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by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during Reading of Picture Book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4, 2009년, pp.257 - 276  

남규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유아교육)) ,  이지현 (건국대학교 사범대 교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depending on their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during reading of picture books. A pilot study identified teachers' types of interaction as instructional, non-immediate, and passive. Fifteen teachers recruited from 10 child-c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의 교사는 영아에게 적절한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하고 풍부한 언어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이끌어내는 데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교사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관찰 하여 교수적, 확산적, 소극적 유형으로 구분지어 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영아들의 언어발달상에 도움이 되는 교사의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의 효과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그동안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가 유아나 가정에서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연구되었던 것에서 보육시설에 있는 교사와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밝혔다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영아의 언어적 발달을 증진하는 교수법의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확산적 상호작용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질적으로 양적으로 팽창될 보육시설의 언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에 관심을 두고 영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들이 나타내는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영아 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것이며, 영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영아 및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영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들이 나타내는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들이 나타내는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언어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수용언어, 표현언어, 어휘력의 향상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확산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유형의 교사는 영아의 수용언어, 표현언어, 어휘력 향상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쳤으며, 교수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와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즉 확산적으로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한 교사가 영아의 언어발달에 효과적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의 상호작용에 따라 영유아들이 각기 다른 문해 행동을 나타냈다고 증명한 연구들을 지지해준다(Heath, 1983; Ninio, 1980; Teale & Sulzby, 1987). 특히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을 탈맥락적 유형, 맥락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아기 자녀의 언어능력을 평가한 결과 탈맥락적 유형에 해당되는 어머니 자녀들이 수용언어 능력과 언어이해 능력이 더 뛰어났다는 DeTemple(2001)의 연구 결과를 지지해준다. 또한 영유아 언어발달에서의 개인차는 환경적 영향이 크며 환경에서의 언어자극의 양과 언어발달과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들(Hart & Risley, 1995; Huttenlocher, Haight, Bryk, Seltzer, & Lyons, 1991)과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전략이 영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준다(Dickinson & Smith, 1994; Snow, 1983). 즉 확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는 교수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나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에 비해 본문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끌어내거나 그림책에 나오는 단어에 대해서 그냥 지나치지 않고 질문과 설명을 통해 영아들이 어휘에 대해 충분히 숙고하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영아들이 이야기한 내용을 인정하고 확장했던 부분에서 교사가 긍정적인 피드백 전략을 많이 사용했다 한편 교수적 상호작용 유형과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와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했던 영아들은 언어발달(구어발달)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호작용 없이 영아 들의 언어발달을 그림책을 읽어주는 행위만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그림책을 읽어주면서 읽는 내용 또는 그림에 직접 관련된 예, 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질문이나 그 맥락에 한정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사고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데 제한적임을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유진(2000)의 연구에서 어머니가 영유아에게 사람, 사건, 장소등 그림책에 있는 것에 대해 직접적으로 질문을 하거나 그냥 이야기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지식을 알려주는 질문은 텍스트에 대한 여러 사건들을 기억하게 할 수는 있겠지만 자신이 오히려 정답을 말해야 한다는 느낌이 들어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결과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또한 성인의 통제적인 언어사용은 영유아들의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여러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McCartney, 1984; Phillips, McCartney, & Scarr, 1987).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확산적인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들은 개방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질문하고, 개인의 경험, 예측, 설명, 추론을 이끌어 내고 영아의 다양한 반응에 대해 긍정적으로 피드백을 한 것이 결국 영아의 언어발달을 긍정적으로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읽기행동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는 영아들의 읽기행동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미쳤으며 교수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확산적으로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한 교사가 영아의 읽기행동에 효과적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림책읽기 상호작용을 하기 전에 행해진 사전검사에서는 세 유형의 집단 모두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은 그림읽기 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이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읽기 시도'가 나타났으며 ‘문어적 읽기 시도'와 ‘문자 읽기 시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세 유형의 집단 모두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은 그림읽기 시도'가 사전검사에 비해 적게 나타났 으며, 반면에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읽기 시도'는세 유형의 집단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세 유형의 집단 모두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 읽기 시도'가 많은 증가를 보인 것은 Sulzby (1985)의 연구에서처럼 2세경에는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 읽기 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연구와 부합한다. 