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어적 읽기 이해력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the Test of Oral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 for Lower 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1, 2009년, pp.59 - 75  

박찬화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Test of Oral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 (Gardner, 2000) for Korean lower 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Subjects were 122 first to third grade students, tested individually. The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sub-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발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Gardner (2000)가 개발한 ‘구어적 읽기와 이해력 검사 (Test of Oral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를 우리나라 문화와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적용할 때읽기 이해력 평가를 위한 타당한 도구인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측정하는 도구인 Gardner(2000)의 ‘구어적 읽기와 이해력 검사(Test of Oral Reading and Comprehension Skill)'를 수정․보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다형 평가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언어적 반응이 요구되지 않는 이러한 형태의 측정도구는 다양한 선택항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두 번째 방법인 양자택일 과제보다 더 높은 인지적 과정이 요구되며, 집단적 수행에 적절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 거나 시간이 부족할 경우 임의적으로 문항을 선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표준화된 읽기 이해 검사는 다양한 본문들 중동일한 본문을 같은 학년 아동들에게 제시하고 동일한 선다형 질문에 반응하게 한다.
읽기 이해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특히 사전 지식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자유 연상과제 수행 능력은 6학년 아동이 이야기 글을 이해하고 다시 말하는(retelling) 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Leslie & Cooper, 1993). 읽기 이해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인쇄물 지식, 단어재인, 구어적 읽기 유창성, 어휘력, 이야기 추론 능력 등이 있다. 그 중 읽기 이해와 관련된 실제 요인으로 개인의 어휘력을 들 수 있다(Paris, Carpenter, Paris, & Hamilton, 2005).
개방형 질문 평가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개방형 질문’ 도구의 단점은 아동이 질문에 대해 언어적 반응을 해야만 하고 표현적 언어가 부족한 아동의 이해력을 과소평가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장점은 부정확한 반응을 보고 오류의 원인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포착하기 힘든 요인을 밝혀줄 수 있다(Cain et al, 2001; Cain, Oakhill, & Elbro, 2003). 또한 이 검사는 아동이 제한된 시간 내에 수행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이해 질문에 대해 한 두 단어나 문장으로 대답이가능하므로 아동의 반응을 모두 적을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동일(1997). 읽기 발달과 읽기 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초등학교 교사 능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논총, 14(2). 

  2. 김동일(2000).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읽기 검사 요강. 서울 : 학지사. 

  3. 박현숙(2003). 전산화된 읽기 평가-교수 도구(C-RIC). 서울 :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4. 윤혜경(1997). 아동의 한글읽기 발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 이경화(2006). 읽기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 박이정. 

  6. 이차숙(2004).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서울 : 학지사. 

  7. Aarnoutse, C., & Leeuwe, J. (1998). Rela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reading fluency.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4(2), 143-166. 

  8. Alvermann, D. E., Smith. L. C., & Readance, J. E. (1985). Prior knowledge activation and the comprehension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text. Reading Research Quanerly, 22, 331-346 

  9. Caldwell, J. S. (2008). Comprehension assessment.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10. Cain, K., & Oakhill, J. (1999). Inference making ability and its relation to comprehension failure. Reading and Writing, 11, 489-503. 

  11. Cain. K., & Oakhill, J. (2006). Assessment maners :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697-708. 

  12. Cain, K., Oakhill, J. V., Barnes, M. A., & Bryant, P. E. (2001). Comprehension skill, inference making ability and their relation to knowledge. Memory and Cognition, 29, 850-859. 

  13. Cain, K., Oakhill, J. V., & Elbro, C. (2003). The ability to learn new word meanings from context by school age-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comprehension difficulties. Journal of Child Language, 30, 681-694. 

  14. Carpenter, R. D., & Paris, S. C. (2005). Issu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early reading assessment. In Paris, S. G., & Stahl, S. A.(Eds),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Mahwah, New Jersey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5. Collins, E. W. (2000). The immediate and sustained effects of the Reading Recovery program on grade one and grade four at-risk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Illinois University. 

