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 종류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몇몇 보고된바 있으나, 김치는 원 부재료를 멸균하지 않는 비살균 개방형 발효로서 원 부재료의 토착미생물에 의하여 발효가 이루어지고 소금의 농도 및 온도 등의 발효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강화된 Leuc.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에 의한 발효조건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이에 사용된 천일염 (4년 숙성, 1년 숙성) 및 정제염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발효숙성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도 변화에서 정제염으로 제조한 김치가 1년 숙성 천일염과 4년 숙성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보다 최적 가식기에 도달하는 시기는 늦었으나 이후 급격히 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1년 숙성 천일염 김치와 정제염 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숙성 33일에 Leuc. citreum GJ7 점유율은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80.2%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1년 숙성 천일염 김치 75.8%, 정제염 김치 61.3%로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치의 황색도 (b)는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정제염 김치가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경도가 가장 견고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김치발효에 가장 적합한 소금은 4년 숙성 천일염으로 나타났다. 김치담금사 사용소금에 따른 이와 같은 차이는 소금의 Na와 Cl 및 각종 무기질 조성 및 그 농도에 기인된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Chinese cabbages were brined with four-years aged solar salt (FS), one-year aged solar salt (OS), and purified salt (PS). The Kimchi was fermented at $7^{\circ}C$ for 33 days. The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the Kimch b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팀은 전보에서 감수성 균주 Lactobacillus plantamm을 이 용하여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강화된 Leuconostoc citreum GJ7이 김치 발효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김치 종균으로 적용 가능함을 보고한바 있다(19,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보(19, 20)의 김치발효의 종균 적용기술을 도입하여 김치의 발효조건(김치 원.부재료, 발효미생물, 발효온도 및 기간 등)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이때 사용된 소금(천일염, 정제염)만을 달리하여 천일염 및 정제염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발효숙성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금을 제외한 다른 발효조건들을 일정한 조건으로 동일하게 적용시켜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팀은 전보에서 감수성 균주 Lactobacillus plantamm을 이 용하여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강화된 Leuconostoc citreum GJ7이 김치 발효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김치 종균으로 적용 가능함을 보고한바 있다(19,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보(19, 20)의 김치발효의 종균 적용기술을 도입하여 김치의 발효조건(김치 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 EJ, Lee SM, Lee SH, Park KY (1988)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s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24-332 

  2. Kim YJ (199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 59-65 

  3.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69-182 

  4.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Par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5. Maurice ES, Shike M, Ross AC, Caballero B, Cousins RJ (2005) Nutrition and diet in hypertension.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Theodore AK, Kotchen JM eds, 10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USA, p 1095-1107 

  6. Shin DH (1994)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rker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The 1st symposium of science of kimchi. Korean Soc Food Sci Tech, p 226-245 

  7. Ahn SJ (1988)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4, 39-50 

  8.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9. KFDA. (2011) Food code.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0. Hahn YS (2003)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3-747 

  11.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2000) Fermented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12. Kim SJ, Kim HL, Ham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 395-401 

  13. Kim JM, Kim IS, Yang CH (1987) Storage of salted Chinese cabbages for kimchi. I.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alting of Chinese cabbages. J Korean Soc Food Nutr, 16, 1075-1084 

  14. Lee CH, Hwang IJ, Kim JK (1988) Macro 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s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42-748 

  15.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6. Oh JY, Hahn YS, Kim YJ (1999)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02-508 

  17. Chang MS, Cho SD, Kim GH (2010) Physi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Korean pickled cabbage)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7, 30-35 

  18. Jeon HY (2009) New growth engines: Strategy for high value-added food industry. Food Sci Industry, 42, 3-11 

  19. Chang JY, Chang HC (2010) Improvements i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kimchi by fermentation with the induced bacteriocin-producing strain, Leuconostoc citreum GJ7 as a starter. J Food Sci, 75, 103-110 

  20. Chang JY, Chang HC (2011) Growth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 by kimchi prepared with bacterioicn-producing starter culture. J Food Sci, 76, 72-78 

  21. Chang JY, Lee HJ, Chang HC (2007) Identification of the agent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FRI 464 that enhances bacteriocin production by Leuconostoc citreum GJ7. J Appl Microbiol, 126, 159-166 

  2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3. Shin TS, Park CK, Lee SH, Han KH (2005) Effects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24.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Jung ST, Jung JH (1996) Fermentation engineering. SunJin Munhoasa, Seoul, Korea, p 146-147. 

  25. Itokawa, Y, Tanaka C, Fujiwara M (1974)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in rats with calcium and magnesium deficiencies. J Appl Physiol, 37, 835-836 

  26.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ety, 13, 360-364 

  27. Kim SD (1997) Saltin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9, 187-196 

  28.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2009)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96-1002 

  29. Gnanasekharn V, Shewfert RL, Chinnan MS (1992) Detection of color changes in green vegetables. J Food Sci, 57, 149-154 

  30. Park MW, Park YK (1988)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i(Korean pickled cucumbers)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9-424 

  31.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32. Rhee HS (1995)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 83-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