그러나 상호작용 유형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던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의 집단은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은 그림읽기 시도'는 사전검사에서 많은 영아들이 언어행동을 나타냈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 읽기 시도'에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또한 읽기행동의 하위범주 중 ‘문어적 읽기 시도', ‘문자 읽기 시도'의 언어행동은 확산 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유형의 집단에서만 나타났 으며 다른 두 유형의 집단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Ninio 와 Bruner(1978)의 연구에서처럼 영아가 그림책 읽기 행동이 나타나려면 그림책을 사이에 두고 성인과 영아가 그림책에 그려진 그림과 내용에 대해 묻고, 대답하고, 설명하고, 듣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설명해준다. 즉 확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는 교수적인 상호작용 유형, 소극적인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에 비해 영아에게 그림책을 사이에 두고 그림책에 그려진 그림과 내용에 대해 묻고 대답하고 설명하고 듣는 과정이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영아의 배경 지식을 동원하게 함으로써 그림책을 보고 독자적인 가상의 세계를 구상 하여 내용의 이해를 보다 쉽게 하기도 하며(이차숙, 1992), 추론을 하는 것은 이야기의 절정에서 이야기에 대한 영아의 민감성을 증진시키며 이야기의 논리적인 연결을 도와주므로 명명하기와 지적하는 단계에서 벗어나서 영아의 읽기 행동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영아의 읽기 행동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림책의 텍스트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읽기, 또한 지시적인질문으로 내용과 그림을 확인하는 직접적인 가르침보다는 영아로 하여금 추론하고 예측하게하며 경험한 것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내는 기회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서 영아의 읽기 행동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영아의 그림책 다루기 행동은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에서 가장 긍정적인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즉, 그림책을 읽어주기 전에는 세 유형의 집단 모두 그림책 다루기 행동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실시한 후에는 그림책 다루기 행동에 전체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림책 다루기 행동의 부정적인 행동인 ‘그림책에 무관심한 행동'은 세 유형 모두 전체적으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빈도가 적게 나타난 반면, ‘그림책 장 혼자 잘 넘기기', ‘거꾸로 놓인 그림 바로 돌려놓기'에서는 세 유형의 집단 모두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빈도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가 일찍 그림책을 다루면 그림책의 약정을 빨리 학습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해주며(김금주, 2000;이희자, 2003; Bruner, 1983; Snow & Ninio, 1986), 그림책 다루기 행동은 영아가 그림책을접했던 경험, 그림책을 읽어주는 사람의 영향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고할 수 있다(Lamme & Packer, 1986; Ninio & Bruner, 1978; Snow & Ninio, 1986). 즉, 영아와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영유아가 세 유형에서 모두 여러 종류의 그림책을 접한 결과 그림이나 내용에 관심을 갖고 그림책 다루기 방법을 알고 터득해 갔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상호작용의 방법에 따라 그림책 다루기 행동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영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그림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있어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인 항목은 부정적인 행동인‘한 장씩 그림보지 않고 빨리 넘기기'와 긍정적인 행동인 ‘다른 그림책을 교사에게 다시 읽어주겠다고 함', ‘그림책에 시각적으로 주의 집중하기'였다. ‘한 장씩 그림보지 않고 빨리 넘기기'의 범주에서는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 교수적 상호 작용 유형 순으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행동이 적게 나타난 반면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은 오히려 그림책 다루기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다른 그림책을 교사에게 다시 읽어주겠다‘고 하는 행동, ‘그림책에 시각적으로 주의 집중하기'의 범주에서는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 교수적 상호작용 유형 순으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행동이 많이 나타났으나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은 오히려 적게 나타나는 행동이 보였다. 특히 ‘교사에게 다른 그림책을 읽어주겠다고 함'의 범위에는 소극적 상호작용 유형은 빈도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는 성인이 그림책을 들려주고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능동적인 참여를 통하여 그림책 다루기를 배우며 그것을 통하여 그림책은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며, 인쇄물이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지금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미를 만들려고 그림책을 보면서 노력한다는 연구결과 (McGee & Richgels, 1996)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즉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는 영아들에게 그림책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그림에 대해 설명하고 지적하고 영아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비해 소극적인 상호작용 유형의 교사는 본문 읽는 것에만 집중하여 영아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제한시켜 그림책다루기 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적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림책 다루기 행동은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과 같이 의미 있는 성인과 깊이 있는 상호작용 속에서 서서히 터득할 수 있으며 점차적으로 그림책과 관련된 특별한 규칙 들을 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교사와 2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은 전반적으로 확산적 유형의 교사가 언어발달을 가장 많이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의 교사는 영아에게 적절한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하고 풍부한 언어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이끌어내는 데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교사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관찰 하여 교수적, 확산적, 소극적 유형으로 구분지어 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영아들의 언어발달상에 도움이 되는 교사의 확산적 상호작용 유형의 효과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그동안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가 유아나 가정에서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연구되었던 것에서 보육시설에 있는 교사와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밝혔다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영아의 언어적 발달을 증진하는 교수법의 개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확산적 상호작용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질적으로 양적으로 팽창될 보육시설의 언어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는 소리와 뜻을 연관 짓는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언어를 통한 상호소통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단순한 표현과 의미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표현하기 위해서 의미를 구성하고 이해하기 위해 그 의미를 재구성하는 사고 과정을 포함한다.
영아기가 언어습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언어를 통한 상호소통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단순한 표현과 의미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표현하기 위해서 의미를 구성하고 이해하기 위해 그 의미를 재구성하는 사고 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영아기의 언어는 주위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의사소통을 통하여 언어를 획득해 가며(Vygotsky, 1978), 전언어적 시기에서 언어적 시기로 전이가 이루어지면서 언어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Goldfield & Reznick, 1990; Nelson, 1973), 영아기는 언어습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김금주(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명순(1996)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문어의 의미구성전략 사용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3), 305-325 

