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볶음 조건 및 침출 조건에 따른 발아 벼차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ough Rice Tea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Time and Leaching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4 = no.206, 2009년, pp.386 - 391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연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김경호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기종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아 벼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발아 벼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아 벼차의 항산화 활성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0.31-1.32 mg/g과 7.06-39.40 mg AA eq/100 g 범위로 나타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시간을 달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탁도, pH 및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250^{\circ}C$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시는 2.62%로 $200^{\circ}C$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한 경우의 0.62%보다 높았다. 발아벼차의 탁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색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아벼차의 pH를 측정한 결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아벼차의 갈변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관능적 특성으로는 색, 향, 맛 및 전반적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곡류의 볶음 처리에 따른 가열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갈색화 반응 생성물은 식품에 독특한 향미를 부여하여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a germinated rough rice tea, germinated rough rice was roasted at 200, 220, and $250^{\circ}C$ for 10, 20, and 30 min. The treated rice powder was then put into tea bags and leached for 1, 3, and 5 min, after which their antioxidant, physicoch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아벼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평가 등을 확인하여 발아 벼차의 제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은 어느 지역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쌀(Oryza sative L.)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하루 섭취 열량의 절반 이상을 쌀로부터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쌀 배아에는 영양성분 중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필수지방산 그리고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및 γoryzanol 등 생리활성 효과가 탁월한 불검화물 및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2), 발아라는 단순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단백질의 질적 변화, 식이섬유소, 비타민 B1, B2, E 등의 증가, 탄수화물의 소화율 증가와 같은 변화가 생긴다.
본 연구에서 발아 벼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발아 벼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발아 벼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발아 벼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이화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발아 벼차의 항산화 활성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0.31-1.32 mg/g과 7.06-39.40 mg AA eq/100 g 범위로 나타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시간을 달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탁도, pH 및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250℃​​​​​​​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시는 2.62%로 200℃​​​​​​​에서 30분간 볶음 처리 후 5분 침출한 경우의 0.62%보다 높았다. 발아벼차의 탁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색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아벼차의 pH를 측정한 결과 볶음 온도, 볶음 시간, 침출 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아벼차의 갈변도는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 및 침출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벼차의 관능적 특성으로는 색, 향, 맛 및 전반적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곡류의 볶음 처리에 따른 가열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갈색화 반응 생성물은 식품에 독특한 향미를 부여하여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침출차의 제조에 있어서 볶음 처리는 어떤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가? 이중 건강 음용차에 대한 대중의 관심증가로 녹차 효능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식물체를 침출차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7-9). 침출차의 제조에 있어서 볶음 처리는 식품의 화학적 성분 조성, 물리적 성질, 그리고 색깔, 향기, 조직감과 같은 관능적 품질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2). Yoon 등(13)은 보리의 볶음 조건이 보리차의 점도 및 맛과 냄새 등 관능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Ha 등(14)은 숭늉제조용 찐백미, Lee 등(15)은 미숙보리 곡립의 볶음 조건에 따른 색도와 환원당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lner A. Functional foods and health promotion. J. Nutr. 129: 1395-1397 (1990) 

  2. Yang F, Basu TK, Ooraikul B. Studies on germination and antioxidant contents of wheat grain. J. Food Sci Nutr. 52: 319-330 (2001) 

  3. Trugo LC, Donangelo CM, Trugo NF, Knudsen KB. Effect of heat treatment on nutritional quality of germinated legume seeds. J. Agr. Food Chem. 48: 2082-2086 (2000) 

  4. Woo SM, Jeong YJ.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s on free amino acid levels and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 kimchi. Food Sci. Biotechnol. 15: 351-356 (2006) 

  5. Murata T, Akazawa T, Fukuchi S. Enzymatic mechanism of starch breakdown in germinating rice seeds. Plant Physiol. 43: 1899-1905 (1968) 

  6. Brown AW, Shelp BJ. The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Plant Physiol. 115: 1-5 (1997) 

  7.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12-217 (2004) 

  8. Yoo KM, Kim CE, Kim DI, Huh D, Hwang IK.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Korean J. Food Cook. Sci. 21: 354-359 (2005) 

  9. Joo SJ, Choi KJ, Kim KS, Park SG, Kim TS, Oh MH, Lee SS, Ko JW.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9: 400-405 (2002) 

  10. Park JH, Han JS, Choi HK.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by 1 $^st$ pan firing time. Korean J. Med. Crop Sci. 7: 101-106 (1999) 

  11. Chung HS, Kim KJ, Kwang SY.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phycochemical properties of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var. mayeun) powder an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477-482 (2006) 

  12. Hong MJ, Lee GD, Kim HK, Kwon JH. Change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13-418 (1998) 

  13. Yoon SK, Kim WJ.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75-582 (1989) 

  14. Ha TY, Chun HS, Lee C, Kim YH, Han O.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eamed rice for Soong-Neung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1-175 (1999) 

  15. Lee YT, Seog HM, Kim SS, Kim KT, Hong HD.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 kernel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36-342 (1984) 

  16. Ayatse JO, Eku OU, Ifon ET. Chem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oasting on the nutritive value of maize (Zea mays, Linn). Food Chem. 12: 135-147 (1983) 

  17. Kunsch U, Scharer H, Patrian B, Hoh E, Conedera M, Sasella A, Jermini M, Jelmini G. Effects of roasting 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different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varieties. J. Sci. Food Agr. 81: 1106-1112 (2001) 

  18. Choi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Soc. Food Cook. Sci. 17: 323-328 (2001) 

  19. Kim SS, Lee WJ.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hikh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nol. 29: 101-106 (1997) 

  20. Lee WJ, Kim SS. Preparation of Shik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nol. 30: 101-106 (1998) 

  21.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003) 

  22. Duval B, Shetty K.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001) 

  23. Chang HK.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Korean J. Food Nutr. 18: 63-71 (2005) 

  24. Choi YH, Kim KH, Kang MY. Varietal difference in process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ye in rice. Korean J. Breed. 33: 65-72 (2001) 

  25. Ismail A, Marjan ZM, Foong CW.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 581-586 (2004) 

  26. Kang MJ, Shin SR, Kim KS.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 253-259 (2002) 

  27. Yu JS, Hwang IG, Woo KS, Change YD, Lee CH, Yoon HS, LEE JS, Jeong H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97-302 (2008) 

  28.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 713-718 (2005) 

  29. Lee GC, Kim SJ, Koh BY. Effect of roasting con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J. Food Sci. Technol. 35: 905-91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