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의 신뢰도 연구
A Reliability Study of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4, 2009년, pp.31 - 36  

김중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장종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sher syndrome in stroke patients is the tendency to push strongly toward the paretic side with the non-affected lim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d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Methods: Fourteen patients in the acut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후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 밀기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균형의 확립과 효율적인 보행을 위한 지표로서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에서 우선적으로 제시하는 SCP 평가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SCP 평가도구에 대한 측정자 내, 측정자 간 신뢰도를 검증 하여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 밀기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임상적 평가를 가능하도록 하여 향상된 치료적 중재의 기반을 제공할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밀기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SCP 평가도구에 대한 측정자 내, 측정자 간 신뢰도를 분석함으로써 임상적인 평가의 유용성을 제공하며, 평가 후 기능적 수행 능력 회복을 위한 질적 중재의 기반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급성 뇌졸중 후 밀기증후군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인 SCP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측정자 내, 측정자 간 신뢰도를 분석함으로써 평가도구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서 언급한 밀기 증후군의 전형적인 특성은 반대측 병변(contralesional)으로 기울어진 심한 불균형, 비마비측 사지로 마비측으로 강하게 미는 경향, 기울어진 자세의 외적인 교정에 대한 저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밀기증후를 보이는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밀기증후군을 평가하는 SCP 평가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SCP 평가 도구의 측정자 내 신뢰도는 각 항목에서 최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특징은? 뇌졸중은 뇌의 병변 부위에 따라 운동, 감각, 정신, 지각, 언어 기능의 장애와 같은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키며, 특히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결함은 병변부위의 반대측 신체에서 발생하는 편마비(hemiplegia)와 같은 기능적인 결함을 나타낸다.1 또한 근육의 약화, 운동기능의 마비, 협응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지의 운동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일상생활에 관련된 많은 신체 활동의 제한을 가져오게 된다.2,3 특히 편마비 환자는 비대칭적인 자세와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며, 체중을 사방으로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요소의 상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4 뇌의 우측 반구 병변 또는 후외측 시상의 병변과 같은 원인으로 인한 급성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약 10%,5 더 심한 편마비 환자의 약 63%에서는 일반적인 편마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과는 다른 특정한 불균형 자세를 나타낸다.
편마비 환자의 문제점은? 1 또한 근육의 약화, 운동기능의 마비, 협응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지의 운동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일상생활에 관련된 많은 신체 활동의 제한을 가져오게 된다.2,3 특히 편마비 환자는 비대칭적인 자세와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을 나타내며, 체중을 사방으로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요소의 상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4 뇌의 우측 반구 병변 또는 후외측 시상의 병변과 같은 원인으로 인한 급성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약 10%,5 더 심한 편마비 환자의 약 63%에서는 일반적인 편마비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과는 다른 특정한 불균형 자세를 나타낸다.
급성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증상을 가리키는 말은? 이러한 급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을 “밀기증후군(pusher syndrome)”이라 명칭한다.8 일반적으로 편마비 환자는 모든 자세에서 중력에 대항하여 정렬된 자세를 취하기 어려우며, 비마비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 하기 때문에 기능적인 수행, 일상 생활 동작에 많은 제한이 나타나지만, 밀기증후군인 환자는 모든 자세에서 비마비측 상지나 하지를 사용하여 마비측으로 강하게 밀며, 이러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수동적인 외부의 힘으로 무게 중심이나 몸의 중심선을 비마비측으로 옮기려고 시도를 할 때 강하게 저항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eren J, Rydmark M, Sunnerhagen KS. Virtual reality and haptics as a training device for movemen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 single-cas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8):1247-50. 

  2. Chae J, Johnston M, Kim H et al. Admission motor impairment as a predictor of physical disability after stroke rehabilitation. Am J Phys Med Rehabil. 1995;74(3):218-23. 

  3. Kwon MJ. Daily physic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7;19(5):87-96. 

  4. Shah E, Rowan H. Stroke: Epidemiology, evidence, and clinical practice. 2ed. Oxford, OUP Oxford, 1999. 

  5. Danells CJ, Black SE, Gladstone DJ et al. Poststroke "Pushing": Natural history and relationship to motor and functional recovery. Stroke. 2004;35(12):2873-8. 

