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땅두릅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 - 비타민C, 환원당, 총 클로로필, 식이섬유, 총 수용성고형분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ore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 Vitamin C, Reducing Sugar, Total Chlorophyll,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3, 2009년, pp.330 - 336  

한귀정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신동선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땅두릅에 적용하여 땅두릅 김치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 김치는 절임 시 0.3% CaCl$_2$ 용액을 첨가 및 양념을 달리하여 화학적 특성을 조사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비타민 C의 변화는 저장초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숙성 적기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후기에는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CaCl$_2$ 용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제조 당일 8.4${\sim}$9.3 mg/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하여 숙성이 진행 되면서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 처리구 및 양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클로로필도 환원당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는 반면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직의 변화가 더디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땅두릅 김치는 화학적으로 우수함이 확인 되었으며 절임 시 조직연화 방지를 위해 0.3% CaCl$_2$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화학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식품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ssessed changes occurr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 Kimchi prepared using different CaCl$_2$ treatments and seasonings by documenting the changes occurring in over the course of preparation and preservation. No visible changes were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땅두릅에 적용하여 땅두릅 김치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 김치는 절임 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두릅의 어린잎과 줄기에는 무엇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땅두릅의 어린잎과 줄기는 약간 씁쓸하고 독특한 특유의 맛으로 향기가 있고 단백질,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하여 이른 봄에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건강기능성식품을 선호하는 국민의 식생활 요구에 따라 어린잎과 새순은 식욕을 북돋아주는 고급 산채로 식용되며,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는 열내림약, 기침약, 항염증약 등으로 이용하며 신경쇠약, 신장병, 당뇨병 등에 쓰이기도 하는(Han BH 등 1983) 건강 기능성 식품이지만 품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저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땅두릅의 별명에는 무엇이 있는가? 땅두릅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다년생초본류(多年生草本類)로 땃두릅, 풀두릅, 토당귀(土當歸), 대활(大㓉), 인가목(人伽木), 주마근(走馬根), 뫼두릅, 멧두릅, 강청, 호강사자, 구안독활, 독골(獨骨)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생약명은 독활(獨活)이다(최영전 2001, 최양수 2004). 땅두릅의 이름은 산행을 하다 보면 잎과 줄기에서 두릅 냄새가 나는데서 유래하였는데, 이른 봄에 새로 나오는 어린 새순은 땅에서의 두릅이라 하여 ‘땅두릅’이라고 하였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최양수 2004, 솔뫼 2006).
성숙한 땅두릅의 줄기 직경은 얼마인가? 땅두릅은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온대지역에서 넓게 분포되어 자생 및 재배되고 있으며(Perry LM 와 Metzger J 1980), 우리나라의 주요 재배지역은 충남, 충북, 전북 및 강원 등이며 주로 해발 1,500 mm까지의 산간 기슭 등에서 군락으로 자생한다(Kwon TR 등 1995). 성숙한 줄기는 직경이 2~2.5 cm로 굵고 뻣뻣하며 초고는 높고 무성하여 우점지역에서는 잡초류의 성장을 억제시킨다. 식물의 키는 1~2 cm이며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있으며 아래에는 원추형의 뿌리가 많고 줄기는 세로 홈무늬가 있으며 분지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솔뫼. 2006. 산속에서 만나는 몸에 좋은 식물 148. 동학사. 서울. pp 115-116 

  2. 정동효, 장현기. 1991. 식품분석. 진로연구사. 서울. pp 250-254 

  3. 최양수. 2004. 약이 되는 산야초 108가지. 하남출판사. 서울. pp 12-15 

  4. 최영전. 2001. 산나물 재배와 이용법. 오성출판사. 서울. pp 10-11 

  5. 한국식품공업협회. 2001. 식품공전. 일지문화사. 서울. pp 396-398 

  6.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 rev2. Ch. 3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rug, Maryland, U.S.A. pp 7-10 

  7.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2). Korean J Food Cookery Sci 7(2):89-95 

  8. Han BH, Han YN, Han KA, Park MH, Lee EO. 1983.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I). Arch Pharm Res 6(1):17-23 

  9. Han GJ, Jang MS. 2006.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ing time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22(5):681-689 

  10.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1):26-32 

  11.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6):838-844 

  12. Kim NY, Jang MS. 2001. Textural properties of Kakdugi by salting methods (1), water soluble pectin, PG activity,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Korean J Food Cookery Sci 17(5):503-509 

  13.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476-482 

  14. Kwon TR, Kim SK, Min GG, Jo JH, Lee SP, Choi BS. 1995. Seed germination of Aralia cordata thunb. and effect of mulching methods on yield and blanching. J Korean Soc Hort Sci 36(5):620-627 

  15. Lee GC, Han JA. 1998.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14(2):201-206 

  16. Lee TY, Lee JW. 1981. The change of vitamin C content and effect of galacturonic acid addi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ultural Society 24(2):139-144 

  17. Lee JM, Lee SH, Kim H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Food Ind Nutri 5(1):50-56 

  18. Oh JY, Hahn YS. 1999.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Mul-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421-426 

  19. Park MO, Kim NY, Jang MS. 2000.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Puchu-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16(4):321-327 

  20.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103-109 

  21. Perry LM, Metzger J. 1980.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ttributed Properties and Uses.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MIT Press. p 41 

  22. Shim ST, Kim KJ, Kyung KH. 1990. Effect of soluble-solids contents of Chinese cabbag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3):278-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