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생식제품의 미생물 오염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mmercial Saengshik Produc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5, 2009년, pp.798 - 802  

오윤지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금덕 (서흥캅셀) ,  이인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권상호 (안동과학대학 식품계열)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112점의 생식제품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의 오염 미생물을 분석하여 식품공전 기준 규격에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E. coli는 모든 생식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 perfringens는 11제품(9.8%)에서 검출되었고 $10^2$ CFU/g으로 기준 규격에 적합하였다. B. cereus는 25제품(23.3%)에서 검출되었고, 5제품에서 $10^2$CFU/g 이하, 7품에서 $10^2{\sim}10^3$ CFU/g, 13제품에서 $10^3{\sim}10^4$ CFU/g으로 검출되었다. 이 분리 세균은 전형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었는데 TSC agar, MYP agar에서 검출된 균은 그람양성 및 간균이었으며, 생화학 테스트 결과 egg-yolk의 지질을 분해할 수 있는 lecithinas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통되고 있는 생식 제품의 일부는 식품공전의 기준 규격을 초과하는 B. cereus가 검출되어 보다 더 철저한 세균 제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resence of contaminated microorganisms of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cillus cereus in the 112 commercial Saengshik product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the samples, but C. perfringens was detected in 11 products (9.8%). The number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생식 제품들이 식품공전 기준 규격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의 오염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B: Carbohydrate fermentation test raffinose(negativ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공전 중 생식(生食)류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식품공전(식품의약품안전청 2008a)에서는 생식(生食)류는 ‘동․식물성 원료를 주 원료로 하여 건조와 같은 가공처리하여 분말, 과립, 바, 페이스트, 겔상, 액상 등으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그대로 또는 물 등과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Kim YJ(2006)은 소비자들이 생식 제품을 섭취하는 목적으로 체질 개선이 50%, 질병 치유식이 26%, 식사 대용식이 22%라고 보고하였다.
식품공전에서 생식(生食)류의 기준 규격을 어떻게 규정하였는가? Chang et al(2004)은 시판 생식의 제조 공정과 최종 제품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최종 제품의 위해 미생물 검출률이 원료보다 높게 나타나 제조 공정 중 미생물 오염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Chung & Han(2003)은 생식이 선식보다 위생적으로 더 안전할 것이라는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와는 달리 생식이 미생물 위해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생식 제품의 특성상 열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가 부각되면서 2005년 식품공전에 생식류에 대하여 수분은 8.0% 이하,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음성,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는 1g 당 100 CFU 이하,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1g 당 1,000 CFU 이하로 규정하는 기준 규격이 신설되었다(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생식 제품의 위생적인 문제가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Chang et al(2004)은 시판 생식의 제조 공정과 최종 제품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최종 제품의 위해 미생물 검출률이 원료보다 높게 나타나 제조 공정 중 미생물 오염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Chung & Han(2003)은 생식이 선식보다 위생적으로 더 안전할 것이라는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와는 달리 생식이 미생물 위해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생식 제품의 특성상 열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가 부각되면서 2005년 식품공전에 생식류에 대하여 수분은 8.0% 이하,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음성,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는 1g 당 100 CFU 이하,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1g 당 1,000 CFU 이하로 규정하는 기준 규격이 신설되었다(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품공전. 20-19 생식류. 

  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a) 식품공전. 29-15. 생식류. 

  3.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b) 식품공전. 제 10. 일반시험법. 

  4. Chang TE, Moon SY, Lee KW, Park JM, Han JS, Song OJ, Shin S (2004) Microflora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final products of Saengshik. Kor J Soc Food Sci Technol 36: 501-506. 

  5. Cho JI, Park YC, Ko SI, Cheung CY, Lee SM, Cho SY, Lee KH, Lim CJ. Kim OH (2008) Investig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 from Saengsik-classes. Kor J Food Hyg Safety 23: 257-263. 

  6. Chung SS, Han YS (2003) Consumer's recognition, nutrient composition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unsik and Saengsik. Kor J Food Culture 18: 235-243. 

  7. Hwang JY (2008)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terotoxin gene distribution of food-borne Bacillus cereus.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p 107-108. 

  8. Kang SH (2007) Usefulness of bacter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within Bacillus cereus group.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 42-51. 

  9. Kim HZ, Kim YA, Lee DX, Paix HD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from spinach. Kor J Soc Food Sci Technol 35: 97-102. 

  10. Kim JY (2006) Survey of comsumer recognition about the custom-made eating uncooked food-The five elements constitution eating uncooked food.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p 44-45. 

  11. Kim MG (2008)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foods and food safety control.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p 123-125. 

  12. Kwak HS, Whang IK, Park JS, Kim MG, Lee KY, Gho YH, Bae YY Moon SY, Byun JS, Kwon KS, Woo GJ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commercial Sangshik. J food Hyg Safety 21: 41-46. 

  13. Notarmans S, Batt C (1998) A risk assessment approach for foodborne Bacillus cereus and its toxin. J Appl microbiol Symp 84: 51S-61S. 

  14. Seki T, Chung C, Mikami H, Oshima Y (1978) Deoxyribonucleic acid homology and taxonomy of the genus Bacillus. Int J Syst Bacteriol 28: 182-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