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간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fter-School Happiness by Stress and Playfulnes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3, 2009년, pp.37 - 53  

김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영유아보육학) ,  이정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 한국성서대학교) ,  이인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노원구립 꿈나무방과후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aspects of gender and grade related to the after-school happiness of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happiness and their stress and playfulness.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of 124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attended 4 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정한 연구도구가 연구의 대상인 방과후 교실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를 2008년 4월 15일에서 18일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과 유사한 서울시 양천구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 8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하여 아동의 행복감 측정도구와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수정·보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방과후 교실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그리고 행복감과 놀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규 학교 일정이 끝난 후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생활하지 못하고 방과후 교실에서 생활하는 우리 사회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및 놀이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혀줌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그리고 놀이성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방과후 교실에서 생활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들은 언제 행복을 경험하는가? 복지, 안녕, 웰빙이라는 용어로 일컬어지는 행복이란 의식주로부터의 자유, 마음의 평화와 만족감에서 오는 뿌듯함 등과 같은 감정의 상태를 의미하는데(박영선, 2006; 장연집·강차연·손승아·안경숙, 2008), 사람들은 놀이, 음악, 운동과 같은 어떤 일에 몰입하면서 몸과 마음을 정신의 흐름 속에 맡기는 몰입(플로우, flow)의 상태를 통하여 자신의 목표를 이룰 때 진정한 행복을 경험한다(김연화, 2007; Csikszentmihalyi, 1975). 행복한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은 삶의 역경과 두려움, 분노, 불안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집중과 유쾌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정서를 갖게 된다(Diener, 1984;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최신국어대사전에서의 행복이란 무엇인가? 즉 우리 사회에서는 방과후 교실에 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에게 적절한 문화적인 생활을 누리고, 폭력이나 공포, 학대나 방임으로부터 보호받고, 자신의 잠재력을 최적의 상태로 성장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을 받으며, 자신의 의견에 따라 의사결정 할 수 있는 등의 기본권을 보장해주고 있는지에 관하여 돌아보아야 한다(이배근, 2008)는 것이다. 심신의 상태가 부족함이 없는 상태(국립국어연구원, 1999), 생활의 만족과 삶의 보람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최신국어대사전, 1996)를 행복의 의미로 정의할 때 방과후 교실에 다니는 우리 사회의 초등학생들이 과연 행복한 생활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우리나라 아동기의 초등학생들이 방과후에도 행복한 시간을 갖지 못하는 요인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아동기는 늘 행복하고 즐거운 시기로 생각하기 쉬우나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인하여 가정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생활하는 방과후 교실 아동들에게 아동기가 반드시 행복한 시기로서 존재하는 것만은 아니다. 현재 우리 사회의 초등학생들은 천재아 선호사상, 과잉교육, 학업주의 열풍 등으로 인하여 방과 후에도 스스로 시간을 계획하고 놀이에 몰입하여 즐거움을 느끼는 행복한 시간을 거의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기범, 2008;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 2008). 정규 교과가 끝난 방과 후에도 대부분의 아동들은 미술, 각종 악기, 스케이트, 컴퓨터, 영어, 웅변 등 특별활동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정미라·김명순·박은혜·신동주, 2006), 특기적성교실과 같은 학교보충학습에 37%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박효정·김홍원·연은경,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강성군. 장현갑(1996).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서울 : 학지사. 

  2. 강준호(2004). 놀이중심 유아 체육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부(2000). 교육통계연보. 

  4.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5.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6. 김명희(2004).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여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연화(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영은(2008).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및 우정과의 관계 연구. 한국성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진. 김영환. 김영선(2007). 초등학생의 놀이 활동 실태 및 요구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21-141. 

  10. 김영희(2001). 성격유형과 놀이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4(1), 31-40. 

  11. 김재인. 유희정. 조연순. 박영애. 서영숙. 이옥. 이향란. 이순형. 최일섭. 이소은. 황혜신(2000). 방과후 아동보육실태 분석과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12. 김정원. 김유정(2006). 방과후 프로그램의 실태와 부모와 교상의 요구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10(1), 49-72. 

  13. 김정원. 김유정. 이정아(2006). 방과후 아동지도. 파주 : 공동체. 

  14. 김정원. 이정아(2002). 유아의 방과후 활동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121-137. 

