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除)간수 천일염 및 구운소금 절임 배추김치의 품질 및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8, 2009년, pp.996 - 1002  

한귀정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손아름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선미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정지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소희 (동주대학 외식조리 및 영양계열)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추김치 제조 시 소금 종류별 품질 차이 및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제염, 일반 천일염, 제간수 천일염, 구운소금을 사용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pH 변화 및 산도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정제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가 일반 천일염과 제간수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에 비해 발효 속도가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젖산균의 변화에서는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김치의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는 Leuconostoc sp.의 성장이 촉진되고 Lactobacillus sp.의 성장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텍스쳐가 좋았고 관능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AGS 인체 위암세포와 HT-29 인체 결장암세포를 이용한 항암 효과 실험에서도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의 항암 기능성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총 4가지 종류의 소금 중 제간수 천일염과 구운소금으로 제조한 김치가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고 항암 기능성도 증진시켜 김치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품질 및 건강 기능면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해 본다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제간수 천일염이 김치 제조 시 가장 적합한 소금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quality and increase anticancer effect of baechu kimchi by changing various kinds of salt. The baechu cabbages were brined with purified salt (P), natural sea salt (NS),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NS-B) or baked (Guwun) salt (G) and mixed with other ing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통과정 및 보존성 결여 등의 문제로 저장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장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김치 발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금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능은? 김치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식품으 로 열량이 낮고 비타민 및 무기질 함량 등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1). 뿐만 아니라 암 예방, 면역증강, 정장작용, 동맥 경화증 및 혈전억제 등의 효능을 가진 기능성식품으로 우수 성이 인정되고 있다(1,2). 김치는 생 배추를 소금에 절여 물기를 뺀 절임배추에 부재 료와 갖은 양념을 버무려 발효시킨 음식으로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은 발효 및 김치제품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탁용 소금 중, 천일염의 특징은?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탁용 소금은 KS 규격에 따라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나누어지고 정제염은 기계 염과 가공염으로 분류되고 있다(11). 천일염은 염전에 해수 를 유입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염의 결정을 얻은 것으로 국내 산 천일염은 수입염보다 염도가 낮고 Ca, Mg, K 등 천연 미네랄 성분이 풍부해 기능적인 면에서 우수하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12). 정제염 중 기계염은 해수를 이온 교환막을 통해 NaCl을 추출하여 기계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대부분 NaCl로 구성되어 있다.
김치란? 뿐만 아니라 암 예방, 면역증강, 정장작용, 동맥 경화증 및 혈전억제 등의 효능을 가진 기능성식품으로 우수 성이 인정되고 있다(1,2). 김치는 생 배추를 소금에 절여 물기를 뺀 절임배추에 부재 료와 갖은 양념을 버무려 발효시킨 음식으로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은 발효 및 김치제품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소금은 체내에서 신경이나 근육 조절 및 삼투압 조절, 산 과 알칼리의 균형 유지 등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는 생체조절 물질로서(3), 배추를 소금에 절이게 되면 발효과정을 거치면 서 각종 부패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젖산균의 생육을 촉진시 킨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2. Kim YJ. 199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 59-65 

  3. Lee JE. 1992. Salt and hypertension. Korean J Nephrology Suppl 6: 56-60 

  4. Kim JM, Kim IS, Yang CH. 1987. Storage of salted Chinese cabbage for kimchi. I.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alting of Chinese cabbages. J Korean Soc Food Nutr 16: 1075-1084 

  5. Lee CH, Hwang IJ, Kim JK. 1988. Macro 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42-748 

  6. Takahashi M, Kokubo T, Furukawa F, Kurokawa Y, Tatematsu M, Hayashi Y. 1983. Effect of high salt diet on rat gastric carcinogenesi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Gann 74: 28-34 

  7. Kim SH, Park KY, Suh MJ. 1995. Comutagenic effect of sodium chloride in the salmonella/mammalian microsome assay. Foods Biotech 4: 264-267 

  8. Ko YD, Kim HJ, Jun SS, Sung NJ. 1994.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Korean J Sci Technol 26: 199-208 

  9.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Korean J Soc Food Sci 7: 89-95 

  10. Choi HS. 1995. The life of Korean, kimchi . Mil-al, Seoul. p 181 

  11.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12.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13. Kim MJ, Kim SD.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43-348 

  14. Kil JH. 2004. Studies on development of cancer preventive and anticancer kimchi and its anticancer mechanism.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 92 

  15. Cho EJ, Lee SM, Park KY. 1998. Standardization of kinds of ingredient in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228-1235 

  1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p 79 

  17.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 Biotechnol 20: 102-109 

  18.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19.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orph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20. Kim KO, Lee YC. 1998. Sensory evaluation of foods. Hakyon Publishing Co., Seoul. p 192 

  21. Park JG, Kramer BS, Steinber C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22. Skehan P, Storeng R, Monks S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3.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4. Kim SD. 1997. Saltin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9: 187-196 

  25.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26. Kim SJ, Kim HL, Ham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 395-401 

  27. Schimmer AD, Dalili S, Batey RA, Riedl SJ. 2006. Targeting XIAP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cy. Cell Death Differ 13: 179-188 

  28. Park SJ, Park KY, Jun HK. 2001.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6-813 

  29. Park MW, Park YK. 1998.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i (Korean pickled cucumbers)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9-4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