  6. Karnath HO, Ferber S, Dichgans J.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postural control in humans. Proc Natl Acad Sci USA. 2000;97(25):13931-6. 

  7. Premoselli S CL, Cerri C. Pusher syndrome in stroke: Clinical, neuropsychological and neurophysiological investigation. Eura Medicophys. 2001;37(1):143-51. 

  8. Davies PM.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New York, Springer, 1985. 

  9. Karnath HO, Johannsen L, Broetz D et al. Prognosis of contraversive pushing. J Neurol. 2002;249(9):1250-3. 

  10. Karnath HO, Brotz D, Gotz A. [clinical symptoms, origin, and therapy of the "Pusher syndrome"]. Nervenarzt. 2001;72 (2):86-92. 

  11. Santos-Pontelli TE, Pontes-Neto OM, Colafemina JF et al. Pushing behavior and hemiparesis: Which is critical for functional recovery in pusher patients? Case report. Arq Neuropsiquiatr. 2007;65(2B):536-9. 

  12. Broetz D, Johannsen L, Karnath HO. Time course of 'pusher syndrome' under visual feedback treatment. Physiother Res Int. 2004;9(3):138-43. 

  13. Karnath HO, Johannsen L, Broetz D et al. Posterior thalamic hemorrhage induces "Pusher syndrome". Neurology. 2005; 64(6):1014-9. 

  14. Baccini M, Paci M, Rinaldi LA.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6;20(4):468-72. 

  15. Hwang BY, Kim HS. A study of changing the functional activities with and without pusher syndrome. J Kor Soc Phys Ther. 1999;11(2):111-4. 

  16. Paci M, Nannetti L. Physiotherapy for pusher behaviour in a patient with post-stroke hemiplegia. J Rehabil Med. 2004;36(4):183-5. 

  17. Karnath HO, Ferber S, Dichgans J. The origin of contraversive pushing: Evidence for a second graviceptive system in humans. Neurology. 2000;55(9):1298-304. 

  18. Perennou DA, Amblard B, Laassel el M et al. Understanding the pusher behavior of some stroke patients with spatial deficits: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 (4):570-5. 

  19. Pontelli TE, Pontes-Neto OM, Colafemina JF et al. Posture control in pusher syndrome: Influence of lateral semicircular canals. Braz J Otorhinolaryngol. 2005;71(4):448-52. 

  20. Baccini M, Paci M, Nannetti L et al.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Cutoff scores for diagnosing "Pusher behavior" And construct validity. Phys Ther. 2008;88(8):947-55. 

  21. Karnath HO, Brotz D. Instructions for the clinical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7;21(4):370-1. 

  22. Santos-Pontelli TE, Pontes-Neto OM, Colafemina JF et al. Contraversive pushing in non-stroke patients. J Neurol. 2004; 251(11):1324-8. 

  23. Ulrika H, Elisabeth B, Ulla S. Clinical assessment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interrater reliability of a swedish version. Adv Physiother. 2008;10:173-7. 

  24. Kwon YH, Lee MY, Kim K. Clinical features and lesion analysis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contraversive pusher syndrome. J Kor Soc Occup Ther. 2007;15(2):67-77. 

  25. Pedersen PM, Wandel A, Jorgensen HS et al. Ipsilateral pushing in stroke: Incidence, relation to neuropsychological symptoms, and impact on rehabilitation.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25-8. 

  26. Kim CS, Kwon YH. Symptoms and prognosis of the pusher syndrome in unilateral brain damag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5;44(3):75-90. 

  27. D'Aquila MA, Smith T, Organ D et al. Validation of a lateropulsion scale for patients recovering from stroke. Clin Rehabil. 2004;18(1):102-9. 

  28. Karnath HO, Broetz D. Understanding and treating "Pusher syndrome". Phys Ther. 2003;83(12):1119-25. 

  29. Lagerqvist J, Skargren E. Pusher syndrome: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to change of a classification instrument. Adv Physiother. 2006;8:154-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