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이 친사회성,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Program Utilizing Group Play Therapy for Young Children on Prosociality, Teacher-Child Relation and Peer Competence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5, 2009년, pp.57 - 72  

하영례 (진주산업대학교 아동교육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ocial-emotional competence program utilizing group play therapy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prosociality, teacher-child relations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90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experi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성, 유아-교사관계 그리고 또래유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법인 집단 놀이치료를 활용한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성, 유아-교사관계 그리고 또래유능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의 실험집단이 또래 협의를 통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의 비교집단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아의 친사회성, 유아-교사관계 그리고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위의 연구 결과들을 집단놀이치료과정 중 사용한 중심활동의 내용선정과 전개방법, 자유놀이시간, 토의, 평가 및 집단놀이의 치료적 요인 측면에서 비교집단과 연계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중심활동의 내용선정은 집단놀이치료에서 유용한 활동으로 선정하였고(Kaduson & Schaefer, 2001; Lowenstein, 2002; O'Connor,1993), 사회성과 정서발달에 효과적인 전개방법을 사용한 결과(Greenberg, Kusche, Cook, & Quamma, 1995; Zeinder, Robert, & Mattew, 2001) 로 비교해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복합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사회적 지식, 인지능력, 정서성, 적응, 정서지식, 정서 표현, 정서조절, 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 등의 복합적인 요소이다(이혜원, 2005; Brown, Odom, & McConnell, 2008; Denham, 2006; Katz & MaClellan, 1997; Saari, 1999). 이러한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학교생활을 준비하는 유아기의 중요한 과업중의 하나이다(Fantuzzo, Bulotsky-Shearer, Fusco, & Mcwayne, 2005; Mcwayne, Fantuzzo, & McDermott, 2004; Waajid, 2005).
또래유능감이란 무엇인가? 보다 최근에는 또래유능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래유능감은 또래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며, 또래 관계 내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이다(박주희․이은해, 2001). 유아에게 또래는 사회적 유대관계의 하나로 유아에게 우정, 도움 및 정서적 원천으로 유아발달에 기여를 한다.
유아기에 경험하는 것과 그로인해 이루어지는 발달은 무엇인가? 유아기는 생애 전반에 걸친 전인적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다양한 감정이나 기분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면서 또래관계를 통한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진다. 유아기는 사회화 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남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기초를 이루는 사회정서 발달의 결정적 시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2. 김영옥.윤경선(1999). 친사회적 토의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307-324. 

  3. 김예빈(2004). 부모의 사회화 양육신념과 남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춘경.정여주(2002). 상호작용놀이를 통한 집단상담 :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5. 박수윤(2004).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유아교사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윤정(1997). 귀인 및 정서인식능력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주희.이은해(2001). 취학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117-129. 

  8. 사소정(2006).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조절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하 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46(2), 1-12. 

  9. 송영혜(1997). 놀이치료 적용. 경북 : 대구대학교 출판부. 

  10. 심혜원.김은진(2006). 타인조망수용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 연구. 놀이치료연구, 10(1), 101-116. 

  11. 안선희(2002). 유아의 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63-180. 

  12. 이수연(2008). 아동상담. 서울 : 양서원. 

  13. 이정숙.유정선(2007).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장기집단 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29-43. 

  14. 이혜원(2005).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 척도 개발 연구. 덕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장영숙.강경석.김희정(2003). 유아의 연령 및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20(4), 41-53. 

  16. 전현숙(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대현.지성애(2006).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1. 

  18. 최미숙.황윤세(2007).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유아-교사관계와 또래유능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19. 최미숙.김세루(2007). 또래간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6(2), 171-183. 

  20. 하영례.지성애(2009).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319-343. 

  21. Birch, S. H., Ladd, G. W., & Blecher-Sass, H.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 early school adjustment : Good-bye can build trus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1-79. 

  22. Bowman, B. T., Donovan, M. S., & Burns, M. S. (2001) Eager to learn : educating our preschooler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23. Bratton, S. C., Ray, D., Rhine, T., & Joner, L. (2005). The efficacy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 A meta analytic review of treatment outcomes.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36(4), 376-390. 

  24. Brown, W. H., Odom, S. L., & McConnell, S. R. (2008).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Baltimore : Brookes Publishing Co. 

