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관절염 유병율과 건강습관 관련 위험요인 분석
Prevalence of Arthritis and Health Behavior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9, 2009년, pp.1187 - 1194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정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관절염 유병율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비만도,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관절염 발생의 관련성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 1,462명 중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았거나 또는 개인의 증상을 토대로 자가 진단한 경우를 관절염군(총 322명, 남자 72명, 여자 250명), 관절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를 정상군(총 1140명, 남자 472명, 여자 668명)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여자의 관절염 유병율이 남자에 비해 14% 높았고, 남녀 모두 관절염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신체 계측과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남자는 신장,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에 있어서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관절염군에서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생활습관을 조사한 결과, 흡연, 음주 및 운동 습관에 있어서 남녀 모두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농사활동 정도에 있어서도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절염발생 위험 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 위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1.98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45$\sim$64세보다 65세 이상에서 위험도가 높았다.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자는 이들이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관절염 발생 위험도도 증가하였다. 혈액의 지질, 총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치는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남자에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관절염 발생 위험성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흡연, 음주 및 운동여부가 관절염 발생의 위험인자라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남녀 각각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중위수 미만 섭취자와 중위수 이상 섭취자로 이등분하여 관절염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과 관련이 있는 영양소는 남자의 경우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로 나타났으나 남자는 비타민A와 리보플라빈의 섭취가 적은 경우에 여자는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의 섭취가 많은 경우에 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심한 관절염환자가 포함되지 못한 점, 횡단 연구로 식생활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없었던 점, 대상자가 안동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등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 관절염과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 연구는 비만도 및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소 섭취상태가 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관절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of arthritis in Andong rural area in 2003. The subjects were 1,462 people (544 males, 818 females) aged 45 years and over. The arthritis group was composed of 322 people (72 males, 250 females), diagnosed by doctor or self-di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관절염 유병율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비만도,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관절염 발생의 관련성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 1,462명 중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았거나 또는 개인의 증상을 토대로 자가 진단한 경우를 관절염군(총 322명, 남자 72명, 여자 250명), 관절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를 정상군(총 1140명, 남자 472명, 여자 668명)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 생활습관으로 흡연, 음주 및 운동에 관해 조사하였다. 흡연은 현재 흡연 여부와 피우다 끊은 경우에 대해 조사하였고, 음주 여부와 음주량을 조사하여 음주자의 경우에는 WHO(22)에서 고위험 음주로 분류하는 일일 알코올 섭취량 남자 60 g, 여자 40 g을 기준으로 이상과 미만 섭취자로 구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관절염 유병율을 조사하고, 비만도 및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소 섭취상태가 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농촌지역 주민들의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만성질병 편에 의한 45세 이상 성인에게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은 무엇인가? 이처럼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그에 따른 만성노인성 질환의 증가가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게 마련이다.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만성질병 편에 의하면 45세 이상 성인에게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 관절염이며, 관절염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액은 GDP의 약 0.11%(약 6,249억 원)로 추산되어 뇌졸중이나 소화성 궤양에 의한 생산성 손실액보다 1.
관절염을 분류하면? 관절염에는 노화 현상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비염증성 관절염인 퇴행성관절염과 전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고 자가면역기전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성 관절염인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으며, 이 두 관절염은 완전히 다른 병인을 가진 상이한 질환으로 위험요인과 치료방법도 완전히 다르다(3). 본 연구에서 관절염이라 함은 무릎퇴행성 관절염을 주로 한 퇴행성 골관절염(이하 관절염)을 말한다.
관절염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중년 및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비만도, 혈액의 지질과 공복혈당 상태,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상태와 관절염 발생의 관련성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각 지역 보건소를 방문한 1,462명 중 의사로부터 관절염 진단을 받았거나 또는 개인의 증상을 토대로 자가 진단한 경우를 관절염군(총 322명, 남자 72명, 여자 250명), 관절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를 정상군(총 1140명, 남자 472명, 여자 668명)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여자의 관절염 유병율이 남자에 비해 14% 높았고, 남녀 모두 관절염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신체 계측과 혈액의 생화학적 조사 결과, 남자는 신장, 체중,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에 있어서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관절염군에서 체지방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에서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생활습관을 조사한 결과, 흡연, 음주 및 운동 습관에 있어서 남녀 모두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농사활동 정도에 있어서도 관절염군과 정상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절염발생 위험 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 위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1.98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45$\sim$64세보다 65세 이상에서 위험도가 높았다.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자는 이들이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나, 여자에서는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관절염 발생 위험도도 증가하였다. 혈액의 지질, 총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치는 관절염 발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남자에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관절염 발생 위험성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흡연, 음주 및 운동여부가 관절염 발생의 위험인자라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영양소 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남녀 각각의 중위수를 기준으로 중위수 미만 섭취자와 중위수 이상 섭취자로 이등분하여 관절염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관절염 발생과 관련이 있는 영양소는 남자의 경우 비타민 A와 리보플라빈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로 나타났으나 남자는 비타민A와 리보플라빈의 섭취가 적은 경우에 여자는 지방, 칼슘, 철분 및 비타민 A의 섭취가 많은 경우에 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심한 관절염환자가 포함되지 못한 점, 횡단 연구로 식생활과 질병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없었던 점, 대상자가 안동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 등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nual report on the statistics. 200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 Andong City statistics annual report. 2006. Andong City 

