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Eels (Conger myrias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8, 2009년, pp.1069 - 1075  

류근영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성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원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민석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인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준형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철희 (순천청암대학 호텔외식조리과) ,  정찬희 (백석문화대학 관광일본어) ,  김경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식산업에서의 붕장어 이용성 증대에 기여하고자 계절에 따른 일반성분, 지방산, 핵산관련성분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붕장어의 조지방 함량이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붕장어의 산란기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 지방산 조성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stearic acid,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palmitoleic acid 그리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인 DHA, EPA가 주요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지방산 중 oleic acid가 36.76$\sim$45.11%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봄에서 겨울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비의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핵산관련성분 중 맛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IMP(3.617$\sim$5.524 $\mu$ mol/g)와 Hx(0.913$\sim$2.238 $\mu$ mol/g) 그리고 무미의 HxR(0.625$\sim$1.652 $\mu$mol/g)이 ATP(0.058$\sim$0.083 $\mu$mol/g), ADP(0.145$\sim$0.161 $\mu$mol/g), AMP(0.166$\sim$0.179 $\mu$mol/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어류의 지미성분인 IMP와 Hx의 함량이 7.219 $\mu$mol/g으로 겨울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14,178.7$\sim$7,802.6 mg%), aspartic acid(4,669.2$\sim$8,259.0 mg%), lysine(4,198.3$\sim$7,540.8mg%), leucine(3,843.6$\sim$6,782.1 mg%)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histidine(199.6$\sim$644.4 mg%), glycine(94.8$\sim$152.2 mg%), alanine(35.3$\sim$71.2 mg%), glutamic acid (44.1$\sim$70.6 mg%)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정미물질 중 맛과 관련 있는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1,179.2과 1,605.2 mg%로 높게 나타났다. 어류의 주요 정미성분의 함량으로 확인한 결과 핵산관련성분은 겨울철이, 유리아미노산은 여름철이 가장 많았으나 이들 정미성분의 함량이 특정 계절에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붕장어의 맛은 정미관련성분들과 관련이 크지만 단순히 정미성분만이 아닌 다른 여러 성분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s used as a well-being food in the foodservice industry in Korea. We analyzed not only the proximate composition but also the taste components affecting conger eel, which are fatty acids, nucleotides, amino acids, etc. Concerning the composition, the crude lipid wa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붕장어에 관한 식품학적 기초 자료 습득과 산업적 이용의 증대를 위해 붕장어의 일반성분과 맛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 아미노산 그리고 핵산관련성분의 조성 특징을 계절별로 비교하여 맛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의 맛은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가?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의 맛은 주로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성분 그리고 여러 성분들의 혼합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유리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와 핵산관련성분 중 IMP나 Hx와 같은 대표적인 정미성분들의 함량이 맛의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붕장어는 무엇인가?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뱀장어목 붕장어과(congr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서 뱀장어와 같이 원통형이며 긴 형태를 하고 있지만 뱀장어보다도 입이 크고, 위아래 턱에 하얀 이가 있다. 몸길이는 암컷이 90 cm 전후가 되며, 수컷은 암컷의 반인 40~50 cm정도 이다.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어류의 맛과 관련하여 아미노산과 핵산관련성분 등의 분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의 맛은 주로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성분 그리고 여러 성분들의 혼합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유리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와 핵산관련성분 중 IMP나 Hx와 같은 대표적인 정미성분들의 함량이 맛의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어류 등의 해산물(7-18)이나 육류(19-21)의 맛과 관련하여 아미노산과 핵산관련성분 등의 분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지거나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ee EH, Kim SK, Cho GD. 1997. Nutritional component and health in the fishery resources of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Youil Publishing Co., Busan. p 43-46 

  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e and forestry. p 414 

  3. 佐藤魚水. 2000. 食材圖鑑-魚. 永岡書店, 東京. p 86 

  4. Choi JH, Choi SH, Kim JB, Park JH, Oh CW. 2008.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Kor Fish Soc 41: 282-288 

  5. Oh KS, Moon SK, Lee EH. 1989.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sea eel by siz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92-196 

  6. Heu MS, Lee TS, Kim HS, Jee SJ, Lee JH, Kim HJ, Yoon MS, Park SH, Kim JS. 2008.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ang from conger eel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77-484 

