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현미 첨가에 따른 국수의 제조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274 - 280  

공수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아 전과 후의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국수의 품질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아 전후의 현미와 미강을 각각 5, 10, 15%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국수는 조리 및 제면특성(cooking loss, swelling index, water holding capacity), 조리에 따른 GABA 함량과 항산화 성분(polyphenol) 및 활성(ABTS와 DPPH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변화를 통해 기능성 국수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발아 후 rice bran의 첨가에 따른 cooking loss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반면에 swelling index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아 후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조리 전후 국수에서 발아 전 현미와 미강을 첨가한 국수보다 높은 GABA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발아에 따른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아현미가 첨가된 국수는 밀가루 국수의 영양학적 가치와 항산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로써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and rice bran, an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AB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oodles. These noodles were evaluated for cooking properties (cooking loss, swelling index, water hol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발아현미 또는 발아현미 미강을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국수의 조리 및 제면특성 을 평가하여 식품 소재로서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발아현미 첨가에 따라 조제된 국수의 조리과정 중의 GABA 함량 및 항산화 성분과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주로 밀가루로 구성된 일반 국수의 부족한 영양과 기능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국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발아현미 또는 발아현미 미강을 첨가한 밀가루 복합분으로 만들어진 국수의 조리 및 제면특성 을 평가하여 식품 소재로서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발아현미 첨가에 따라 조제된 국수의 조리과정 중의 GABA 함량 및 항산화 성분과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주로 밀가루로 구성된 일반 국수의 부족한 영양과 기능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국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발아 후의 현미와 미강을 첨가하여 제조된 국수의 조리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발아현미 또는 발아현미 조제 시 얻은 미강의 첨가에 따른 제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발아현미와 미강의 첨가에 따 른 탄수화물이 주로 구성된 일반 국수(밀가루 100%)의 부족 한 영양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결과, 발아현미를 5, 10과 15% 첨가한 국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ooking loss에 따른 제면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GABA와 polyphenol 함량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국수의 품질은 조직감, 화학적 그리고 영양학적 특징에 의해서 평가되며 조리시간, swelling index를 비롯한 cooking loss 등의 조리특성은 소비자들로부터 평가되는 중요한 국수 품질요소로 작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발아 전후 현미와 미강의 첨가량에 따른 조리 및 제면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100% 밀가루)과 비교하였을 때 발아 전후 현미와 미강이 첨가된 국수에서의 cooking loss는 증가하였 으며 현미가 첨가된 국수에서는 낮은 증가를 보였지만 미강 이 첨가된 국수에서는 높은 cooking loss의 증가를 보였다.
  • 본 실험에서는 발아 후의 현미와 미강을 첨가하여 제조된 국수의 조리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발아현미 또는 발아현미 조제 시 얻은 미강의 첨가에 따른 제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발아현미와 미강의 첨가에 따 른 탄수화물이 주로 구성된 일반 국수(밀가루 100%)의 부족 한 영양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Park 등(8)은 가루 녹차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으며 Yoo 등(9)은 메밀이 첨가된 국수 추출물의 항돌이변이원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그 기능성의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선행된 실험에서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일부 현미 품종의 발아과정을 통해 GABA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10), 이렇게 GABA 함량이 증대된 발아현미의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발아 전후의 현미와 미강을 각각 5, 10, 15%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국수는 조 리 및 제면특성(cooking loss, swelling index, water holding capacity), 조리에 따른 GABA 함량과 항산화 성분(polyphenol) 및 활성(ABTS와 DPPH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변화를 통해 기능성 국수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발아 후 rice bran의 첨가에 따른 cooking loss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반면에 swelling index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 발아시킬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최근 발아과정을 거쳐 조직이 연화되고 식미감이 개선된 발아현미의 소비량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 일반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킬 경 우 다양한 효소의 활성으로 인하여 γ-aminobutyric acid (GABA), ferulic acid, arabinoxylan, inositol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발아현미의 대 표적 기능성 물질인 GABA는 중요한 비단백 아미노산으로 전구체인 glutamate가 glutamate decarboxylase(GAD)의 효소작용에 의해서 형성된다.
γ-aminobutyric acid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일반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킬 경 우 다양한 효소의 활성으로 인하여 γ-aminobutyric acid (GABA), ferulic acid, arabinoxylan, inositol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발아현미의 대 표적 기능성 물질인 GABA는 중요한 비단백 아미노산으로 전구체인 glutamate가 glutamate decarboxylase(GAD)의 효소작용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GABA는 혈압상승억제, 혈류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4)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하기도 한다(5).
GABA의 효능은 무엇인가? 발아현미의 대 표적 기능성 물질인 GABA는 중요한 비단백 아미노산으로 전구체인 glutamate가 glutamate decarboxylase(GAD)의 효소작용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GABA는 혈압상승억제, 혈류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4)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하기도 한다(5). 이런 GABA의 생리활성에 기초하여 의약 품으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의 GABA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ang MY, Lee YR, Nam SH.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germinated rices to examine an application potentials as functional ric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6-701. 

