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중인 생선초밥의 오염 미생물 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3 = no.205, 2009년, pp.334 - 338  

조선경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문보연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박종현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감소를 위하여 시장에서 유통중인 생선초밥을 대형할인매장과 일식음식점에서 수집하여 미생물 위해인자의 오염을 분석하였다. 79개의 초밥의 생선부위에서 4-6 log CFU/g의 일반세균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서는 3-5 log CFU/g 로 나왔으며 광어와 새우초밥이 높은 오염을 보여주었다. 대장균군은 생선부위에서 3-4 log CFU/g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는 생선부위보다 1 log CFU/g정도 낮게 나타났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 세균은 생선부위에서 Staphylococcus aureus가 17%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group은 10%로 검출되었고 밥부위에서는 S. aureus가 11%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 cereus group가 8%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그리고 Salmonella와 Listeria monocytogenes도 검출되었으나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gens, Yersinia enterpcolo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생선초밥 생산유통 업체 분석에 의하면 대형할인매장의 시료에서는 B. cereus group이 13%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일식음식점의 경우는 S. aureus가 30%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어패류 식품의 경우 V. parahaemolyticus의 오염을 우려하지만, 유통 초밥시료를 채취하여 실험한 결과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오염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V. parahaemolyticus와 아울러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위해 관리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contamination status of Sushi fish and rice, seventy-nine samples of Sushi were collected from wholesale markets and Japanese restaurants within the Seoul area and subsequently analyzed for food-borne pathogens. Total aerobic counts ranged from 4 to 6 log CFU/g for the sliced raw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 식중독 발생원인 식품의 주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어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감소를 위하여 초밥의 총세균수, 대장균군, E. coli,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 aureus, L. monocytogenes 등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해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이들 미생물 품질의 오염분석 결과는 이들 식품을 제조유통하는 업체, 일선음식점, 매장과 유통단계에서의 중요한 위생안전관리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래에 식중독이 더욱 더 다양화되고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가 고도로 발전하면서, 국내에서도 국민소득 증가와, 사회 환경의 변화, 국제 교류가 활발해지고 신속해지면서 새로운 식생활 문화가 도입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더 많이 식품의 변질과 부패가 발생하고, 근래에는 환경오염에 의한 기상이변 등으로 식중독은 더욱 더 다양화와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1,2).
식중독의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국내 식중독 발생현황을 보면 90년대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역학조사 결과 세균으로 인한 발생률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특히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등이 대표적인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알려지고 있고 최근에는 병원성 E. coli와 Norovirus에 의한 식중독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4).
특별히 우리나라가 식중독 발생원인 식품의 주요부분을 차지하는 어패류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까지 음식점이나 대형조리업체에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 등 즉석섭취 어패류식품의 식중독 세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보기 쉽지 않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수산물의 소비가 높고, 특히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섭취하는 경향이 높아, 더 이상의 가공, 가열조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물 등의 식품위생 및 안전에 대한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JK, Lee YW. A review study of food poisoning in Korea. J. Food Hyg. Saf. 4: 199-255 (1989) 

  2. Lee YW. A study on the trend of food poisoning outbreaks, reported cases, in Korea. J. Food Hyg. Saf. 2: 215-237 (1987) 

  3. Kim JK.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sanitation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nd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J. Food Hyg. Saf. 15: 186-198 (2000) 

  4. Bean NH, Griffin PM, Goulding JS, Ivey CB. Foodborne disease ourbreaks, 5 year summary, 1983-1987. J. Food. Protect. 53: 711-728 (1990) 

  5. KREI. Food Consumption Changes for Principal Foods and Prospe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p. 72-75 (1996) 

  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ion. Food-borne Outbreak for 2008.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Accessed Oct. 11, 2008 

  7. Korea Food & Drug Administraio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kfda. go.kr. Accessed Nov. 20, 2008 

  8. Jung SW, Song JH, Lee KG, Hong KW, Lee SJ.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and vinegar against indicator organisms in raw fishes for sushi ingredient during chilled storage. Food Eng. Prog. 10: 192-200 (2006) 

  9. Keeratipibul S, Techaruwichit P, Chaturongkasumit Y. Contmaination sources of coliforms in two different types of fronzen readyto-eat shrimps. Food Control 20: 289-293 (2009) 

  10. Pan TM, Wang TK, Lee CL, Chien SW, Horng CB. Food- borne disease outbreaks due to bacteria in Taiwan, 1986 to 1995. J. Clin. Microbiol. 35: 1260-1262 (1997) 

  11. Yoon YJ, Kim DY, Lee CH, Yoon U, Koh YH, Kim SK, Kim JW.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contaminated in imported frozen seafoods. J. Food Hyg. Saf. 15: 128-136 (2000) 

  12. Muntynen V, Lindstom KA. Rapid PCR-based DNA test for enterotoxic Bacillus cereus. Appl. Environ. Microb. 64: 1634-1694 (1998) 

  13. Jang JH, Lee NA, Woo GJ, Park JH.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Food Sci. Biotechnol. 15: 232-237 (2006) 

  14. Icgen B, Candan GG, Ozcengiz G.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s of chicken, egg and human origin from Turkey. Food Microbiol. 19: 375-382 (2002) 

  15. Ramesh A, Padmapriya BP, Chandrashekar A, Varadaraj MC. Application of a convenient DNA extraction method and multiplex PCR for the direct detection of Stapylococcus aureus and Yersinia enterocolitica in milk samples. Mol. Cell. Probes 16: 307-314 (2002) 

  16. Klein P, Juneja VK. Sensitive detection of viable Listeria monocytogenes by reverse transcription-PCR. Appl. Environ. Microb. 63: 4441-4448 (1997) 

  17. Kim HJ, Lee YW, Lee HJ, Na SS. A study on characteristics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ish in market. J. Food Hyg. Saf. 12: 354-360 (1997) 

  18. Roh PU, Bin SO, Lee JI. A study on contamination of fish sold at wholesale market. Korean J. Vet. Public. Health 21: 375-379 (1997) 

  19. Gopalakrishan ITS, Shrivastava KP. Reliability of Escherichia coli and fecal Sterptococci as indicators of Salmonella in frozen fishery products. Fisher. Technol. 26: 137-139 (1989) 

  20. Lee YW, Kim JH, Park SG, Lee KM.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in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J. Food Hyg. Saf. 11: 57-70 (1996) 

  21. Foster JF, Flower JL, Dacey J. A microbial survey of various fresh and frozen seafood products. J. Food Protect. 40: 300-303 (1977) 

  22. Nair KKS, Nair RB. Bacteriological quality of fresh water fish from Krishnarajendra sagra reservoir. Fisher. Technol. 25: 79-80 (1998) 

  23. Bryan FL.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for retail food and restaurant operations. J. Food Protect. 53: 978-982 (1990) 

  24.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