  3.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Health Survey -. 200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4. Grazio S. 2005. Osteoarthritis-epidemiology, economics and quality of life. Rheumatizam 52: 21-29 

  5. Peat G, McCamey R, Croft P. 2001. Knee pain and osteoarthritis in older adults: a review of community burden and current use of primary health care. Ann Rheum Dis 60: 91-97 

  6. Issa SN, Sharma L. 2009. Epidemiology of osteoarthritis: an update. Curr Rheumatol 8: 7-15 

  7. Jung YM, Lee SE, Chung KS.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health status in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J Korean Gerontol Soc 26: 291- 303 

  8. Chung SK, Nam CH, Shin DM, Yang SH, Kim GY, Lee MK, Moon KN. 2002. The analytic study of the condition of Korean patients with arthritis and its related factor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8: 306-321 

  9. Kil SY, Oh WO, Suk M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psychosocial factors of patients with arthritis. J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 79-86 

  10. Zhang Y, Jordan JM. 2008. Epidemiology of osteoarthritis. Rheum Dis Clin N Am 34: 515-529 

  11. ADA reports. 2005.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across the spectrum of aging. J Am Diet Assoc 105: 616-633 

  12. Reginster JY. 2002. The prevalence and burden of arthritis. Rheumatology 41(suppl. 1): 3-6 

  13. Messier SP. 2008. Obesity and osteoarthritis: disease genesis and nonpharmacologic weight management. Rheum Dis Clin N Am 34: 713-729 

  14. Felson DT. 1996. Weight and osteoarthritis. Am J Clin Nutr 63: 430s-432s 

  15. Sturmer T, Gunther KP, Brenner H. 2000. Obesity, overweight and patterns of osteoarthritis: the Ulm Osteoarthritis Study. J Clin Epidemiol 53: 307-313 

  16. Davis MA, Ettinger WH, Neuhaus JM. 1990. Obesity and osteoarthritis of the knee: evidence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 Seminars in Arthritis and Reumatism 20: 34-41 

  17. Zhang W, Moskowitz RW, Nuki G, Abramson S, Altman RD, Arden N, Bierma-Zeinstra S, Brandt KD, Croft P, Doherty M, Dougados M, Hochberg M, Hunter DJ, Kwoh K, Lohmander LS, Tugwell P. 2008. OARSI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ip and knee osteoarthritis, Part II: OARSI evidence-based, expert consensus guidelines. Osteoarthritis Cartilage 16: 137-162 

  18. Lee JH, Chung EJ, Lee YH, Ji JD, Ahn HS. 2008. Antioxidant nutrient intakes and health behaviors of rheumatoid arthritic patients. Korean J Comm Nutr 13: 253-262 

  19. Kjeldsen-Kragh J. 1999. Rheumatoid arthritis treated with vegetarian diets. Am J Clin Nutr 70: 594s-600s 

  20. Lee HS, Kwun IS, Kwon CS. 2008. Nutritional risks analysis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98- 1008 

  21. Lee HS, Kwun IS, Kwon CS. 2008.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r residents (50 years and over) in Andong area (2).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99-1608 

  22. WHO,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Dependence.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2nd ed 

  23. Park NG, Kim WK, Shin DH, Choi YM, Lee YJ, Lee EB, Kim HA, Kim YK, Park BJ, Hong SC, Song YW. 2003.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in two communities in Korea. J Korean Rheumatism Assoc 10: 151-157 

  24. Nieman DC. 1999.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In A health-related approach. 4th ed. Mountain View, Mayfield, CA, USA 

  25.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estern Pacific Reg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