  16. Cunningham, A. E., & Stanovich, K. E. (1997). Early reading acquisition and its relation to reading experience and ability 10 years l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33, 934-945. 

  17. Fletcher, J. K. (2006). Measuring reading comprehension.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10(3), 323-330. 

  18. Frakas, G., & Vicknair, K. (1996). Reading One-One in Human Capital or Cultural Capital. New York : Aldine de Gruyter. 

  19. Francis. D. J., Snow, C. E., August, D., Carlson, C. D., Miller, J., & Iglesias, A. (2006). Measures of reading comprehension: 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10(3), 301-322. 

  20. Gardner, M. F. (2000). Test of Oral Reading ana Comprehension Skill. Hydesville, CA :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ublications, Inc. 

  21. Gillet, J. W., & Temple, C. (2000). Understanding reading problems(5th Ed.) New York: Longman. 

  22. Hiebert, E., & Taylor, B. M (2000). Beginning reading instruction : Research on early intervention. In M. L. Kami, P. B. Mosenthal, P. D. Pearson & R. Barr(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III(pp99-108).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Kintsch, w., & Kintsch, E. (2005). Comprehension. In S. G. Paris., & S. A., Stahl(Eds.),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Leslie, L., & Caldwell, J. (2006). Qualitative reading inventory-4. Boston: Allyn & Bacon. 

  25. Leslie, L., & Cooper, J. (1993). Assess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prior knowledge assessment. In D. J. Leu, & C. K. Kinzer(Eds.) Examining central issues in literacy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Chicago, IL: National Reading Conference. 

  26. Lipson, M. Y. (1983). The inference of religious affiliation on children' memory for test informat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18, 448-457. 

  27. Oakhill, J. V. (1982). Constructive processes in killed and less-killed comprehenders' memory for sentence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3, 13-20. 

  28. Oakhill, J. V. Yuill, N., & Parkin, IA. (1986). On the nature of difference between skilled and less-killed comprehenders. Journal of Research and Reading, 9, 80-91. 

  29. Paris, S. G., Carpenter, R. D., Paris, A. H., & Hamilton, E. E. (2005). Spurious and genuine correlates of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In S. G. Paris, & S. A. Stahl(Eds),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Mahwah, NJ : Lawrence Erlabum Associates. 

  30. Pinnell, G. S. (1989). Reading Recovery: Helping the at-risk children learn to read. Elementary School Journal, 90, 161-183. 

  31. Rasinski, T. (2000). "Speed does matter in reading." The Reading Teacher, 54(2), 146-151. 

  32. Schacter, J. (2001). Reading programs that work: A review of programs for pre-kindergarten to 4th grade. Santa Monica, CA : Milken Family Foundation. 

  33. Slavin, R. E., Madden, N. A., Dolan, L. J., Wasik, B. A., Ross, S., Smith, L., & Dianda, M. (1996). Success for all : A summary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for Students Paced At Risk, 1(1), 41-76. 

  34.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35. Spear-Swerling, L., & Sternberg, R. J. (1994). The road not taken: A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of reading disabilit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7(2), 91-103. 

  36. Spooner, A. L. R., Baddeley, A. D., & Gathercole, S. E. (2004). Can reading accuracy and comprehension be separated in the Neal Analysis of Reading Abilit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187-204. 

  37. Stahl, S. A., Chou-Hare, V., Sinatra, R., & Gregory, J. F. (1991). Defining the role of prior knowledge and vocabulary in reading comprehension : The retiring of Number 41.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3, 487-508. 

  38. Swaim, J. E. (1972). A comparison of oral reading, silent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Education; 92(4), 111-115. 

  39. Taft, M. L., & Leslie, L. (1985).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oral reading accuracy on miscue and comprehension. Journal of Reading Behavior, 17, 163-179. 

  40. Tabors, P., Snow, S., & Dickinson D. (2001). Home and schools together : Supporting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In D. Dickinson & P. Tabors(Eds.),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Baltimore : Brookes. 

  41. Williams, J., Scharer, P. L., & Pinnell, G. S. (2000). Literacy Collaborative 2000. Research Report.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