  3. 김명순(1999). 4-5세 아동의 읽기, 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13, 120-131. 

  4. 김세희 (2000) 유아 문학 교육. 서울 : 양서원 

  5.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 (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서울 : 서 울장애인종합복지관. 

  6. 김정아(2005)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 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 김현희. 박상희 (1999) 유아문학교육. 서울 : 학지사. 

  8. 서정숙(1999)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부모의 그림 책 읽어주기. 서울 : 창지사 

  9. 어린이도서연구회 (2007). 어린이 권장 도서목록. 서울 : 어린이도서연구회 

  10. 이미화(2003)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 읽기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이상금. 장영희 (1986) 유아문학론. 서울 : 교문사. 

  12. 이영자 (2004)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서울 : 양서원 

  13. 이영자. 이종숙(1996) 영아의 문해행동 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 유아교육연구. 16(1), 23-48. 

  14. 이지현. 김유정 (2005) 유아의 어휘습득에 있어서 명시적, 직접적 어휘 지도법과 맥락적, 간접적 어휘 지도법의 효과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297-316. 

  15. 이차숙(1992) 유아의 그림이야기책 읽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매개적 역할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6. 이희자 (2003) 도서대여프로그램이 영유아-어머니 상호작용, 영유아의 책 다루기 행동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 논문 

  17. 채유진 (1998) 가정에서의 어머니-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유진 (2000) 그림 동화책 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9. Anderson, J., Moffatt, L.. & Shapiro, J. (2006). Reconceptualizing languag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B. Spodek & O. Saracho(Eds. ),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pp.135 -151).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 Beals, D. (2001) Eating and reading : Links between family conversations with preschoolers and later language and literacy. In D. Dickinson & P. Tabols (Eds.),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pp.175- 203). Toronto: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21. Beck. I. L., McKeown, M. G., & Kucan, L. (2002) Bringing words to life. New York : Guilford Press 

  22. Berk, L. E., & Winsler, A. (1995). 홍용희 역 (1995)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 : 비고스키와 유아 교육. 서울 : 창지사 

  23. Bruner, J. S. (1983). The acquisition of pragmatic commitments. ln R. Golinkoff(Ed.), The transition from prelinguistic to linguistic communication Oxford, England : Claredon 

  24. DeTemple, J. (2001). Parents and children reading books together. In D. Dickinson & P. Tabors(Eds. ),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pp.31-51) Toronto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25. DeTemple, J., & Tabors, P. (1994). Styles or interaction during a book reading task: Implicatios for literacy intervenion with low- income families. ln C. Kizner(Ed.), Perspective on literacy research and practice : 44th Yearbook of the Naional Reading Conference(pp.265-271). Chicago : IL : Notional Reading Conference 

  26. Dickinson. D., & Smith, M. (1994). Long term efects of preschool teachers' book reading on low-income children's vocabulary and story comprehens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9(2), 105-122 

  27. Dickinson, D. (2001). Book reading in preschool classrooms : Is rerommended practice common? In D. Dickinson & P. Tabors(Eds.),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pp.175-203). Toronto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28. Freeman, E. B., & Hatch, J. A. (1989). Emergent literacy : Reconceptualizing kindergarten practice. Childhood Education, 66(1), 21-24 

  29. Goldfield, B. A., & Reznick, J. S. (1990). Early lexical acquisition : Rate, content, and the vocabulary spurt. Journal of Child Language, 17(1), 171 - 184 

  30. Hart, B., & Risley, T. R. (1995).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s of young American children. Baltimore, NJ : Brookes. 

