에 입력된 의료영상의 특징 파라미터웨이브릿 변환에 의하여 분해된 저주파 영역행렬식으로 표현하여 특성 다항식의 계수값(n+1)개로 하였다. 추출된 특징 파라미터는 탄젠트시그모이드 전달함수의 범위로 정규화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 벡터로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실험에 사용된 입력 의료영상을 가지고 모사실험을 통해 질환부위의 인식률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4레벨 DWT로 변환된 저주파영역 행렬의 특성 다항식 계수를 탄젠트시그모이드 전달함수의 범위로 정규화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 벡터로 이용했을 때 최적의 학습 횟수를 보였다. 신경회로망의 학습은 적응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학습계수를 0.01, 모우멘텀을 0.95로 하였을 때, 위영상에 대해서는 55회, 가슴영상은 55회, CT영상은 46회, 초음파영상은 55회 그리고 혈관영상에 대해서는 157회 등의 최적의 학습 횟수를 보이며 100%의 인식률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has proposed to the recognition of the disease on medical images using neural network. The neural network is constructed as three-layers of the input-layer, the hidden-layer and the output-layer. The training method applied for the recognition of disease region is adaptive error back-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영상이 디지털영상으로 바뀌면서 종래에는 할 수 없었던 영상의 화질개선, 기하학적인 변환, 영상의 특징 부각, 영상 압축과 복원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고 최근에는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통한 CAD(Computed Aided Diagnosis)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의 학습에 의해 의료영상의 질환부위를 인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의 질환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영상, 가슴영상, 초음파영상, CT영상, 혈관조영상을 512×512×28 의 영상크기로 영상처리시스템에 입력하여 모사실험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의료영상은 무엇으로 생성되는가? 과학기술의 발달로 최근의 의료영상은 빠르게 디지털영상으로 바뀌고 있다. 병원의 영상의학과에서 생성되는 의료영상은 DR(Digital Radiography), CR(Computed Radiography)장비들에 의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바뀌고 있으며, CT(Computed Tomograph-y),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PECT(Sing-le Positr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Ultras-onography장비들을 통하여 디지털 의료영상을 생성하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디지털 의료영상은 컴퓨터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웨이브릿 변환의 스케일 값으로 무엇이 주로 사용되는가? 웨이브릿 변환에서는 확장된 신호의 주파수를 언급하는 것보다 몇 배로 확장했는가 하는 확장인자를 언급하며 이 인자를 스케일(Scale)이라 부른다. 이때, 스케일의 값으로는 2j의 배수가 주로 사용된다[7]. 스케일이 증가할수록 주어진 스케일에서 웨이브릿 변환 신호의 공간 해상도는 떨어지고 낮은 주파수 대역 성분을 나타내게 된다[7].
의료 정보시스템을 분류하면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현재 사용 중인 의료 정보시스템을 크게 분류하면,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와 방사선과에서 취급하고 있는 의료영상들을 관리하는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그리고 의료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는 PACS(Picture Achieving & Communi-cation System) 등으로 나눌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