  15. 김지혜(2005). 유아의 놀이성이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진영. 김정원. 전선옥(2001). 유아 부모 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 : 창지사. 

  17. 류방란. 최상군(2004).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운영방안.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8. 류자혜(2002).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매일경제(2005). 방과후 교육 내년부터 '실시' 매일경제. 11월 4일 보도자료 http://news.mk.co.kr/newsRead.에서 2009년 4월 21일 인출. 

  20. 박영선(2006).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내부-외부 통제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효정. 김홍원. 연은경(2005).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운영 실태에 관한 정책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2.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 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상해(2008). 미술치료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윤명희(2006). 유아의 창의성과 가정환경 및 놀이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윤성남(2000).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활동을 통한 놀이지도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기범(2008).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의 행복감.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pp.51-65. 한국아동학회. 

  28. 이배근(2008).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pp.3-19. 한국아동학회. 

  29. 이순형. 이소은. 이완정. 이혜승. 이영미. 성미영. 권기남(2002). 21세기 방과후 아동보육. 서울 : 교문사. 

  30. 이정은(1992).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화(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지현. 김유정. 이정아(2006). 동화를 이용한 음운인식활동이 저소득층 초등 방과후 교실 1,2학년 아동의 읽기, 학습동기 및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123-141. 

  33. 이훈구(1998). 행복심리학. 서울 : 법문사. 

  34. 장연집. 강차연. 손승아. 안경숙(2008). 정신건강. 서울 : 파란마음. 

  35. 정미라. 김명순. 박은혜. 신동주(2006).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서울 : 창지사. 

  36.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2008). 한국의 아동은 행복한가? 전국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pp.69-81. 한국아동학회. 

  37. 최경희(1995). 욕구 충족과 주관적 안녕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최신국어대사전(1996). 최신국어대사전. 서울 : 민중서각. 

  39. 한겨레신문(2007). 시골. 강남 아이들은 행복? 어른들의 착각. 한겨레 5월 5일 보도자료.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07311.html에서 2007년 5월 25일 인출. 

  40. 한이현. 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41.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42.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4), 51-74. 

  43. Bodrova, E, & Leong, D. (2003). Chopsticks and counting chips. Do play and foundational skills need to compete for the teacher's attention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Young Children, 58(3), 10-17. 

  44. Bronson, M. (2000). Self-regulal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Nature and nurture. New York : Guilford. 

  45. Csikszentmihalyi, M. (1975).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41-63. 

  46. Csikszentmihalyi, M., & Wong, M. M. (1991). The situational and personal correlates of happiness : A cross-national comparison.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Ed.), Subjective well-being :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pp.193-212). Oxford : Pergamon Press. 

  47. Diener, E. (1984). Subjective Wei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48.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 (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49. Elkind, D. (1987). Miseducation : Preschoolers at risk. NY : Knopf. 

  50. Erikson, E. H. (1972). Play and civilization. In J. S. Bruner, A. Jolly, & K. Sylva(Eds), Play : It's role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New York : Basic Books. 

  51. Felner, R. D., & Felner, T. Y. (1989). Primary prevention program in the educational context : A transactional-ecological framework and analysis. In I., A. Bond & B. E. Compas(Eds.), Primary prevention and promotion in the schools(pp.13-49). Newbury Park, CA : Sage. 

  52. Johnson, J. E., Christie, J. F., & Wardle, F. (2006). 놀이, 발달, 유아교육, 

  53. Lefocourt, H. M. (1982). Locus of control : Curre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2nd. Hillsdale, N. J : Erlbaum. 

  54. Levy, A. K. (1984). The language of playfulness : The role of playfulness in language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77-90. 

  55.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56.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6), 803-855. 

  57. Mayers, D.,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58.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 311-346. 

  59. Rogers, C. S. (1988). Measureing playfulness : Development of the Child Behaviors inventory of playfulness. Paper presented s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uthwestern Society of Research in Southwestern Society of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new Orleans. LA. 

  60.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 Rosenberg, F. (1995).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141-156. 

  6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62.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63. Seligman,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Y : Free Press. 

  64. Seligman,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5(1), 5-14. 

  65. Veenhoven, R. (1991). Questions on happiness :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Ed.), Subjective well-being :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pp.7-26). Oxford : Pergamon Press. 

  66. Veenhoven, R. (1994). Correlates of happiness(3Vols). Rotterdam, The Netherlands : RISBO, Center for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