  25. Danger, S. E. (2003). Child-centered group therapy with children with speech difficul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26. Denham, S. A. (2006)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 What is it and how do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27. Doescher, S. M., & Sugawara, A. I. (1989). Encouraging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Childhood Education, 65(4), 213-216. 

  28. Fantuzzo, J. W., Bulotsky-Shearer, R. F., Rachel, A., & Mcwayne, C. (2005). An investigation of preschool classroom behavioral adjustment problems and social-emotional school readiness competenc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3), 259-275. 

  29. Greenberg, M. T., Kusche, C. A., Cook, E. T., & Quamma, J. P. (1995). Promoting emotional competence in school-aged children : The effects of th PATHS curriculum. Development and Psychology, 7, 117-136. 

  30. Hoag, M. J., & Burlingame, G. M. (1997).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 and adolescent group treatment :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26(3), 234-246. 

  31. Howes, C., Matheson, C. C., & Hamilton, C. E. (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 264-273. 

  32. Kaudson, H. G., & Schaefer, C. E. (1981). 101 more favorite play therapy techniques. N.J. : Jason Aronson, Inc. 

  33. Katz, L. G., & MaCl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The teacher's role.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34. Kulic, K. R., Dagley, J. C., & Horne, A. M. (2004).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ention group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Group Dynamics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2), 139-151. 

  35. Ladd, G. W. (2005).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social competence. New Haven and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36. Ladd, G. W., Birch, S. H., & Buhs, E. S. (1999). Children's social and scholastic lives in kindergarten : Related sphere of influence? Child Development, 67, 1103-1400. 

  37.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1103-1118. 

  38. Landreth, G. L. & Sweeney, D. S. (1999). The Freedom to Be :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In D. S. Sweeney(1999).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 How to do it, how It works, whom it's best for(pp.37-64). San Francisco : Jossey-Bass. 

  39. McAfee, O., & Leong, D. J. (2007).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4th Ed.). Boston : Allyn and Bacon. 

  40. McGinnis, E., & Goldstein, A. (2003). Skillstreaming in early childhood(revised Ed.). Illinois : Research Press. 

  41. McWayne, C. M., Fantuzzo, J. W., & McDermott, P. A. (2004). Preschool competency in context : An investigation of the unique contributions of child competencies to early academic success. Developmental Psychology, 40(4), 633-645. 

  42. Niles, M. D., Reynolds, A. J., & Roe-Sepowitz, D. (2008).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and early adolescent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 Second-generation evaluation evidence from the Chicago longitudinal study. Educational Research, 50(1), 55-73. 

  43. O'connor, K. J. (1993). Child, Protector, Confident : Structured Ecosystematic Group play therapy. In T. Kottman & C. Schafer(Eds.). Play therapy in action : A casebook for practitioners(pp.245-280). London : Jason Aronson Inc. 

  44. O'connor, K. J. (2004). Group play therapy primer.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45. Pears, K. C., Fisher, P. A., & Bronz, K. D. (2007). An intervention to promote social emotional school readiness in foster children : Preliminary outcomes from a pilot study. School Psychology Review, 36(4), 665-673. 

  46. Pellegrini, A. D., & Glickman, C. D. (1990). Measuring kindergartners' social competence. Young Children, 45(4) 40-44. 

  47. Pianta, R. C. (1991). The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Unpuplished paper,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ville, VA. 

  48.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rocess of ad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scale. 

  49. Rennie, R. (2000).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nd group play therapy in treating kindergarte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50. Saarni, C. (1999).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New York : Guilford Press. 

  51. Shechtman, Z. (2002). Child group psychotherapy in the school at the threshold of a new millennium.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 293-299. 

  52. Sweeney, D., & Homeyer. L. (1999).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 How to do it, how It works, whom it's best for. San Francisco : Jossey-Bass. 

  53. Trostle, S. L. (1984).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upon socio-metric, self-control, and play behavior ratings of three-to six year old bilingual puerotorican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late University. 

  54. Tyndall-Lind, A. (1999).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nsive individual play therapy and intensive group play therapy with child witnesses of domestic viol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55. Waajid, B. I.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chool readines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Commonwealth. 

  56. Waliski, A. D., & Carlson, L. A. (2008). Group work with preschool children : Effect on emotional awareness and behavior.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33(1), 3-21. 

  57. Zeinder, M., Matthews, G., & Roberts, R. D. (2001). Show down, you move too fast; Emotional intelligence remains an 'elusive' intelligence. Emotion, 1, 265-27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