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지역 여자대학생의 주거형태에 따른 건강생활태도 및 식습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related Life Behavior and Dietary Habit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Residence Type in the Gyeongju A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4, 2009년, pp.351 - 358  

오영섭 (경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type of residence. The subjects consisted of 369 female students from the Gyeongju area.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역의 4년제 대학에서 호텔 및 외식을 전공하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거형태에 따른 건강생활태도와 식습관 등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각 주거형태에 적합한 생활습관·식습관 지도와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 호텔 및 외식을 전공하는 여자대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생활태도와 식습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지역 여자대학생의 주거형대에 따른 건강생활태도와 식습관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무엇인가? 1. 평균 신장은 162.7±4.6 cm이었으며, 평균 체중은 53.9±6.7 kg이었다. 이는 한국인 성인 표준치(한국비만학회 2000)와 비교할 때 신장은 2 cm정도 크고, 체중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BMI 수준은 20.4±2.4로서 정상이었으며, 비만도는 정상 44.2%, 저체중 49.1%, 과체중 6.2%로 각 거주군 간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전체 음주자 291명(78.9%)에서 자취군 83.8%, 통학군 79.0%. 기숙사군 72.7%, 하숙군 63.6%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호주류로는 소주 46.4%, 맥주 33.0%, 와인 16.2%, 막걸리 4.5%의 순으로 소주를 제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숙군 71.4%, 기숙사군 60.4%, 자취군 51.6%, 통학군 37.1%로 p<0.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3. 전체 흡연자 39명(10.6%)에서 자취군 19.8%, 통학군 8.8%%, 기숙사군 1.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p<0.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전체 흡연자 중 금연시도는 1회 20.5%, 2회 20.5%, 3회 이상 53.8%의 순으로 전체 흡연자가 금연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4. 운동여부는 109명(29.5%)만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건복지부(1999)의 20대 운동실천율인 31.7%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p<0.01에서 거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주 4일/주 이상은 19명(17.5%)만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숙군 4명(66.6%), 통학군 11명(25.6%), 자취군 4명(8.9%)의 순으로 p<0.001에서 거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일일 평균 운동시간은 1시간 이상 64.2%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기호운동으로는 수영 31.2%, 조깅 29.4%, 헬스 19.3%, 테니스 11.0%, 사이클 9.2%의 순으로 p<0.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5. 기호음식에서는 ‘자극적인 음식’ 53.9%, ‘고소한 음식’ 23.1%, ‘담백한 음식’ 19.1%의 순으로 p<0.001에서 거주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맛의 기호도에 있어서는 ‘매운맛’ 47.2%, ‘단맛’ 24.7%, ‘신맛’ 13.6%, ‘짠맛’ 8.9% 등의 순서로 p<0.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6.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행태는 ‘1-2일/주’ 46.8%, ‘3-4일/주’ 34.7%, ‘거의 안먹는다’ 29.5%, ‘매일 먹는다’ 18.4%의 순으로 p<0.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아침식사로는 ‘밥과 국’ 71.8%, ‘시리얼과 우유’ 20.6%, ‘수프와 빵’ 7.3%의 순으로 p<0.01에서 거주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인간이 평생 동안 유지되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인간이 평생 동안 유지되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를 16-20세로 볼 때 대학생의 식생활정도는 기성세대의 식생활양식을 반영한다. 뿐만 아니라 성인기에 습관으로 형성될 식생활태도를 가장 잘 나타낸다.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식습관은 기후·토양 등 지리적 요인과 주거환경·경제수준·직업 등의 경제적 요인의 영향이 크지만, 이외에도 본인의 체격·체형에 대한 인식, 건강에 대한 지식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Lee 등 1998). 건강식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건강 관심형, 식습관 관리형, 건강 유지형, 식품기호 중시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식습관 관리형에서 규칙적인 식사, 식사량, 채식, 육식, 충분한 수면을, 그리고 식품기호 중시형에서는 단 음식, 짠 음식, 매운 음식, 간식을 주요 변수로 채택하여 건강생활양식에서 건강식에 관한 부분이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Song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BRM, Park ES. 2009. Perception of body weight control, life style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I)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1):1-13 

  2. Cho JY, Song JC. 2007. Dietary behavior,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0(4):476-486 

  3. Cho KJ, Kang HJ. 2004.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dietary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korean J. Food Culture, 19(1):70-82 

  4. Choi JS, Ji SM, Paik HY, Hong SM. 2003.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l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1132-1146 

  5. Choi SN, Chung NY, Yun ME. 2002.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 in Seoul. Korean J. Dietary Culture, 17(1):57-63 

  6. Chung NY, Choi SN. 2002. Body mass index and food habit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5):505-515 

  7. Her ES, Lee KH. Bae EY, Lyu ES. 2007. Interrelations among fast food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6):714-723 

  8. Hwang JH, Lee H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4):381-395 

  9. Jung HS, Yoon HH. 2007. A study on the dining-out consumption pattern of undergraduates by food-related lifestyl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0(2):93-117 

  10. Kim IS, Yu HH, Han HS. 2002.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dietary habits and life style on the health of d llege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1):45-57 

  11. Kim KJ, Chun MS. 2007. A study on college students' menu choice behavior by food choice factor. Korean J. Culinary Research,13(4):186-198 

  12. Kim MJ, Jung HS, Yoon HH.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of undergraduates and th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Korean J. Food Culture, 22(2):210-217 

  13. Kim MS. 2005.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y economic environ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125-138 

  14. Kim S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spent on lunch and degree of obesity, eating habits in culinary college 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6):695-706 

  15. Ko MS. 2007.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259-271 

  16.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17. Lee HS, Lee JH, Paik JJ. 1998. A study of food habits, physic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1):34-43 

  18. Lee JH, Jung HY. 2006.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eating-out behavior and attitude to coupons and alliance card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2(3):286-200 

  19. Lee KA. 1999. A comparison of eating and general health practices to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in Pus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30):732-742 

  20. Lee MS, Kwak CS. 2006.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1):39-51 

  21. Park SH. 2003. Comparing the nutrient intake, quality of diet, eating habit score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Ik-san, according to their type of reside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6):876-888 

  22. Park SW. 2004.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lifestyle on the food intake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J. East Asian Dietary Life, 14(1):11-19 

  23. Song BC, Cho JH, Lee IY, Kim MK.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3(4):538-542 

  24. Song HG. 2007. influence on consumption toward health by the tendency of healthful menu choice in dinning-out consumer. Kyunghee University Doctorial thesis 

  2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korean (7th revis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