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朝鮮)의 왕실(王室) 차처방(茶處方)(다음(茶飮))의 운용(運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the Medicinal Tea in Chosu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5 no.3 = no.27, 2009년, pp.11 - 17  

김종오 (경희대학교 의사학교실) ,  오준호 (경희대학교 의사학교실) ,  김남일 (경희대학교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treats with transitional development of medico-hygienical situation in district Yanbian along with the evolution in specific field of medicine. This work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shaping TKM identity as TCM embraces Chao medicine asserting it as one included in TCM. This research d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茶飮은 한약의 제형으로써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었다. 그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자.
  • 논자는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통해 이러한 차가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음료보다는 의학적인 용도로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원형을 의학서적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대부분임을 발견하여 이에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승정원일기』는 무엇인가?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맡으면서 비서실의 기능을 했던 기관인 승정원에서 날마다 취급한 문서와 사건을 일자별로 기록한 책이다. 원래 건국 초부터 작성된 것으로 여겨지나 현재는 1623년(인조 1)부터 1910년(융희 4)까지 288년간의 기록 3,243책이 남아있으나3) 현재 DB에서 검색 가능한 부분은 더 적다.
차 처방에서의 규칙은? 蔘茶,12) 금은화차,13) 상지차,14) 삼귤차,15) 복령차,16) 山梔茶,17) 적소두차18) 등 많은 처방이 직접적으로 茶飮으로 지칭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한약 처방들은 五苓散, 八味地黃丸, 補中益氣湯 등과 같이 고유의 제형을 나타내는 글자를 이름의 끝에 가지고 있다. 茶飮에도 이러한 일반적인 명명의 원칙이 적용이 된다.
내복약 6가지는 무엇인가? 『승정원일기』를 이용한 조선시대 왕실의료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로 홍세영의 연구8)가 있다. 왕실의료의 치료법 중 내복약을 湯, 丸·膏制, 茶飮, 單方, 食治, 乳道의 6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茶飮은 가벼운 질환을 다스리거나 탕제의 효과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고 하였다. 하지만 다음은 자주 사용된 만큼 다양한 질환에 처방되었고 탕제를 보조하는 것은 다음 활용의 아주 일부분에 불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혜정, 오재복, 배숙희, 전통 과일 음청류의 역사적 고찰과 제조법의 표준화, 식품과학과 산업, 2005;12. 

  2. 신민자, 최영진, 임원십육지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료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 Journal of East Asian of Dietary Life, 1998;8(2). 

  3. 申炳周, 승정원일기의 자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조선왕조실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 2001;24. 

  4. 홍세영, 승정원일기의 임상의학 기록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5. 김종오, 東醫寶鑑에 나타난 茶의 의학적 운용,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許浚, 東醫寶鑑(영인본), 서울:남산당, 1998 

  7. 許浚, 대역동의보감, 동의보감출판사, 2005. 

  8. 승정원일기 데이터베이스 

  9.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