  31. Hearth, S, B. (1983). Ways with words : Language life and work in comunities and classroom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Hoff-Ginsberg, E. (1991). Mother-child conversation in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communicative settings. Child Development, 62(4), 782-796 

  33. Honig, A. S. (2000) . How to read to very young children. Scholastic Early Childhood Today, 14(1), 28-29 

  34. Huttenlocher, J., Haight, W., Bryk, A., Seltzer, M., & Lyons, T. (1991). Early vocabulary growth : Relation to language input and gender. Developmental Psychology. 27(2), 236-248 

  35. Jalongo, M. R. (1988). Young children and picture book : Literature from infancy to six. Washington D.C. : NAEYC 

  36. Katz, J. (2001). Playing at home : The talk of pretend play. In D. Dickinson & P. Tabors(Eds.),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pp.175-203). Toronto : PauI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37. Kleek, A. V., Alexander. E. I.. Vigil, A., & Templeton, K. E. (1996). Verbally modeling thinking for infants : Middle-class mother's present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s during book sharing.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0(2), 101 - 113 

  38. Lamme. L. L., & Packer, A, L. (1986). Book-reading behaviors of infants. The Reading Teacher, 39(6), 504-509 

  39. McCanncy, K. (1984).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44-260 

  40. McGee, L. M., & Richgels, D. J. (1996) 김영순, 신유림 공역 (2000)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서울 : 학지사 

  41. Mcliane, J. B., & McNamee, G. D. (1990). Early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42. Morrow, L. (1993).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Needham Heights, MA : Allyn & Bacon 

  43. Morrow, L., & Gambrell, L. (2003). Literature-based instruction in the early tears. In S. Neuman & D. Dickinson(Eds.),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pp. 348-360). New York : Guilford Press 

  44. Nelson, K. (1973). Some evidence for the cognitive primacy of Categorization. Merrill-Palmer Quaterly, 19(1), 21-39 

  45.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46. Ninio, A. (1980). Picture-book reading in mother-infant dyads belonging to two subgroups in Israel. Child Development, 51(2), 587-590 

  47. Ninio, A, (1994). Classifying communicative acts in children's interactions. Journal of Child Language, 26(3), 619-53 

  48. Ninio, A., & Bruner, J. S. (1978). The achievement and antecedents of labeling. Journal of Child Language, 5, 1-15 

  49. Owens, R. E. (1988) 이승복 역 (2001) 언어발달. 서울 : 시그마프레스 

  50. Phillips D. A.,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 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 537-543 

  51. Schickelanz, J. A. (1986). 이영자 역 (1995) 읽기와 쓰기를 즐기는 어린이로 기르는 방법.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2. Schickedanz, J. A. (1999) 이영자 역 (2002) 놀이를 통한 읽기와 쓰기의 지도.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3. SenechaI, M., Cornell, E. H., & Broda, L. S. (1995)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of parent-infant interactions during picturebook read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3), 317-337 

  54. Snow, C. E. (1983). Literacy and language :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3, 165-189 

  55. Snow. C. E., & Ninio, A. (1986) The contracts of literacy : What children learn from learning to read books. ln W. H. Teale & E. Sulby(Eds.), Emergent Liiteracy : Writing and reading(pp.116-138). Norwood. NJ : Ablex Publishing 

  56. Sorsby, A. J., & Martlew, M. (1991). Representational demands in mothers' talk to preschooI chiIdren in two contexts : Picture book reading and a modeling task. Journal of Child Language, 18(2). 373-395 

  57. Sulzby, E. (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 458-481 

  58. Sulzby, E., & Teale, W. H. (1991). Emergent Iiteracy : ln R. Barr. M.L. Kamii. P. B. Mosenthal., & P. D. Person(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2(pp.727-758). NY : Longman 

  59. Teale, W. H. (1981). Parents reading to their children : What we know and need to know. Language Arts. 58. 902-911 

  60. Teale, W, H. (1986). Home background and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W. H. Teale & E. Sulzby(Eds.),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pp.173-206). Norwood, NJ : Ablex 

  61.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Norwood, NJ : Ablex 

  62. Teale, W. H., & Sulzby, E. (1987). Young children's storybook reading : Longitudinal study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independent functioning. Final Report to the Spencer Found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63. Vukelich. C., Christie, J., & Enz, B. (2008). Helping young children learn language and Iiteracy : Birth through kindergarten. New York : Pearson Education, Inc 

  64. Vygotsky, L. S. (1962). Though and Language. Cambridge, MA : MIT Press 

  65. Vygolsky, L. S. (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66. Whitehurst, G. J., Falco, F. L., Lonigan. C. J., Fischel. J. E.. DeBaryshe, B. D ., Valdez-Menchaca, M. C., & Caufield, M. (1988).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52-559 

  67. Yaden, D. (1988). Understanding stories through repeated read-alouds : How many does it take? The Reading Teacher, 41(6), 556-560 

  68. Zcece, P. (2007). The style of reading and reading in style. Early Childhood Education. 35(1), 4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