  2. Oh SH. 2007. Effects and applic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Food Sci Industry 40: 41-46. 

  3. Takahashi H, Sumi M, Koshino F. 1961. Effect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on normotensive or hypertensive rats and men. Jpn J Physiol 11: 89-95. 

  4. Stanton HC. 1963. Mode of action of gamma amino butyric acid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Arch Int Pharmacodyn 143: 195-204. 

  5. Sherif FM. 1994. GABA-transaminase in brain and blood platelets: basic and clinical aspect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 18: 1219-1233. 

  6. Prabhasankar P, Ganesan P, Bhaskar N, Hirose A, Stephen N, Gowda LR, Hosokawa M, Miyashita K. 2009. Edible Japanese seaweed, wakame (Undaria pinnatifida) as an ingredient in pasta: chemical, functional and structural evaluation. Food Chem 115: 501-508. 

  7. Ahn JW, Yoon J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28-533. 

  8. Park JH, Kim Y, Kug Y, Cho D, Choi H. 2003.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9. Yoo K, Kim S, Ham Y, Yoo S, Oh H, Ham S. 2006.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ech noodle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91-1296. 

  10. Choi Y, Jeon G, Kong S, Lee J. 2009.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154-158. 

  1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2. Tudorica CM, Kuri V, Brennan S. 2002. Nutrition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etary fiber enriched pasta. J Agric Food Chem 50: 347-356. 

  13. Lu Z, Li L, Min W, Wang F, Tatsumi E. 2005. The effects of natural ferment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the re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Int J Food Sci Technol 40: 985-992. 

  14. Zhu F, Cai Y, Corke H. 2010. Evaluation of asian salted noodles in the presence of Amaranthus betacyanin pigments. Food Chem 118: 663-669. 

  15. Zhag G, Bown AW. 1996.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hytochemistry 44: 1007-1009. 

  16.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nent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7. Kong S, Choi Y, Kim Y, Kim DJ, Lee J.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methanolic extract from Geumjong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07-811. 

  18. Kong S, Choi Y, Lee SM, Lee J.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19. Chansri R, Puttanlek C, Rungsadthogy V, Uttapap D. 2005. Characteristics of clear noodles prepared from edible canna starches. J Food Sci 70: 337-342. 

  20. Konik-rose CM, Moss R, Rahman S, Appels R, Stoddard F, McMaster G. 2001. Evaluation of the 40 mg swelling test for measuring starch functionality. Starch 53: 21-26. 

  21. Chen PN, Kuo WH, Chiang CL, Chiou HL, Hsieh YS, Chu SC. 2006. Black rice anthocyanins inhibit cancer cells invasion via repressions of MMPs and u-PA expression. Chem Biol Interact 163: 218-229. 

  22.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23.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24.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5. Lai P, Li KY, Lu S, Chen HH. 2009.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J aponica rice bran. Food Chem 117: 538-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