  7. Kim HY, Shin JW, Sim GC, Park HO, Kim HS, Kim SM, Cho JS, Jang YM. 2000.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wild and cultured eel, puffer and snake h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58-1067 

  8. Venugopal V. 2002. Biosensors in fish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Biosens Bioelectron 17: 147-157 

  9. Kassemsarn BO, Sanz Perez B, Murray J, Jones NR. 1963. Nucleotide degradation in the muscle of iced haddock (Gadus aeglefinus), lemon sole (Pleuronecetes microcephalus), and plaice (Pleuronecetes platessa). J Food Sci 28: 28-30 

  10. Hiltz DF, Dyer WJ, Nowlan S, Dingle JR. 1972. Variation of biochemical quality indices by biological and technical factors. In Fish Inspection and Quality Control. Kreuzer R, ed. Fishing News (Books) Limited, London, UK. p 191-195 

  11. Gill TA. 1990. Objective analysis of seafood quality. Food Rev Int 6: 681-714 

  12. Fletcher GC, Olley J, Statham JA, Vail AMA. 1986. Inosine monophosphate, hypoxanthine and taste panel scores for fish flavor acceptability. CSIRO, Tasmanian Regional Laboratory Occasional Paper No. 12. Tasmania, Australia 

  13. Konosu S, Maeda Y, Fujita T. 1960. Evaluation of inosinic acid and free amino acids as tasting substance in the Katsuwobushi stock. Bull J apan Soc Sci Fish 26: 45-48 

  14. Huss HH. 1988. Fresh fish quality and quality changes. No 29. FAO. Rome, Italy 

  15. Murata M, Sakaguchi M. 1986. Storage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white and dark muscle in ice: Changes in content of adenine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J Food Sci 51: 321-326 

  16. Watabe S, Kamal M, Hashomoto K. 1991. Postmortem changes in ATP, creatine phosphate, and lactate in sardine muscle. J Food Sci 56: 151-153 

  17. Hong CH. 2003. Study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of the raw fish in the foodservice industry.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p 7 

  18. Kim JS, Oh KS, Lee JS. 2001.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between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nd sea eel (Muraenesox cinereus) as a sliced raw fish meat. J Korean Fish Soc 34: 678-684 

  19. Cho SH, Seong PN, Kim JH, Park BY, Baek BH, Lee YJ, In TS, Lee JM, Kim DH, Ahn CN. 2008. Calorie, cholesterol, collagen, free amino acids,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333-343 

  20. Kim YG, Yoo YM, Kim JH, An JN. 2007. The common sense of meat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Suwon, Korea. p 15-16 

  21. Ahn DH, Park SY. 2002.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47-552 

  22. Lee EH, Han BH. 1972. Degradation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ea food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 17-24 

  2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4. AOCS. 1997. Official Method Ce 1-62. 15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25. Hirano T, Nakamura H, Suyama M. 1980 Quality of wild and cultured ayu-II seasonal variation of proximate composition. Bull J apan Soc Sci Fish 46: 75-78 

  26. Ahn CB, Shin TS. 2002.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and fatty acids of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Korean J Life Sci 12: 233-241 

  27. Choi JH, Rhim CH, Bae TJ, Byun DS, Yoon TH. 1985.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7.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Bull Korean Fish Soc 18: 439-446 

  28. Fletcher GC, Statham JO. 1988. Shelf life of sterile yellow- eyed mullet (Aldrichetta forsteri ) at 4oC. J Food Sci 53: 1030-1035 

  29. Yamaguchi S. 1991. Roles and efficacy of sensory evaluation in studies of taste. J J apan Soc Food Sci Technol 38: 972-978 

  30. Jap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1984. Method of food analysis. Kouring, Tokyo, Japan. p 491-508 

  31. Ohta S. 1976. Food seasoning. Saiwaisyobow, Tokyo, Japan. p 146-187 

  32. Shou H. 1969. Food component and taste. J Food Indu J ap 16: 83-87 

  33. Kato H, Rhue MR, Nishimura T. 1989. Role of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Amer Chem Soc 388: 158-174 

  34. Ney KH. 1979. Bitterness of peptides: amino acid composition and chain length. Amer Chem Soc 115: 149-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